Skip to content

Conversation

AppleMint98
Copy link

안녕하세요 돔푸~ 마지막도 잘 부탁드립니다! 👍

  • DataSourceUtils,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 구현
  • UserService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AppUserService, TxUserService 구현
  • @Transactional, TransactionHandler 구현
    •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지 않아, JDK Proxy로 프록시 패턴 적용

AppleMint98 and others added 10 commits October 18, 2025 14:42
- 비즈니스 로직 담당 AppUserService
- 트랜잭션 담당 TxUserService
# Conflicts:
#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UserService.java
#	app/src/test/java/com/techcourse/service/UserServiceTest.java
#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core/JdbcTemplate.java
#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core/Transaction.java
#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datasource/DataSourceUtils.java
#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java
@AppleMint98 AppleMint98 self-assigned this Oct 20, 2025
@AppleMint98
Copy link
Author

@coderabbitai review
트랜잭션 동기화가 구현된 코드에서, UserServiceTest를 통과하는 전제 하에 필요없는 코드나 중복된 로직이 있다면 알려줘.
코드의 동작흐름을 간단히 요약해주거나 그림을 그려주면 좋을 것 같아.

@coderabbitai
Copy link

coderabbitai bot commented Oct 20, 2025

🧩 Analysis chain

🏁 Script executed:

#!/bin/bash

# Find and read the main implementation files related to transaction synchronization
echo "=== Finding UserService related files ==="
fd -e java UserService

echo -e "\n=== Finding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 ==="
fd -e java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

echo -e "\n=== Finding DataSourceUtils ==="
fd -e java DataSourceUtils

echo -e "\n=== Finding TransactionHandler ==="
fd -e java TransactionHandler

echo -e "\n=== Finding Transactional annotation ==="
fd -e java Transactional

echo -e "\n=== Finding UserServiceTest ==="
fd -e java UserServiceTest

Length of output: 1307


🏁 Script executed:

#!/bin/bash

# Read UserService implementations
echo "=== AppUserService.java ==="
fd -e java AppUserService --exec cat {}

echo -e "\n=== TxUserService.java ==="
fd -e java TxUserService --exec cat {}

echo -e "\n=== UserService.java (interface) ==="
fd -e java "^UserService.java$" --exec cat {}

Length of output: 6928


🏁 Script executed:

#!/bin/bash

# Read transaction related implementation files
echo "===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java ==="
fd -e java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 --exec cat {}

echo -e "\n=== DataSourceUtils.java ==="
fd -e java DataSourceUtils --exec cat {}

echo -e "\n=== TransactionHandler.java ==="
fd -e java TransactionHandler --exec cat {}

echo -e "\n=== Transactional.java ==="
fd -e java "^Transactional.java$" --exec cat {}

Length of output: 7082


🏁 Script executed:

#!/bin/bash

# Read the test file to understand requirements
echo "=== UserServiceTest.java ==="
fd -e java UserServiceTest --exec cat {}

Length of output: 3094


🏁 Script executed:

#!/bin/bash

# Check UserDao and UserHistoryDao to understand the data layer
echo "=== UserDao.java ==="
fd -e java "^UserDao.java$" --exec cat {}

echo -e "\n=== UserHistoryDao.java ==="
fd -e java "^UserHistoryDao.java$" --exec cat {}

Length of output: 8402


🏁 Script executed:

#!/bin/bash

# Find and read Transaction class
echo "=== Finding Transaction class ==="
fd -e java "^Transaction.java$"

echo -e "\n=== Reading Transaction.java ==="
fd -e java "^Transaction.java$" --exec cat {}

Length of output: 1792


🏁 Script executed:

#!/bin/bash

# Read JdbcTemplate to understand how it uses DataSourceUtils
echo "=== JdbcTemplate.java ==="
cat app/src/main/java/com/interface21/jdbc/core/JdbcTemplate.java 2>/dev/null || cat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core/JdbcTemplate.java 2>/dev/null || fd -e java "^JdbcTemplate.java$" -p "interface21" --exec cat {}

Length of output: 3869


🏁 Script executed:

#!/bin/bash

# Check MockUserHistoryDao used in test
echo "=== MockUserHistoryDao.java ==="
fd -e java MockUserHistoryDao --exec cat {}

Length of output: 643


@AppleMint98 트랜잭션 동기화 구현 코드를 분석했습니다. 몇 가지 중복/개선 포인트를 발견했습니다.

🔍 발견된 문제점

1. TxUserService의 역할 중복

TxUserService는 단순히 AppUserService를 감싸고 모든 메서드에 @Transactional을 붙이는 역할만 합니다:

public class TxUserService implements UserService {
    private final UserService userService;
    
    @Override
    @Transactional
    public void changePassword(...) {
        userService.changePassword(id, newPassword, createdBy);
    }
}

개선 방안: AppUserService에 직접 @Transactional을 붙이면 TxUserService는 불필요합니다. 실제로 첫 번째 테스트에서는 AppUserService를 직접 사용하고 있습니다.

2. JdbcTemplate이 DataSourceUtils를 사용하지 않음

JdbcTemplategetConnection()releaseResources()에서 DataSourceUtils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를 호출합니다:

private Connection getConnection() throws SQLException {
    if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hasConnection(dataSource)) {
        return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getConnection(dataSource);
    }
    return dataSource.getConnection();
}

문제: DataSourceUtils를 만들어놓고 사용하지 않아 일관성이 떨어집니다.

개선 방안:

private Connection getConnection() throws SQLException {
    return DataSourceUtils.getConnection(dataSource);
}

private void releaseResources(PreparedStatement pstmt, Connection conn) {
    if (pstmt != null) {
        try {
            pstmt.close();
        } catch (SQLException e) {
            log.error(e.getMessage(), e);
        }
    }
    if (conn != null) {
        DataSourceUtils.releaseConnection(conn, dataSource);
    }
}

3. DataSourceUtils.releaseConnection 로직 문제 ⚠️

가장 중요한 문제입니다:

public static void releaseConnection(Connection connection, DataSource dataSource) {
    if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hasConnection(dataSource)) {
        return;  // 트랜잭션 진행 중이면 닫지 않음
    }
    
    try {
        connection.close();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unbindConnection(dataSource);
    } catch (SQLException ex) {
        throw new CannotGetJdbcConnectionException("Failed to close JDBC Connection");
    }
}

문제점:

  1. Transaction.commit()/rollback()에서 releaseConnection()을 호출할 때도 hasConnection이 여전히 true이므로 바로 return되어 연결이 닫히지 않습니다
  2. close() 후에 unbindConnection()을 호출하는 순서도 이상합니다

개선 방안:

public static void releaseConnection(Connection connection, DataSource dataSource) {
    if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hasConnection(dataSource)) {
        try {
            connection.close();
        } catch (SQLException ex) {
            throw new CannotGetJdbcConnectionException("Failed to close JDBC Connection");
        }
    }
}

그리고 Transaction 클래스에서:

public void commit() {
    final Connection connection = DataSourceUtils.getConnection(dataSource);
    try {
        connection.commit();
    } catch (SQLException e) {
        throw new DataAccessException("Failed to commit transaction", e);
    } finally {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unbindConnection(dataSource);
        try {
            connection.close();
        } catch (SQLException e) {
            throw new DataAccessException("Failed to close connection", e);
        }
    }
}

📊 트랜잭션 동작 흐름

sequenceDiagram
    participant Test as UserServiceTest
    participant Proxy as UserService Proxy
    participant Handler as TransactionHandler
    participant Tx as Transaction
    participant SyncMgr as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
    participant Service as AppUserService
    participant Template as JdbcTemplate
    participant DB as Database

    Test->>Proxy: changePassword(1L, "newPass", "gugu")
    Proxy->>Handler: invoke(method, args)
    Handler->>Handler: Check @Transactional annotation
    
    alt Has @Transactional
        Handler->>Tx: begin()
        Tx->>DB: getConnection()
        DB-->>Tx: connection
        Tx->>Tx: setAutoCommit(false)
        Tx->>SyncMgr: bindConnection(dataSource, connection)
        
        Handler->>Service: changePassword(1L, "newPass", "gugu")
        Service->>Service: findById(1L)
        Service->>Template: select(sql, mapper, 1L)
        Template->>SyncMgr: getConnection(dataSource)
        SyncMgr-->>Template: existing connection
        Template->>DB: executeQuery()
        DB-->>Template: ResultSet
        Template-->>Service: User
        
        Service->>Service: user.changePassword("newPass")
        Service->>Template: update(sql, user)
        Template->>SyncMgr: getConnection(dataSource)
        SyncMgr-->>Template: existing connection
        Template->>DB: executeUpdate()
        
        Service->>Template: update(sql, userHistory)
        Template->>SyncMgr: getConnection(dataSource)
        SyncMgr-->>Template: existing connection
        Template->>DB: executeUpdate()
        
        Service-->>Handler: void
        
        alt Success
            Handler->>Tx: commit()
            Tx->>DB: connection.commit()
            Tx->>SyncMgr: unbindConnection(dataSource)
            Tx->>DB: connection.close()
            Handler-->>Proxy: result
        else Exception
            Handler->>Tx: rollback()
            Tx->>DB: connection.rollback()
            Tx->>SyncMgr: unbindConnection(dataSource)
            Tx->>DB: connection.close()
            Handler-->>Proxy: throw exception
        end
    end
    
    Proxy-->>Test: result
Loading

핵심 동작 요약

  1. 프록시 생성: JDK Dynamic Proxy로 TransactionHandler 적용
  2. 트랜잭션 시작: @Transactional 메서드 호출 시 Transaction.begin() → Connection을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에 바인딩
  3. DB 작업: JdbcTemplate이 같은 Connection을 재사용하여 모든 작업 수행
  4. 트랜잭션 종료: 성공 시 commit(), 실패 시 rollback() → Connection unbind 및 close

핵심: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가 ThreadLocal로 Connection을 관리하여 같은 스레드 내 모든 DB 작업이 동일한 Connection을 사용하게 합니다.

✅ Actions performed

Review triggered.

Note: CodeRabbit is an incremental review system and does not re-review already reviewed commits. This command is applicable only when automatic reviews are paused.

