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개념을 다지기 위한 스터디 활동
- 1회차 네트워크 거시적으로 살펴보기
- 2회차 네트워크 미시적으로 살펴보기
- 3회차 이더넷, NIC와 케이블
- 4회차 허브, 스위치
- 5회차 LAN을 넘어서는 네트워크 계층
- 6회차 IP 주소
- 7회차 라우팅
- 8회차 전송 계층 개요: IP의 한계와 포트
- 9회차 TCP와 UDP
- 마지막 회차 와이어샤크 분석

우리는 스마트폰이나 데스크톱을 활용해 인터넷을 이용해 봤거나, 주변의 다른 장치와 정보를 주고 받아 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이 모든 것이 컴퓨터 네트워크가 있기에 가능한 일입니다. 컴퓨터 네트워크
는 우리 일상의 지탱하는 주요 기반 기술 입니다.
컴퓨터 네트워크 란?
데스크톱, 노트북, 스마트폰은 대부분 주변 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그렇게 연결된 장치는 또 다른 주변 장치와 연결 됩니다. 더 나아가 마치 그물처럼 서로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망을 컴퓨터 네트워크
혹은 네트워크
라고 합니다.
현대 정보는 네트워크와 연결된 지구 반대편에 있는 장치와도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바로 인터넷
입니다. 인터넷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의미합니다.
개발자가 컴퓨터 네트워크를 알아야 하는 이유
개발자는 다른 장치와 상호 작용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개발자의 업무는 크게 프로그램을 만드는 업무
와 프로그램을 유지보수 하는 업무
로 나뉘어 집니다.
네트워크 지식은 두 가지 업무에 모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을 만드는 업무
에서는 프로그래밍 언어나 웹 프레임워크 혹은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때 네트워크에 대한 배경지식 있어야만 활용할 수 있는 기능들이 있습니다.
TCP/UDP나 HTTP와 쿠키 같은 지식이 없다면 다음과 같은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기능을 제대로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배포 때도 마찬가지 입니다. DNS, HTTP/HTTPS, 포트 번호 등 다양한 네트워크 배경지식들이 필요합니다. 또한 프로그램의 안정성과 안정성을 높이고 싶을 때도 네트워크 지식은 유용하게 활용 됩니다.
프로그램을 유지보수 하는 업무
에서는 인터넷 연결이 안되는 문제부터, 크게는 웹 서버가 동작하지 않는 문제까지, 네트워크 지식은 문제 발생 시 해결의 큰 실마리가 됩니다.
책을 통해 해당 질문을 자신 있게 대답 할 수 있습니다!
- DNS의 정의와 동작 과정에 관해 설명하세요.
- TCP와 UDP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 HTTP와 HTTPS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스터디 전에 자신이 공부해 온 내용을, 가능한 만큼 필기하여 정리합니다. (블로그, 노트앱 등)
바쁜 일정을 갖고 있는 구성원들도 있기 때문에 필기 정리는 개인 상황에 따라 생략할 수 있도록 배려합니다.
- 알게 된 것을 작성해도 됨.
- 스터디 요약 느낌에 가깝게 작성해도 됨.
- 토의