@coderabbitai
Copy link

coderabbitai bot commented Oct 20, 2025

Walkthrough

이 변경 사항은 사용자 서비스에 트랜잭션 관리 기능을 추가합니다. UserService 인터페이스를 도입하고 AppUserService와 TxUserService 구현체를 추가합니다. 트랜잭션 인프라 계층으로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 TransactionManager 인터페이스, DataSourceTransactionManager, TransactionHandler를 신규 생성합니다.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를 데이터소스별 연결 맵 기반으로 개선하고, JdbcTemplate을 DataSourceUtils 위임 방식으로 리팩토링합니다. 테스트 코드는 동적 프록시 및 Spring AOP 기반 트랜잭션 처리 패턴으로 업데이트됩니다.

Pre-merge checks

❌ Failed checks (1 warning)
Check name Status Explanation Resolution
Docstring Coverage ⚠️ Warning Docstring coverage is 0.00% which is insufficient. The required threshold is 80.00%. You can run @coderabbitai generate docstrings to improve docstring coverage.
✅ Passed checks (2 passed)
Check name Status Explanation
Title Check ✅ Passed PR 제목 "[4단계 - Transaction synchronization 적용하기] 제프리(홍성호) 미션 제출합니다."는 changeset의 핵심 변경사항인 트랜잭션 동기화 메커니즘 구현을 명확하게 반영하고 있습니다. raw_summary에 포함된 주요 변경사항들(DataSourceUtils 구현,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 개선, TransactionHandler 및 @transactional 추가, UserService 인터페이스 및 구현체 추가)은 모두 트랜잭션 동기화라는 주제와 일치합니다. 제목이 간결하면서도 변경사항의 전반적인 의도를 명확하게 전달하고 있습니다.
Description Check ✅ Passed PR 설명은 changeset과 명확하게 관련이 있으며, 구현된 주요 컴포넌트들을 체계적으로 나열하고 있습니다. "DataSourceUtils,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 구현", "AppUserService, TxUserService 구현", "@transactional, TransactionHandler 구현"은 모두 raw_summary에서 확인되는 실제 변경사항이며, "JDK Proxy로 프록시 패턴 적용"이라는 기술적 접근 방식도 설명되어 있습니다. 설명이 충분한 수준의 세부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팀원들이 PR의 범위와 의도를 이해하기에 적절합니다.

Thanks for using CodeRabbit! It's free for OSS, and your support helps us grow. If you like it, consider giving us a shout-out.

❤️ Share

Comment @coderabbitai help to get the list of available commands and usage tips.

Copy link

@coderabbitai coderabbitai bot left a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Actionable comments posted: 3

🧹 Nitpick comments (26)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java (2)

10-47: DataSource 키 선택과 ThreadLocal 수명 관리 확인

  • Map 키로 DataSource 객체를 사용하면 동일한 물리 DS라도 래퍼/프록시 인스턴스가 다르면 매칭이 안 됩니다. 바인딩·조회·해제를 항상 동일 인스턴스로 수행되는지, 혹은 키 정규화 전략이 필요한지 점검해보세요.
  • unbind 누락 시 ThreadLocal이 길게 유지되어 커넥션·DS 참조가 남을 수 있습니다. 예외 경로에서 반드시 unbind되도록 상위 유틸(예: DataSourceUtils)과의 계약을 명확히 하세요.

10-11: 초기화 및 생성 패턴 단순화(가독성)

resources 초기화와 Map 생성 흐름을 일관되게 단순화하면 가독성과 안전성이 좋아집니다(게으른 초기화는 유지하되, 초기화 지점을 한 곳으로). 또한 빈 Map 제거 시점은 현재대로 isEmpty일 때 remove로 충분합니다.

Also applies to: 23-28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core/JdbcTemplate.java (2)

88-93: 커넥션 조회 로직 단일화

hasConnection → getConnection의 이중 체크 대신 “한 번 조회 후 널 여부 판단”이 더 단순하고 안전합니다. 또한 본 PR에 DataSourceUtils가 있다면, 획득·해제를 전부 그 유틸로 일원화하는 방향을 고려해보세요(트랜잭션 인지, 자동 커밋 등 정책 집중).


103-109: 커넥션 해제 정책 일관성

트랜잭션에 바인딩된 경우 닫지 않는 현재 정책은 합리적입니다. 다만 획득과 동일하게 해제도 DataSourceUtils로 위임하면 정책 일관성과 변경 용이성이 커집니다. 예외 경로에서 누락이 없는지 테스트로 확인해보세요.

study/src/test/java/aop/stage1/Stage1Test.java (2)

45-55: 프록시 설정 중복 제거

ProxyFactoryBean 구성(타겟/포인트컷/어드바이스/어드바이저)이 두 테스트에 중복됩니다. 헬퍼 메서드로 추출하면 테스트 의도가 더 선명해지고 변경 비용이 줄어듭니다. Stage2의 자동 프록시 구성과도 정합성이 높아집니다.

Also applies to: 67-77


56-63: 하드코딩된 사용자 ID(1L) 의존도 낮추기

DB 상태나 시드 전략 변경 시 1L 가정이 깨질 수 있습니다. 삽입 시 반환된 ID를 사용하거나 조회 기준을 명시적으로 설정하는 방식으로 테스트 안정성을 높여보세요.

Also applies to: 83-86

study/src/test/java/aop/stage0/Stage0Test.java (3)

47-51: 프록시 생성 시 클래스 로더 선택 검토

Proxy.newProxyInstance에서 현재 테스트 클래스의 로더 대신 타겟 구현체의 로더를 쓰는 편이 컨테이너/리로딩 환경에서 더 안전한 경우가 있습니다. 현재 방식도 동작하겠지만, 장기적으로는 타겟 기준으로 통일을 검토해보세요.


67-71: 프록시 구성 중복 제거

롤백 테스트에서 프록시를 다시 구성합니다. setUp의 프록시 빌더 로직을 재사용 가능하게 추출하면 중복을 줄이고 의도를 더 분명히 표현할 수 있습니다.


60-63: 테스트의 ID 하드코딩 제거

Stage1Test와 동일한 맥락입니다. 1L 가정 대신 실제 삽입 결과를 사용하거나 고유 키로 조회하는 방식으로 테스트를 견고하게 만들어보세요.

Also applies to: 78-81

study/src/test/java/aop/stage1/TransactionAdvice.java (1)

23-35: InvocationTargetException 캐치 필요성 재검토

AOP Alliance의 MethodInvocation.proceed()는 일반적으로 타깃 예외를 그대로 전달합니다. InvocationTargetException을 별도로 캐치할 필요가 없을 수 있으니, 예외 처리 단순화를 고려해보세요. 롤백 규칙(체크/언체크, 커스텀 예외)에 대한 정책도 명문화하면 좋습니다.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core/Transactional.java (1)

10-14: @inherited는 METHOD 타겟에서 효과가 없습니다

@inherited는 타입(클래스) 수준에서만 전파됩니다. 현재 @target(ElementType.METHOD)로 제한되어 있어 실효성이 없습니다. 정말 전파를 원하신다면 타입 수준 적용을 고려하거나, 아니면 @inherited를 제거해 의도를 명확히 해주세요. 왜냐하면 잘못된 메타 설정은 팀에 “전파될 것”이라는 오해를 주고, 테스트/운영에서 일관성 문제를 야기하기 때문입니다.
As per coding guidelines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core/Transaction.java (1)

33-41: 커넥션 재조회/해제 전략 재검토

commit/rollback에서 매번 DataSourceUtils.getConnection(...)로 재조회합니다. TLS 기반 바인딩을 전제로 하더라도, 현재 DataSourceUtils.releaseConnection 구현(아래 파일 참조)이 해제를 건너뛰는 구조여서 누수가 누적될 수 있습니다. 한 가지 방향으로:

  • 트랜잭션 생명주기 동안 동일 커넥션을 보유(필드 보관)하고, 종료 시점에 해제 일원화.
  • 혹은 DataSourceUtils의 “바인딩/해제 정책”을 명확히 하고 그 계약에 맞추어 호출.

또한 autoCommit이 이미 true인 경우 commit 호출이 드라이하거나 예외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가드 조건 검토 및 테스트 케이스(비정상 시나리오 포함)를 권장합니다.
As per coding guidelines

Also applies to: 43-51

study/src/test/java/aop/stage2/AopConfig.java (1)

21-27: 프록시 전략(CGLIB 강제) 선택 의도 확인

proxyTargetClass(true)로 클래스 프록시를 강제하면 인터페이스가 있어도 JDK 프록시 대신 CGLIB이 적용됩니다. 학습 단계에서 “JDK Proxy 적용” 목표(설명에 언급)와 상이할 수 있고, 자기 호출(self-invocation)·final 메서드 제약 등 동작 차이가 생깁니다. 이 설정이 필요한 구체적 케이스(인터페이스가 없는 빈 등)가 있는지 확인해 주세요. 필요 없다면 기본값(인터페이스 우선)을 유지하는 것도 선택지입니다.
As per coding guidelines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AppUserService.java (4)

28-34: 파라미터/도메인 용어 정합성: createBy vs createdBy 불일치

인터페이스(UserService)와 테스트에서는 createdBy를 쓰는데, 여기서는 createBy입니다. 팀 차원의 도메인 용어를 한 가지로 통일하면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이 좋아집니다. 스키마/도메인 객체(UserHistory)까지 함께 정리할 수 있을까요? 왜 지금과 같은 표기가 섞였는지도 한번 되짚어보면 좋겠습니다.

As per coding guidelines


28-34: 원시값 포장 고려

id, newPassword, createdBy가 모두 원시/문자열입니다. 값 객체(UserId, Password, CreatedBy 등)로 포장하면 유효성(예: 비어있지 않음, 패스워드 규칙)과 의도를 타입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만약 포장한다면 어떤 불변식을 해당 객체로 이동시키고, 서비스는 순수 오케스트레이션에 집중하도록 할 수 있겠죠.

As per coding guidelines


19-21: 존재하지 않는 사용자 처리 전략 명시

findById가 찾지 못할 때의 동작(예외 vs null/Optional)이 서비스 계약에 명확히 드러나지 않습니다. 도메인 관점에서 “존재하지 않음”을 어떻게 표현할지 합의하고, 인터페이스/자바독으로 기대 동작을 문서화해볼까요? 테스트도 그 계약을 검증하도록 확장해보면 어떨까요?

As per coding guidelines


23-26: save의 의도 명확화

현재 save는 내부적으로 insert를 위임합니다. create/update를 모두 포괄하는 의미인지, 순수 생성만 의미하는지 애매합니다. 메서드명/계약을 의도에 맞게 정교화(예: create vs update vs upsert)하거나, 호출 측에서 의도가 드러나도록 분리할 수 있을까요?

As per coding guidelines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TxUserService.java (1)

14-30: 트랜잭션 범위 설계(읽기 메서드 포함 여부, 읽기 전용 속성)

모든 메서드(읽기 포함)에 @transactional을 부여했습니다. 읽기 트래픽이 많다면 오버헤드가 생길 수 있어요. readOnly 같은 속성을 도입하거나, 읽기 메서드를 트랜잭션 밖에서 처리하는 대안을 검토해볼까요? 또한 현재 Proxy는 구현체의 어노테이션만 검사합니다. 인터페이스에 @transactional을 붙여도 적용되지 않는 것을 알고 계셨나요? 의도한 선언 위치(인터페이스 vs 구현체)를 팀 규칙으로 고정하면 혼선을 줄일 수 있습니다.

As per coding guidelines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core/TransactionHandler.java (3)

19-23: 어노테이션 탐지 범위 확장

현재 구현체의 메서드에만 @transactional 존재 여부를 검사합니다. 인터페이스/상위 타입에 선언된 어노테이션은 감지되지 않습니다. 팀에서 어노테이션을 어디에 붙일지 표준을 정하거나, 탐지 범위를 인터페이스/구현체 모두로 확장하는 방안을 고려해보시겠어요? 장기적으로 혼선을 줄여줍니다.

As per coding guidelines


26-39: 트랜잭션 종료/자원 정리 보장 및 중첩 호출 시맨틱

begin→invoke→commit/rollback 흐름에서 예외 경로뿐 아니라 모든 경로에서 “스레드 바인딩 리소스 해제/정리”가 보장되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예: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 상태 초기화). 또한 이미 활성화된 트랜잭션 내에서 재진입(같은 스레드에서 또 다른 @transactional 메서드 호출) 시 begin을 중첩으로 수행할지, 무시할지 정책이 정의되어야 합니다. 현재 구현이 re-entrancy를 어떻게 처리하는지 점검해볼까요?

As per coding guidelines


17-24: 리플렉션 비용/캐싱

매 호출마다 getMethod/어노테이션 조회가 수행됩니다. 메서드 시그니처 기준 캐싱을 도입하면 리플렉션 비용과 GC 압력을 줄일 수 있습니다. 장애 원인 파악을 위해 트랜잭션 시작/커밋/롤백 로깅도 함께 고려해볼까요?

As per coding guidelines

app/src/test/java/com/techcourse/service/UserServiceTest.java (3)

47-51: 첫 번째 테스트는 트랜잭션이 실제로 시작되지 않습니다

프록시 타깃이 AppUserService라 @transactional이 없어 TransactionHandler가 트랜잭션을 열지 않습니다. 의도적으로 “기본 동작”을 검증하는 테스트라면 괜찮지만, 트랜잭션 경계를 검증하려면 TxUserService(또는 어노테이션 적용 대상)를 타깃으로 두어야 합니다. 테스트 목적을 주석/이름으로 더 명확히 드러내볼까요?

As per coding guidelines


76-80: createdBy 표기 정합성과 테스트 데이터 일관성

여기서는 createdBy를, 다른 테스트에서는 createBy를 사용합니다. 도메인/스키마/코드 전반의 표기를 통일하고, 테스트 데이터도 같은 표기를 사용하도록 정리해보면 혼동을 줄일 수 있습니다.

As per coding guidelines


30-43: 트랜잭션 라이프사이클 초기화 위치 점검

setUp에서 Transaction.init(dataSource)를 호출해 필드에 보관합니다. 만약 Transaction이 스레드로컬/전역 상태를 가진다면, 테스트 간 상태 누수 가능성은 없을까요? 각 테스트 후 정리(tearDown) 필요 여부를 확인해보면 좋겠습니다.

As per coding guidelines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UserService.java (2)

5-11: 서비스 계약(계약/예외/의도) 명확화

  • findById: 비존재 시 계약(예외/Optional/null) 명시 필요.
  • save: 생성/갱신 범위와 불변식(중복 계정 등) 정의 필요.
  • changePassword: 패스워드 정책/감사(createdBy) 요구사항을 인터페이스 수준에서 서술하면 구현/테스트 일관성이 높아집니다. 간단한 자바독이라도 추가해볼까요?

As per coding guidelines


11-11: 원시값 포장과 도메인 이벤트 설계 힌트

id, newPassword, createdBy를 값 객체로 포장하고, 비밀번호 변경 시 이력(log)을 서비스가 아닌 도메인 이벤트/팩토리에서 생성하도록 위임하면 “Tell, Don’t Ask”에 가까워집니다. 이 방향을 고려해보실까요?

As per coding guidelines

📜 Review details

Configuration used: CodeRabbit UI

Review profile: CHILL

Plan: Pro

📥 Commits

Reviewing files that changed from the base of the PR and between d08cb37 and fc728f0.

📒 Files selected for processing (17)
  •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AppUserService.java (1 hunks)
  •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TxUserService.java (1 hunks)
  •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UserService.java (1 hunks)
  • app/src/test/java/com/techcourse/service/UserServiceTest.java (5 hunks)
  •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core/JdbcTemplate.java (2 hunks)
  •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core/Transaction.java (4 hunks)
  •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core/TransactionHandler.java (1 hunks)
  •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core/Transactional.java (1 hunks)
  •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datasource/DataSourceUtils.java (1 hunks)
  •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java (1 hunks)
  • study/src/test/java/aop/stage0/Stage0Test.java (3 hunks)
  • study/src/test/java/aop/stage0/TransactionHandler.java (1 hunks)
  • study/src/test/java/aop/stage1/Stage1Test.java (3 hunks)
  • study/src/test/java/aop/stage1/TransactionAdvice.java (1 hunks)
  • study/src/test/java/aop/stage1/TransactionAdvisor.java (1 hunks)
  • study/src/test/java/aop/stage1/TransactionPointcut.java (2 hunks)
  • study/src/test/java/aop/stage2/AopConfig.java (1 hunks)
🧰 Additional context used
📓 Path-based instructions (1)
**/*.java

⚙️ CodeRabbit configuration file

**/*.java: ## 🎯 코드 품질 중심 리뷰 가이드라인

이 리뷰는 코드 품질과 객체지향 원칙에 집중합니다.
미션 달성 여부가 아닌, 코드 설계와 품질 개선에 대한 피드백을 한글로 제공해주세요.

📚 학습 원칙

  • 직접 코드를 제공하지 마세요 (학습자가 명시적으로 요청하는 경우 제외)
  • 문제 해결 과정을 안내하되, 정답을 바로 알려주지 마세요
  • 작은 단계로 문제를 분해하여 접근하도록 도와주세요

💡 피드백 방법

  • 유도 질문 활용: "만약 ~라면 어떻게 될까요?", "~를 고려해보셨나요?"
  • 힌트 제공: 방향은 제시하되, 구체적인 구현은 학습자가 하도록
  • 다양한 접근법 제시: 한 가지 해결책이 아닌 여러 가능성을 제안
  • 왜?에 집중: 단순히 무엇이 잘못되었는지보다 왜 그런지 이해하도록

⚡ 객체지향 생활 체조 원칙 검토

다음은 객체지향 생활 체조(Object Calisthenics) 9가지 원칙입니다.
위반 시 학습 효과를 위해 반드시 피드백을 제공하되, 왜 이 원칙이 중요한지 설명해주세요:

규칙 1: 한 메서드에 오직 한 단계의 들여쓰기만

  • 들여쓰기 depth 최대 1 (중첩 제어구조 금지)
    • 📖 이유: 메서드 복잡도 감소, 단일 책임 원칙 강화
    • 💡 힌트: "이 부분을 별도 메서드로 추출하면 어떨까요?"

규칙 2: else 예약어 금지

  • else, switch/case 사용 금지
    • 📖 이유: 복잡한 분기 제거, 명확한 코드 흐름
    • 💡 힌트: "early return이나 가드 클로즈 패턴을 고려해보세요"

규칙 3: 모든 원시값과 문자열 포장

  • 원시 타입과 String을 객체로 포장
    • 📖 이유: 도메인 개념 명확화, 비즈니스 로직 응집
    • 💡 예시: int portPort port, String nameName name

규칙 4: 한 줄에 점 하나만 (디미터 법칙)

  • 메서드 체이닝 제한
    • 📖 이유: 결합도 감소, 캡슐화 향상
    • 💡 나쁜 예: request.getUri().getPath().substring()
    • 💡 좋은 예: request.extractPath()

규칙 5: 축약 금지

  • 명확한 이름 사용 (축약어 금지)
    • 📖 이유: 코드 가독성, 의도 명확화
    • 💡 예시: reqrequest, calcAmtcalculateAmount

규칙 6: 모든 엔티티를 작게 유지

  • 클래스 50줄, 메서드 10줄 이하
    • 📖 이유: 단일 책임, 이해와 테스트 용이성
    • 💡 힌트: "이 클래스가 너무 많은 일을 하고 있지 않나요?"

규칙 7: 인스턴스 변수 3개 이하

  • 클래스당 최대 3개의 인스턴스 변수
    • 📖 이유: 높은 응집도, 단일 책임 유지
    • 💡 힌트: "관련 필드들을 별도 객체로 묶을 수 있을까요?"

규칙 8: 일급 컬렉션 사용

  • 컬렉션을 감싸는 클래스 사용
    • 📖 이유: 컬렉션 로직 캡슐화, 불변성 보장
    • 💡 예시: List<HttpHeader>HttpHeaders 클래스

규칙 9: 게터/세터/프로퍼티 금지

  • Tell, Don't Ask 원칙 준수
    • 📖 이유: 진정한 캡슐화, 객체 자율성
    • 💡 나쁜 예: if (user.getPassword().equals(input))
    • 💡 좋은 예: if (user.authenticate(input))

🎯 추가 프로그래밍 요구사항

코드 스타일

  • Java Style Guide 준수
  • 3항 연산자 사용 금지

테스트 및 구조

  • **모든 기능 T...

Files:

  •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AppUserService.java
  •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core/TransactionHandler.java
  • study/src/test/java/aop/stage1/TransactionAdvice.java
  •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core/Transactional.java
  • study/src/test/java/aop/stage1/TransactionPointcut.java
  • study/src/test/java/aop/stage0/TransactionHandler.java
  • study/src/test/java/aop/stage2/AopConfig.java
  •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java
  • study/src/test/java/aop/stage0/Stage0Test.java
  •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core/JdbcTemplate.java
  •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core/Transaction.java
  • study/src/test/java/aop/stage1/TransactionAdvisor.java
  •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datasource/DataSourceUtils.java
  •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TxUserService.java
  • study/src/test/java/aop/stage1/Stage1Test.java
  • app/src/test/java/com/techcourse/service/UserServiceTest.java
  •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UserService.java
🧬 Code graph analysis (7)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AppUserService.java (2)
app/src/main/java/com/techcourse/dao/UserDao.java (1)
  • UserDao (11-61)
app/src/main/java/com/techcourse/dao/UserHistoryDao.java (1)
  • UserHistoryDao (9-28)
study/src/test/java/aop/stage2/AopConfig.java (3)
study/src/test/java/aop/stage1/TransactionAdvice.java (1)
  • TransactionAdvice (13-36)
study/src/test/java/aop/stage1/TransactionAdvisor.java (1)
  • TransactionAdvisor (11-35)
study/src/test/java/aop/stage1/TransactionPointcut.java (1)
  • TransactionPointcut (14-20)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core/JdbcTemplate.java (1)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java (1)
  •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 (8-48)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core/Transaction.java (1)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datasource/DataSourceUtils.java (1)
  • DataSourceUtils (11-42)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datasource/DataSourceUtils.java (1)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java (1)
  •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 (8-48)
app/src/test/java/com/techcourse/service/UserServiceTest.java (4)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core/TransactionHandler.java (1)
  • TransactionHandler (7-48)
app/src/main/java/com/techcourse/config/DataSourceConfig.java (1)
  • DataSourceConfig (7-27)
app/src/main/java/com/techcourse/dao/UserDao.java (1)
  • UserDao (11-61)
app/src/main/java/com/techcourse/dao/UserHistoryDao.java (1)
  • UserHistoryDao (9-28)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UserService.java (1)
study/src/test/java/aop/stage1/UserService.java (1)
  • UserService (9-36)
🔇 Additional comments (7)
study/src/test/java/aop/stage1/TransactionAdvisor.java (1)

13-19: 구성 명료하고 목적에 부합합니다

불변 필드와 생성자 주입으로 Advisor 구성이 깔끔합니다. 필요하다면 방어적 널 검증 정도만 고려하시면 됩니다.

Also applies to: 21-29, 32-33

study/src/test/java/aop/stage1/TransactionAdvice.java (1)

15-20: 생성자 주입과 책임 분리가 명확합니다

PlatformTransactionManager 주입으로 트랜잭션 책임이 깔끔히 분리되어 있습니다. 테스트 관점에서도 대체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study/src/test/java/aop/stage1/Stage1Test.java (1)

45-55: 리뷰 코멘트의 가정이 코드 현실과 맞지 않습니다.

검증 결과:

  • study/src/test/java/aop/stage1/UserService.java인터페이스가 아닌 일반 클래스로 정의됨
  • Stage1Test와 동일 패키지에 위치하며, 제시된 생성자(UserService(UserDao, UserHistoryDao))가 존재
  • 45줄의 new UserService(userDao, userHistoryDao) 호출은 완벽히 유효하고 컴파일 가능
  • 타입 혼동이나 런타임 실패 가능성 없음

코드는 정상 작동하므로 이 부분에 대한 조치 불필요합니다.

Likely an incorrect or invalid review comment.

study/src/test/java/aop/stage1/TransactionPointcut.java (1)

16-19: 리뷰 댓글은 @transactional 애노테이션 정의에 대한 고려 부족

검증 결과, 현재 구현은 적절합니다:

  • @Transactional@Target({ElementType.METHOD}) 정의로 인해 메서드 레벨에만 적용 가능
  • 인터페이스나 클래스 레벨 배치는 컴파일 단계에서 불가능
  • 실제 코드(UserService)에서 모든 @Transactional 애노테이션이 메서드에만 배치됨
  • method.isAnnotationPresent(Transactional.class) 호출로 충분한 감지 커버리지 제공

targetClass 파라미터는 StaticMethodMatcherPointcut 계약에 따른 선택사항이며, 현재 애노테이션 감지 전략에서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Likely an incorrect or invalid review comment.

study/src/test/java/aop/stage2/AopConfig.java (1)

14-19: Advisor 빈 구성은 명확하고 응집도가 좋습니다

포인트컷과 어드바이스의 역할이 분리되어 있고, 트랜잭션 책임이 잘 드러납니다. 테스트 관점에서 이해 용이합니다.

study/src/test/java/aop/stage0/TransactionHandler.java (1)

27-35: 인터페이스 메서드의 @transactional 감지 여부를 명확히 하세요

현재 코드는 정상 작동하지만, 설계상 주의가 필요합니다. Stage0의 TransactionHandler는 target.getClass().getMethod()로 구현체 메서드만 검사하기 때문에, 인터페이스에만 @transactional이 있는 경우 감지하지 못합니다.

현재 aop.service.UserService 인터페이스에는 애노테이션이 없고, 구현체 AppUserService에만 있어서 작동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패턴은 Java 리플렉션의 동작 방식상 불안정합니다. 인터페이스와 구현체의 애노테이션 검사 일관성을 보장하려면:

  • method 파라미터(프록시가 받은 인터페이스 메서드)도 함께 검사하거나
  • 두 메서드 모두 확인하는 헬퍼 메서드를 작성하여 Stage1/2와 일치시키세요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core/Transactional.java (1)

1-15: @transactional 애노테이션의 패키지 분리는 의도된 아키텍처 설계입니다

검증 결과, com.interface21.jdbc.core.Transactional은 현재 jdbc.core.TransactionHandler와 함께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습니다.

  • study/ 모듈: aop.Transactional + TransactionPointcut (AOP 기반)
  • jdbc/ 모듈: com.interface21.jdbc.core.Transactional + TransactionHandler (직접 프록시)

두 애노테이션은 서로 다른 모듈의 별개 트랜잭션 시스템에서 사용되므로, 기능상 충돌이나 누락은 없습니다. 다만 동일한 개념의 애노테이션이 두 개 존재하면서 향후 유지보수 시 혼동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은 타당합니다.

현재 구현은 정상이지만, 일관성 측면에서 aop.Transactional로 통일하거나 모듈별 명확한 문서화를 권장합니다.

@coderabbitai
Copy link

coderabbitai bot commented Oct 20, 2025

@AppleMint98 안녕하세요!

이미 위에서 트랜잭션 동기화 구현에 대한 상세한 분석을 제공해드렸습니다. 분석 내용을 요약하면:

🔍 발견된 주요 문제점

  1. TxUserService의 역할 중복 - AppUserService를 감싸는 역할만 하므로 불필요
  2. JdbcTemplate이 DataSourceUtils 미사용 - 일관성을 위해 DataSourceUtils를 사용해야 함
  3. DataSourceUtils.releaseConnection 로직 문제 - 트랜잭션 종료 시 Connection이 제대로 닫히지 않는 문제

📊 동작 흐름

위의 Mermaid 시퀀스 다이어그램으로 전체 흐름을 시각화했으며, 핵심은:

  • 프록시 패턴으로 @Transactional 메서드 인터셉트
  •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가 ThreadLocal로 DataSource별 Connection 관리
  • 같은 스레드 내 모든 DB 작업이 동일한 Connection 사용
  • 성공 시 commit, 실패 시 rollback 후 Connection 정리

추가로 궁금하신 부분이나 특정 부분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시면 말씀해주세요! 🙂

✅ Actions performed

Review triggered.

Note: CodeRabbit is an incremental review system and does not re-review already reviewed commits. This command is applicable only when automatic reviews are paused.

@coderabbitai
Copy link

coderabbitai bot commented Oct 20, 2025

🧩 Analysis chain

🏁 Script executed:

#!/bin/bash

# Read all transaction-related implementation files
echo "===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 ==="
cat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java

echo -e "\n=== DataSourceUtils ==="
cat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datasource/DataSourceUtils.java

echo -e "\n=== Transaction ==="
cat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core/Transaction.java

echo -e "\n=== TransactionHandler ==="
cat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core/TransactionHandler.java

echo -e "\n=== JdbcTemplate connection management ==="
cat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core/JdbcTemplate.java | grep -A 15 "private Connection getConnection"
cat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core/JdbcTemplate.java | grep -A 15 "private void releaseResources"

Length of output: 4136


🏁 Script executed:

#!/bin/bash

# Read service layer files
echo "=== AppUserService ==="
cat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AppUserService.java

echo -e "\n=== TxUserService ==="
cat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TxUserService.java

echo -e "\n=== UserService interface ==="
cat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UserService.java

echo -e "\n=== UserServiceTest ==="
cat app/src/test/java/com/techcourse/service/UserServiceTest.java

Length of output: 5321


🏁 Script executed:

#!/bin/bash

# Find Transaction and TransactionHandler files
echo "=== Finding Transaction files ==="
fd -t f "Transaction" | grep -E "\.(java|kt)$"

echo -e "\n=== Reading Transaction.java ==="
fd -t f "^Transaction.java$" --exec cat {}

echo -e "\n=== Reading TransactionHandler.java ==="
fd -t f "^TransactionHandler.java$" --exec cat {}

Length of output: 4429


🏁 Script executed:

#!/bin/bash

# Read TransactionManager files
echo "=== TransactionManager interface ==="
cat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Manager.java

echo -e "\n=== DataSourceTransactionManager ==="
cat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DataSourceTransactionManager.java

echo -e "\n=== Transactional annotation ==="
cat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Transactional.java

Length of output: 2560


@AppleMint98 트랜잭션 동기화 구현 코드를 상세히 분석했습니다. 전반적으로 잘 구현되어 있지만, 몇 가지 개선할 부분을 발견했습니다.

🔍 발견된 문제점

1. TxUserService의 이중 래핑 (중복 레이어) ⚠️

testTransactionRollback에서 이중 래핑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 Proxy -> TransactionHandler -> TxUserService -> AppUserService
userService = (UserService) Proxy.newProxyInstance(
    getClass().getClassLoader(),
    new Class[] { UserService.class },
    new TransactionHandler(transactionManager, new TxUserService(appUserService))
);

문제점:

  • TxUserService는 단순히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을 추가하는 데코레이터입니다
  • 그런데 TransactionHandler 프록시가 이미 @Transactional을 감지하고 트랜잭션을 처리합니다
  • 결과적으로 불필요한 메서드 위임 레이어가 추가됩니다

개선 방안:

// 옵션 1: AppUserService에 직접 @Transactional 추가
public class AppUserService implements UserService {
    // ...
    
    @Override
    @Transactional  // 추가
    public void changePassword(final long id, final String newPassword, final String createBy) {
        final var user = findById(id);
        user.changePassword(newPassword);
        userDao.update(user);
        userHistoryDao.log(new UserHistory(user, createBy));
    }
}

// 그러면 TxUserService 불필요
userService = (UserService) Proxy.newProxyInstance(
    getClass().getClassLoader(),
    new Class[] { UserService.class },
    new TransactionHandler(transactionManager, appUserService)  // 직접 사용
);

2. testChangePassword는 트랜잭션이 작동하지 않음

첫 번째 테스트를 보면:

userService = (UserService) Proxy.newProxyInstance(
    getClass().getClassLoader(),
    new Class[] { UserService.class },
    new TransactionHandler(transactionManager, new AppUserService(userDao, userHistoryDao))
);

AppUserService에는 @Transactional이 없으므로, TransactionHandler가 트랜잭션을 시작하지 않습니다. 이 테스트는 auto-commit 모드로 동작하고 있어서 각 DAO 메서드가 독립적으로 커밋됩니다. 롤백 테스트가 아니므로 통과하지만, 트랜잭션이 작동하는 것은 아닙니다.

3. 두 테스트의 불일치

  • testChangePassword: AppUserService 직접 사용 (트랜잭션 없음)
  • testTransactionRollback: TxUserService로 감싸서 사용 (트랜잭션 있음)

일관성 문제: 같은 기능을 다른 방식으로 테스트하고 있습니다.

📊 트랜잭션 동작 흐름 다이어그램

sequenceDiagram
    participant Test as UserServiceTest
    participant Proxy as JDK Proxy<br/>(UserService)
    participant Handler as TransactionHandler
    participant TxMgr as DataSourceTransactionManager
    participant SyncMgr as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
    participant TxService as TxUserService
    participant AppService as AppUserService
    participant Template as JdbcTemplate
    participant DSUtils as DataSourceUtils
    participant DB as DataSource

    Test->>Proxy: changePassword(1L, "newPass", "gugu")
    Proxy->>Handler: invoke(method, args)
    
    Note over Handler: @Transactional 체크
    Handler->>TxService: getMethod("changePassword")
    TxService-->>Handler: @Transactional 발견!
    
    rect rgb(200, 220, 255)
    Note over Handler,DB: 트랜잭션 시작
    Handler->>TxMgr: begin()
    TxMgr->>DSUtils: getConnection(dataSource)
    DSUtils->>SyncMgr: getConnection(dataSource)
    SyncMgr-->>DSUtils: null (없음)
    DSUtils->>DB: dataSource.getConnection()
    DB-->>DSUtils: new Connection
    DSUtils->>SyncMgr: bindConnection(dataSource, conn)
    Note over SyncMgr: ThreadLocal에 저장
    DSUtils-->>TxMgr: connection
    TxMgr->>DB: setAutoCommit(false)
    end
    
    rect rgb(255, 240, 200)
    Note over Handler,AppService: 비즈니스 로직 실행
    Handler->>TxService: changePassword(1L, "newPass", "gugu")
    TxService->>AppService: changePassword(1L, "newPass", "gugu")
    
    AppService->>AppService: findById(1L)
    AppService->>Template: select(sql, mapper, 1L)
    Template->>DSUtils: getConnection(dataSource)
    DSUtils->>SyncMgr: getConnection(dataSource)
    Note over SyncMgr: ThreadLocal에서 조회
    SyncMgr-->>DSUtils: 기존 connection (재사용!)
    DSUtils-->>Template: connection
    Template->>DB: executeQuery()
    DB-->>Template: ResultSet
    Template-->>AppService: User
    
    AppService->>Template: update(sql, user)
    Template->>DSUtils: getConnection(dataSource)
    DSUtils->>SyncMgr: getConnection(dataSource)
    SyncMgr-->>DSUtils: 기존 connection (재사용!)
    Template->>DB: executeUpdate()
    
    AppService->>Template: update(sql, userHistory)
    Template->>DSUtils: getConnection(dataSource)
    DSUtils->>SyncMgr: getConnection(dataSource)
    SyncMgr-->>DSUtils: 기존 connection (재사용!)
    Template->>DB: executeUpdate()
    
    AppService-->>TxService: void
    TxService-->>Handler: void
    end
    
    rect rgb(200, 255, 200)
    Note over Handler,DB: 트랜잭션 커밋
    Handler->>TxMgr: commit()
    TxMgr->>DSUtils: getConnection(dataSource)
    DSUtils->>SyncMgr: getConnection(dataSource)
    SyncMgr-->>DSUtils: connection
    TxMgr->>DB: connection.commit()
    TxMgr->>TxMgr: releaseConnection()
    TxMgr->>SyncMgr: unbindConnection(dataSource)
    Note over SyncMgr: ThreadLocal에서 제거
    SyncMgr-->>TxMgr: connection
    TxMgr->>DSUtils: releaseConnection(conn, dataSource)
    DSUtils->>SyncMgr: hasNotConnection(dataSource)
    SyncMgr-->>DSUtils: true (이미 제거됨)
    DSUtils->>DB: connection.close()
    end
    
    Handler-->>Proxy: result
    Proxy-->>Test: result
Loading

💡 핵심 동작 요약

1. 트랜잭션 시작 (begin)

  • DataSourceUtils.getConnection(): ThreadLocal에 Connection이 없으면 새로 생성하고 bind
  • setAutoCommit(false): 수동 트랜잭션 모드로 전환

2. 비즈니스 로직 실행

  • 모든 JdbcTemplate 작업이 DataSourceUtils.getConnection() 호출
  •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가 ThreadLocal에서 같은 Connection 반환
  • 여러 DAO 작업이 하나의 트랜잭션으로 묶임

3. 트랜잭션 종료 (commit/rollback)

  • unbindConnection(): ThreadLocal에서 제거
  • releaseConnection(): 제거된 후에는 hasNotConnection이 true이므로 Connection close
  • 예외 발생 시 rollback() 후 같은 cleanup 과정 진행

4. 핵심 메커니즘

// DataSourceUtils의 핵심 로직
public static Connection getConnection(DataSource dataSource) {
    Connection connection =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getConnection(dataSource);
    if (connection != null) {
        return connection;  // 기존 Connection 재사용!
    }
    // 없으면 새로 생성하고 bind
    connection = dataSource.getConnection();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bindConnection(dataSource, connection);
    return connection;
}

✅ 권장 개선 사항

방안 1: 프록시 패턴만 사용 (추천)

// AppUserService.java
public class AppUserService implements UserService {
    // ...
    
    @Override
    @Transactional  // 추가!
    public void changePassword(final long id, final String newPassword, final String createBy) {
        final var user = findById(id);
        user.changePassword(newPassword);
        userDao.update(user);
        userHistoryDao.log(new UserHistory(user, createBy));
    }
}

// UserServiceTest.java - 두 테스트 모두 동일하게
@BeforeEach
void setUp() {
    // ...
    final var appUserService = new AppUserService(userDao, userHistoryDao);
    this.userService = (UserService) Proxy.newProxyInstance(
        getClass().getClassLoader(),
        new Class[] { UserService.class },
        new TransactionHandler(transactionManager, appUserService)
    );
}

@Test
void testChangePassword() {
    // userService는 이미 setUp에서 설정됨
    userService.changePassword(1L, "qqqqq", "gugu");
    // ...
}

@Test
void testTransactionRollback() {
    // Mock DAO로 교체 후 다시 프록시 생성
    final var userHistoryDao = new MockUserHistoryDao(jdbcTemplate);
    final var appUserService = new AppUserService(userDao, userHistoryDao);
    userService = (UserService) Proxy.newProxyInstance(
        getClass().getClassLoader(),
        new Class[] { UserService.class },
        new TransactionHandler(transactionManager, appUserService)
    );
    // ...
}

장점: TxUserService 제거 가능, 레이어 단순화

방안 2: 데코레이터 패턴만 사용

프록시를 제거하고 TxUserService가 직접 트랜잭션 관리:

public class TxUserService implements UserService {
    private final UserService userService;
    private final TransactionManager transactionManager;
    
    // commit/rollback 직접 처리
}

단점: 중복 코드 증가 (트랜잭션 처리 로직을 TxUserService에 복제)

결론

현재 구현은 전반적으로 올바르게 작동하지만, TxUserService가 불필요한 중복 레이어를 만들고 있습니다. 방안 1을 적용하여 AppUserService에 직접 @Transactional을 추가하고 TxUserService를 제거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코드 리뷰 잘 부탁드립니다! 👍

✅ Actions performed

Review triggered.

Note: CodeRabbit is an incremental review system and does not re-review already reviewed commits. This command is applicable only when automatic reviews are paused.

Copy link

@coderabbitai coderabbitai bot left a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Actionable comments posted: 4

Caution

Some comments are outside the diff and can’t be posted inline due to platform limitations.

⚠️ Outside diff range comments (1)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core/JdbcTemplate.java (1)

88-101: DataSourceUtils의 현재 구현이 비트랜잭션 경로에서 커넥션 누수를 발생시킵니다.

코드를 검증한 결과, 리뷰 코멘트의 진단이 정확합니다:

문제점:

  • getConnection()은 새 커넥션을 얻을 때마다 bindConnection()으로 무조건 바인딩
  • releaseConnection()hasNotConnection()이 true(바인딩이 없을 때)일 때만 close
  • 비트랜잭션 호출 시: 커넥션이 bind되지만, release에서는 바인딩이 있으므로 close되지 않음 → ThreadLocal에 남음

현재 상태:

  • JdbcTemplateTest.java가 비어있어 이 누수 문제가 감지되지 않음
  • 트랜잭션 없는 select/update 호출 반복 시 커넥션 누적

필수 조치:
방안 A (권장)를 적용하세요: getConnection()이 트랜잭션 내에서만 바인딩하도록 수정. 비트랜잭션 경로에서는 단순 반환하고, 트랜잭션 시작 시점에만 bindConnection()을 호출해야 합니다. 이후 비트랜잭션 경로의 커넥션 정상 닫힘을 검증하는 단위 테스트를 추가하세요.

♻️ Duplicate comments (1)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DataSourceTransactionManager.java (1)

23-32: begin() 실패 경로 리소스 누수 이슈는 대부분 해소되었습니다.

setAutoCommit(false) 실패 시 releaseConnection()으로 언바인드+닫기를 수행하는 흐름은 적절합니다. 과거 누수 코멘트에 대한 대응이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setAutoCommit 실패를 강제로 유발하는 테스트를 하나 추가해 회귀를 막는 것을 권장합니다.

🧹 Nitpick comments (6)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Manager.java (1)

3-9: 트랜잭션 계약(스레드 범위/아이도팟시/예외 규약)을 명확히 해주세요.

  • begin/commit/rollback의 호출 규약(같은 스레드/같은 DataSource 바인딩, 중첩 호출 불가 여부, 실패 시 보장사항)을 JavaDoc으로 명시하면 이후 구현/사용자 실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 특히 “트랜잭션이 없을 때 commit/rollback 호출 시 동작”을 계약으로 못 박아두면, 구현체에서 방어 로직을 일관되게 둘 수 있습니다.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DataSourceTransactionManager.java (1)

58-61: release 순서(언바인드 후 close)는 좋습니다. 다만 null‑안전성과 예외 처리 정책을 점검해 주세요.

  • 언바인드 결과가 null인 경우를 안전하게 처리할지(즉시 return vs 예외) 정책을 정해 주세요. 현재 DataSourceUtils.releaseConnection(...)가 null 입력을 전제로 하지 않는다면 NPE 위험이 있습니다.
  • close 실패 시 예외 전파/로깅 정책을 일관화해(예: DataAccessException 래핑) 진단 가능성을 높여 보세요.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Transactional.java (1)

10-15: 타깃을 TYPE까지 확장하고, @inherited의 실효성을 재검토해 보세요.

  • 현재 METHOD 전용이라 클래스 단위 선언이 불가합니다. 서비스 전역 트랜잭션을 의도했다면 TYPE 타깃 추가가 유용합니다.
  • @inherited는 클래스 레벨에만 의미가 있어 METHOD 전용 구성에서는 실효성이 없습니다. TYPE을 허용하지 않을 거라면 제거도 고려해 보세요.
  • 향후 설계 방향(메서드 우선 vs 클래스 기본/메서드 오버라이드)을 결정해 일관된 룰을 문서화하면 좋습니다.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TxUserService.java (1)

6-31: 트랜잭션 부착 전용 래퍼의 가치와 중복을 재검토해 보세요.

현재 클래스는 모든 메서드가 단순 위임 + @transactional 부착만 수행합니다. 레이어가 하나 더 늘어나 유지보수 복잡도 대비 이점이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 대안 1: AppUserService에 클래스 레벨 @transactional을 부여하고, 필요 시 일부 메서드만 예외로 재정의.
  • 대안 2: 인터페이스(UserService) 또는 구현(AppUserService) 메서드의 애노테이션을 TransactionHandler가 올바르게 해석하도록 하여 래퍼 제거.
  • 대안 3: “읽기 전용/쓰기 분리” 같은 정책적 차이를 이 레이어에서 수행할 계획이 아니라면 YAGNI 관점에서 단순화를 고려.
    질문: 현재 TransactionHandler는 “프록시에서 받은 Method” 기준으로만 애노테이션을 확인하나요, 아니면 “실제 타깃 클래스의 메서드/클래스”도 조회하나요? 이 동작에 따라 위 대안의 실현 가능성이 달라집니다.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handler/TransactionHandler.java (1)

28-41: 트랜잭션 정리가 보장되지 않는 상황을 고려해보세요

현재 구현은 예외 발생 시 rollback을 호출하지만, commit() 자체가 예외를 던지는 경우를 생각해보세요:

try {
    final Object invoke = method.invoke(target, args);
    transactionManager.commit();  // 만약 여기서 예외가 발생하면?
    return invoke;
}

commit 중 예외가 발생하면 catch 블록에서 rollback을 호출하게 되는데, 이미 부분적으로 커밋된 상태에서 rollback이 안전하게 동작할까요?

더 안전한 패턴을 고려해보신다면:

  • finally 블록에서 트랜잭션 상태를 확인하고 정리를 보장하거나
  • TransactionManager가 트랜잭션 상태를 추적하여 중복 cleanup을 방지하거나

현재 TransactionManager 구현이 이러한 케이스를 어떻게 처리하는지 확인해보셨나요?

app/src/test/java/com/techcourse/service/UserServiceTest.java (1)

63-85: 트랜잭션 래핑이 이중으로 적용되는 구조를 고려해보세요

Line 73에서 TxUserServiceappUserService를 감싸고, 이를 다시 TransactionHandler로 감싸는 구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appUserService (AppUserService)
  → TxUserService로 래핑TransactionHandler로 래핑

이 구조를 선택하신 의도를 생각해보시면:

  • TxUserService는 어떤 역할을 담당하고 있나요?
  • TxUserService의 메서드에 @Transactional이 있다면, TransactionHandler가 이를 감지하여 트랜잭션을 적용할 것입니다
  • 그렇다면 TxUserServiceTransactionHandler 중 어느 계층에서 실제 트랜잭션 처리가 일어날까요?

반면 Line 51의 testChangePassword에서는 AppUserService를 직접 래핑하고 있습니다. 두 테스트가 서로 다른 래핑 전략을 사용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만약 AppUserService에 직접 @Transactional을 적용한다면, TxUserService 계층이 필요할까요? 각 계층의 책임과 필요성을 다시 한번 검토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As per coding guidelines

📜 Review details

Configuration used: CodeRabbit UI

Review profile: CHILL

Plan: Pro

📥 Commits

Reviewing files that changed from the base of the PR and between fc728f0 and 32bf4fb.

📒 Files selected for processing (9)
  •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TxUserService.java (1 hunks)
  • app/src/test/java/com/techcourse/service/UserServiceTest.java (5 hunks)
  •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core/JdbcTemplate.java (3 hunks)
  •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datasource/DataSourceUtils.java (1 hunks)
  •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Transactional.java (1 hunks)
  •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handler/TransactionHandler.java (1 hunks)
  •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DataSourceTransactionManager.java (1 hunks)
  •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Manager.java (1 hunks)
  •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java (1 hunks)
🚧 Files skipped from review as they are similar to previous changes (1)
  •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java
🧰 Additional context used
📓 Path-based instructions (1)
**/*.java

⚙️ CodeRabbit configuration file

**/*.java: ## 🎯 코드 품질 중심 리뷰 가이드라인

이 리뷰는 코드 품질과 객체지향 원칙에 집중합니다.
미션 달성 여부가 아닌, 코드 설계와 품질 개선에 대한 피드백을 한글로 제공해주세요.

📚 학습 원칙

  • 직접 코드를 제공하지 마세요 (학습자가 명시적으로 요청하는 경우 제외)
  • 문제 해결 과정을 안내하되, 정답을 바로 알려주지 마세요
  • 작은 단계로 문제를 분해하여 접근하도록 도와주세요

💡 피드백 방법

  • 유도 질문 활용: "만약 ~라면 어떻게 될까요?", "~를 고려해보셨나요?"
  • 힌트 제공: 방향은 제시하되, 구체적인 구현은 학습자가 하도록
  • 다양한 접근법 제시: 한 가지 해결책이 아닌 여러 가능성을 제안
  • 왜?에 집중: 단순히 무엇이 잘못되었는지보다 왜 그런지 이해하도록

⚡ 객체지향 생활 체조 원칙 검토

다음은 객체지향 생활 체조(Object Calisthenics) 9가지 원칙입니다.
위반 시 학습 효과를 위해 반드시 피드백을 제공하되, 왜 이 원칙이 중요한지 설명해주세요:

규칙 1: 한 메서드에 오직 한 단계의 들여쓰기만

  • 들여쓰기 depth 최대 1 (중첩 제어구조 금지)
    • 📖 이유: 메서드 복잡도 감소, 단일 책임 원칙 강화
    • 💡 힌트: "이 부분을 별도 메서드로 추출하면 어떨까요?"

규칙 2: else 예약어 금지

  • else, switch/case 사용 금지
    • 📖 이유: 복잡한 분기 제거, 명확한 코드 흐름
    • 💡 힌트: "early return이나 가드 클로즈 패턴을 고려해보세요"

규칙 3: 모든 원시값과 문자열 포장

  • 원시 타입과 String을 객체로 포장
    • 📖 이유: 도메인 개념 명확화, 비즈니스 로직 응집
    • 💡 예시: int portPort port, String nameName name

규칙 4: 한 줄에 점 하나만 (디미터 법칙)

  • 메서드 체이닝 제한
    • 📖 이유: 결합도 감소, 캡슐화 향상
    • 💡 나쁜 예: request.getUri().getPath().substring()
    • 💡 좋은 예: request.extractPath()

규칙 5: 축약 금지

  • 명확한 이름 사용 (축약어 금지)
    • 📖 이유: 코드 가독성, 의도 명확화
    • 💡 예시: reqrequest, calcAmtcalculateAmount

규칙 6: 모든 엔티티를 작게 유지

  • 클래스 50줄, 메서드 10줄 이하
    • 📖 이유: 단일 책임, 이해와 테스트 용이성
    • 💡 힌트: "이 클래스가 너무 많은 일을 하고 있지 않나요?"

규칙 7: 인스턴스 변수 3개 이하

  • 클래스당 최대 3개의 인스턴스 변수
    • 📖 이유: 높은 응집도, 단일 책임 유지
    • 💡 힌트: "관련 필드들을 별도 객체로 묶을 수 있을까요?"

규칙 8: 일급 컬렉션 사용

  • 컬렉션을 감싸는 클래스 사용
    • 📖 이유: 컬렉션 로직 캡슐화, 불변성 보장
    • 💡 예시: List<HttpHeader>HttpHeaders 클래스

규칙 9: 게터/세터/프로퍼티 금지

  • Tell, Don't Ask 원칙 준수
    • 📖 이유: 진정한 캡슐화, 객체 자율성
    • 💡 나쁜 예: if (user.getPassword().equals(input))
    • 💡 좋은 예: if (user.authenticate(input))

🎯 추가 프로그래밍 요구사항

코드 스타일

  • Java Style Guide 준수
  • 3항 연산자 사용 금지

테스트 및 구조

  • **모든 기능 T...

Files:

  •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Manager.java
  •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core/JdbcTemplate.java
  •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TxUserService.java
  •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Transactional.java
  •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handler/TransactionHandler.java
  • app/src/test/java/com/techcourse/service/UserServiceTest.java
  •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datasource/DataSourceUtils.java
  •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DataSourceTransactionManager.java
🧬 Code graph analysis (4)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core/JdbcTemplate.java (1)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datasource/DataSourceUtils.java (1)
  • DataSourceUtils (10-38)
app/src/test/java/com/techcourse/service/UserServiceTest.java (3)
app/src/main/java/com/techcourse/config/DataSourceConfig.java (1)
  • DataSourceConfig (7-27)
app/src/main/java/com/techcourse/dao/UserDao.java (1)
  • UserDao (11-61)
app/src/main/java/com/techcourse/dao/UserHistoryDao.java (1)
  • UserHistoryDao (9-28)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datasource/DataSourceUtils.java (1)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java (1)
  •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 (8-52)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DataSourceTransactionManager.java (2)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datasource/DataSourceUtils.java (1)
  • DataSourceUtils (10-38)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java (1)
  •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 (8-52)
🔇 Additional comments (3)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handler/TransactionHandler.java (2)

19-26: 프록시 패턴 구현이 적절합니다

타겟 메서드에서 @Transactional 애노테이션 유무를 확인하여 트랜잭션 적용 여부를 결정하는 로직이 명확합니다. JDK Dynamic Proxy를 활용한 좋은 구현입니다.


43-49: 비 트랜잭션 경로 처리가 깔끔합니다

InvocationTargetException을 적절히 언래핑하여 원본 예외를 전파하고 있습니다.

app/src/test/java/com/techcourse/service/UserServiceTest.java (1)

46-61: 트랜잭션 테스트 구조가 명확합니다

Dynamic Proxy를 사용하여 AppUserService에 트랜잭션 기능을 추가하는 방식이 테스트 목적에 잘 맞습니다. 프록시 패턴의 동작을 검증하기에 적절한 구조입니다.

Comment on lines +14 to +27
public static Connection getConnection(DataSource dataSource) throws CannotGetJdbcConnectionException {
Connection connection =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getConnection(dataSource);
if (connection != null) {
return connection;
}

try {
connection = dataSource.getConnection();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bindConnection(dataSource, connection);
return connection;
} catch (SQLException ex) {
throw new CannotGetJdbcConnectionException("Failed to obtain JDBC Connection", ex);
}
}
Copy link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 Potential issue | 🔴 Critical

🧩 Analysis chain

트랜잭션 외부 호출에서도 무조건 바인딩이 발생합니다

현재 구현은 새로운 커넥션을 획득할 때마다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에 바인딩합니다(line 22). 하지만 트랜잭션이 아닌 단발성 JDBC 호출에서도 바인딩이 일어나면, 명시적으로 해제하지 않는 한 커넥션이 ThreadLocal에 계속 남아있게 됩니다.

이로 인해 어떤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을까요?

  • 커넥션 풀에서 커넥션이 반환되지 않아 고갈될 수 있습니다
  • 다음 요청이 동일 스레드에서 실행될 때 이전 커넥션을 재사용하게 될 수 있습니다

바인딩은 "실제 트랜잭션이 시작된 경우"로 한정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예를 들어:

  • Transaction.begin()에서만 바인딩을 수행하거나
  • "트랜잭션 동기화가 활성화된 경우"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확인하거나

현재 설계에서 트랜잭션 경계를 어떻게 구분하고 계신가요?

Based on learnings



---

🏁 Script executed:

```shell
#!/bin/bash
# Search for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 class and its bindConnection method
echo "=== Searching for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 implementation ==="
fd -t f -e java | xargs grep -l "class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 2>/dev/null

echo -e "\n=== Searching for bindConnection method definition ==="
fd -t f -e java | xargs grep -n "bindConnection" -A 5 -B 2 2>/dev/null | head -100

echo -e "\n=== Searching for transaction context checks ==="
fd -t f -e java | xargs grep -n "isTransactionActive\|inTransaction\|getTransactionStatus" -B 2 -A 2 2>/dev/null | head -80

echo -e "\n=== Searching for connection release/cleanup patterns ==="
fd -t f -e java | xargs grep -n "releaseConnection\|unbind\|clean" -B 1 -A 3 2>/dev/null | head -100

Length of output: 8152


🏁 Script executed:

#!/bin/bash
# Look for test files related to DataSourceUtils
echo "=== Finding test files for DataSourceUtils ==="
fd -t f -e java | grep -i "test.*datasource\|datasource.*test" 2>/dev/null

echo -e "\n=== Searching for usage patterns of getConnection ==="
fd -t f -e java | xargs grep -n "DataSourceUtils.getConnection\|getConnection(dataSource)" -B 2 -A 5 2>/dev/null | head -120

Length of output: 4916



---

🏁 Script executed:

```shell
#!/bin/bash
# Search for hasNotConnection method implementation
echo "=== Searching for hasNotConnection method ==="
fd -t f -e java | xargs grep -n "hasNotConnection" -A 8 -B 2 2>/dev/null

echo -e "\n=== Viewing full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 class ==="
cat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java 2>/dev/null || echo "File not found"

echo -e "\n=== Viewing full DataSourceUtils class ==="
cat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datasource/DataSourceUtils.java 2>/dev/null || echo "File not found"

Length of output: 5095


🏁 Script executed:

#!/bin/bash
# Search for all usages of releaseConnection to understand the full flow
echo "=== All calls to releaseConnection with context ==="
fd -t f -e java | xargs grep -n "releaseConnection" -B 3 -A 1 2>/dev/null | grep -v "^--$"

echo -e "\n=== Checking if connection is released after non-transactional query ==="
fd -t f -e java | xargs grep -n "JdbcTemplate\|query" -A 20 2>/dev/null | head -150

Length of output: 18027



---

🏁 Script executed:

```shell
#!/bin/bash
# Get full JdbcTemplate class to see complete flow
echo "=== Full JdbcTemplate implementation ==="
cat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core/JdbcTemplate.java 2>/dev/null

echo -e "\n=== Check if there's a cleanup or finally block we missed ==="
fd -t f -e java | xargs grep -n "resources\|finally"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core/JdbcTemplate.java 2>/dev/null

Length of output: 5264


🏁 Script executed:

#!/bin/bash
# Check if maybe the design expects the connection NOT to be closed for non-transactional
# Let's see how the connection pool works
echo "=== Checking DataSource/connection pool behavior ==="
fd -t f -e java | xargs grep -n "HikariDataSource\|ConnectionPool\|C3P0\|commons-dbcp" 2>/dev/null | head -20

echo -e "\n=== Checking if connection gets reused on same thread ==="
fd -t f -e java | xargs grep -n "thread\|Thread" -i --type=java 2>/dev/null | grep -i connection | head -20

Length of output: 2545


비거래 쿼리에서 커넥션이 ThreadLocal에 무한정 남아있습니다

코드 흐름을 추적하면 문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JdbcTemplate.execute()DataSourceUtils.getConnection() 호출
  2. 연결된 커넥션이 없으므로 새 커넥션 생성 후 line 22에서 bindConnection()으로 ThreadLocal에 바인딩
  3. 쿼리 실행
  4. finally 블록에서 releaseConnection() 호출
  5. releaseConnection()에서 hasNotConnection() 확인:
    • hasConnection()map.containsKey(dataSource) 검사
    • 2단계에서 바인딩했으므로 map에 key가 존재 → true 반환
    • 따라서 hasNotConnection()false
    • if (false) 조건 불통과 → 커넥션 미폐쇄

결과: 커넥션이 ThreadLocal의 resources 맵에 계속 남아있습니다.

거래 흐름에서는 DataSourceTransactionManager.releaseConnection()에서 unbindConnection()을 먼저 호출하기 때문에 정상 작동하지만, 비거래 쿼리는 unbinding 단계가 없어 누수가 발생합니다.

수정 방안: DataSourceUtils.releaseConnection()에서 커넥션을 폐쇄하기 전에 unbindConnection()을 호출하거나, 거래 활성 여부를 별도로 추적하는 메커니즘이 필요합니다.

🤖 Prompt for AI Agents
In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datasource/DataSourceUtils.java
around lines 14 to 27, releaseConnection currently leaves a connection bound in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 when no transaction is active, causing a
ThreadLocal leak; modify releaseConnection to unbind the connection from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 before closing it when the connection is the
one bound for that DataSource (i.e., if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hasConnection(dataSource) and the bound
connection equals the passed connection), call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unbindConnection(dataSource) then close the
connection, and ensure exceptions are caught and logged so unbinding always
occurs before close to prevent leaks in non-transactional flows.

Comment on lines +29 to +37
public static void releaseConnection(Connection connection, DataSource dataSource) {
if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hasNotConnection(dataSource)) { // 진행중인 트랜잭션이 다 끝난경우에 닫기
try {
connection.close();
} catch (SQLException ex) {
throw new CannotGetJdbcConnectionException("Failed to close JDBC Connection");
}
}
}
Copy link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 Potential issue | 🔴 Critical

커넥션 해제 로직이 트랜잭션 종료 시 동작하지 않습니다

현재 구현은 hasNotConnection이 true일 때만 커넥션을 닫습니다(line 30). 하지만 hasNotConnection은 커넥션이 바인딩되지 않은 경우에 true를 반환합니다.

트랜잭션이 종료되는 시점을 생각해보세요:

  1. Transaction.commit() 또는 rollback()이 호출됩니다
  2. 이 시점에 커넥션은 여전히 ThreadLocal에 바인딩되어 있습니다
  3. releaseConnection이 호출되면 hasNotConnectionfalse를 반환합니다
  4. 따라서 메서드가 아무것도 하지 않고 종료됩니다
  5. 결과: 커넥션이 영구적으로 ThreadLocal에 남아있게 됩니다

올바른 흐름은 어떻게 되어야 할까요?

  • 바인딩된 커넥션이 있으면 → unbind 후 close
  • 바인딩된 커넥션이 없으면 → 이미 정리됐거나 단순 close만 수행

또한 line 34에서 SQLException을 래핑할 때 원본 예외를 cause로 포함하지 않아 디버깅이 어려워집니다.

이 부분의 조건문과 unbind 호출 순서를 다시 검토해보시겠어요?

As per coding guidelines

🤖 Prompt for AI Agents
In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datasource/DataSourceUtils.java
around lines 29 to 37, the releaseConnection logic is inverted: it only attempts
to close when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hasNotConnection(dataSource) is
true (meaning no bound connection), which leaves bound ThreadLocal connections
open after transaction completion; change the flow to check if a connection is
bound — if so unbind it first and then close; if not bound, just close if
non-null; also when wrapping SQLException in CannotGetJdbcConnectionException,
include the original SQLException as the cause to preserve stack trace and
debugging information.

Comment on lines +34 to 44
@Override
public void commit() {
final Connection connection =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getConnection();
final Connection connection = DataSourceUtils.getConnection(dataSource);
try {
connection.commit();
} catch (SQLException e) {
throw new DataAccessException("Failed to commit transaction", e);
} finally {
releaseConnection(connection);
releaseConnection();
}
}
Copy link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 Potential issue | 🔴 Critical

🧩 Analysis chain

commit()에서 새 커넥션 생성/바인딩 위험 — 반드시 “이미 바인딩된 커넥션만” 커밋하세요.

현재 DataSourceUtils.getConnection(dataSource)를 다시 호출하면, 트랜잭션이 없을 때도 새 커넥션을 만들어 바인딩한 뒤 commit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없는 트랜잭션을 커밋”하는 잘못된 상태를 초래할 수 있어요.

  • 제안: “현재 스레드에 바인딩된 커넥션을 가져오되, 없으면 즉시 실패”하도록 변경해 주세요(예: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getConnection(...) 조회 + 존재 보장/검증).
  • 또는 DataSourceUtils에 “현재 바인딩 커넥션 전용 접근자(없으면 예외)”를 분리해 사용해도 좋습니다.


---

🏁 Script executed:

```shell
#!/bin/bash
# Find DataSourceUtils and examine getConnection implementation
find . -type f -name "DataSourceUtils.java" | head -20

Length of output: 73


🏁 Script executed:

#!/bin/bash
# Search for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 in codebase
find . -type f -name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java" | head -20

Length of output: 95


🏁 Script executed:

#!/bin/bash
# Examine full DataSourceTransactionManager class
find . -type f -name "DataSourceTransactionManager.java" -path "*/jdbc/*"

Length of output: 90


🏁 Script executed:

#!/bin/bash
# Search for connection binding/ThreadLocal patterns
rg -n "setConnection|bindConnection|ThreadLocal" --type=java | head -30

Length of output: 1145



---

🏁 Script executed:

```shell
#!/bin/bash
# Read DataSourceUtils implementation
cat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datasource/DataSourceUtils.java

Length of output: 1368


🏁 Script executed:

#!/bin/bash
# Read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 implementation
cat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java

Length of output: 1618


🏁 Script executed:

#!/bin/bash
# Read full DataSourceTransactionManager implementation
cat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DataSourceTransactionManager.java

Length of output: 1900


commit()와 rollback()에서 기존 바인딩된 커넥션만 사용하도록 수정 필요

리뷰 지적이 정확합니다. 현재 코드의 문제점:

  • DataSourceUtils.getConnection()은 바인딩된 커넥션이 없으면 새 커넥션을 생성해서 바인딩합니다 (라인 19-20)
  • begin()에서 첫 호출 시에는 의도대로 작동하지만, commit()/rollback() 호출 시 바인딩된 커넥션이 손실되었다면 새 커넥션을 만들어 커밋/롤백하게 됩니다
  • 이는 트랜잭션 의미론을 위반합니다 (시작한 커넥션을 끝내야 함)

제안 사항:
commit()rollback()에서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getConnection(dataSource)를 직접 호출하고, null 체크 후 바인딩된 커넥션만 사용하도록 변경하세요. DataSourceUtils.getConnection()은 auto-creation 동작이 있으므로 이 두 메서드에서는 사용하면 안 됩니다.

Comment on lines +46 to 56
@Override
public void rollback() {
final Connection connection =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getConnection();
final Connection connection = DataSourceUtils.getConnection(dataSource);
try {
connection.rollback();
} catch (SQLException e) {
throw new DataAccessException("Failed to rollback transaction", e);
} finally {
releaseConnection(connection);
releaseConnection();
}
}
Copy link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 Potential issue | 🔴 Critical

🧩 Analysis chain

rollback()도 동일한 위험이 있습니다.

commit()과 같은 이유로, 트랜잭션 미개시 상태에서 새 커넥션을 만들고 rollback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동일한 가드(“바인딩된 커넥션 필수”)를 적용해 주세요.



---

🏁 Script executed:

```shell
#!/bin/bash
# 1. DataSourceTransactionManager.java 파일 전체 내용 확인
find . -type f -name "DataSourceTransactionManager.java" | head -5

Length of output: 90


🏁 Script executed:

#!/bin/bash
# 2. commit() 메서드와 rollback() 메서드 비교
rg -n -A 15 "public void commit\(\)" --type java

Length of output: 1982


🏁 Script executed:

#!/bin/bash
# 3. rollback() 메서드 전체 내용 확인
rg -n -A 15 "public void rollback\(\)" --type java

Length of output: 2031


🏁 Script executed:

#!/bin/bash
# 4. DataSourceUtils 클래스 확인
find . -type f -name "DataSourceUtils.java" | head -5

Length of output: 73


🏁 Script executed:

#!/bin/bash
# 5. 트랜잭션 상태 확인 관련 메서드 찾기
rg -n "isBound|hasConnection|isTransactionActive" --type java -A 3

Length of output: 933


🏁 Script executed:

#!/bin/bash
# 6. TransactionManager 인터페이스 확인
find . -type f -name "*TransactionManager*.java" | grep -v test

Length of output: 171



---

🏁 Script executed:

```shell
#!/bin/bash
# 1. begin() 메서드 확인 (트랜잭션 시작)
rg -n -A 15 "public void begin\(\)" --type java | head -30

Length of output: 1995


🏁 Script executed:

#!/bin/bash
# 2. DataSourceUtils.getConnection() 상세 구현 확인
rg -n -A 20 "getConnection"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datasource/DataSourceUtils.java

Length of output: 1097


🏁 Script executed:

#!/bin/bash
# 3. TransactionManager 인터페이스 구조 확인
cat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Manager.java

Length of output: 146


🏁 Script executed:

#!/bin/bash
# 4. DataSourceTransactionManager 클래스 전체 내용 확인
cat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DataSourceTransactionManager.java

Length of output: 1900


🏁 Script executed:

#!/bin/bash
# 5.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 전체 구조 확인
cat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java

Length of output: 1618


롤백 메서드에 트랜잭션 시작 여부 확인 가드를 추가하세요.

현재 코드는 트랜잭션이 시작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rollback()이 호출되면 새 커넥션을 생성하여 롤백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DataSourceUtils.getConnection()은 바인딩된 커넥션이 없으면 새로 생성하기 때문입니다. commit()과 동일하게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hasConnection(dataSource) 메서드를 활용하여 바인딩된 커넥션이 존재하는지 먼저 검증한 후 진행해야 합니다.

🤖 Prompt for AI Agents
In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DataSourceTransactionManager.java
around lines 46 to 56, add a guard to verify a bound connection before
attempting rollback: call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hasConnection(dataSource) and if it returns
false, return immediately (do not call DataSourceUtils.getConnection which would
create a new connection); only call DataSourceUtils.getConnection(dataSource)
and perform connection.rollback() when a bound connection exists, catch and wrap
SQLException as before, and keep the existing releaseConnection() in the finally
block for the bounded-path.

Copy link
Contributor

@Dompoo Dompoo left a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안녕하세요 제프리 트랜잭션 미션 수행하시고 빠르게 적용해주셨네요 ㅎㅎ
이번 스텝에서는 궁금한 것들이 좀 있어서 먼저 확인해보고 본격적으로 리뷰해드릴게요!

Copy link
Contributor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이 인터페이스는 왜 필요한가요? DataSource가 없는 트랜잭션 매니저도 존재할 수 있나요?

Comment on lines +16 to +19
final Map<DataSource, Connection> map = resources.get();
if (map == null) {
return null;
}
Copy link
Contributor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널 체크가 이 클래스의 가독성 저하 포인트인 것 같아서 static 블럭에서 미리 초기화 해놓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Comment on lines +37 to +41
final Connection connection = map.remove(dataSource);
if (map.isEmpty()) {
resources.remove();
}
return connection;
Copy link
Contributor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오잉 데이터가 없어도 Map을 굳이 제거까지 할 필요가 있나요? 순수하게 궁금하네요!

@Override
public void commit() {
final Connection connection =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getConnection();
final Connection connection = DataSourceUtils.getConnection(dataSource);
Copy link
Contributor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 가 아니라 DataSourceUtils에서 커넥션을 가져오는 이유가 뭔가요?

지금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DataSourceUtils가 정확히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 잘 모르겠어요

Sign up for free to join this conversation on GitHub. Already have an account? Sign in to comment

Labels

Projects

None yet

Development

Successfully merging this pull request may close these issues.

2 particip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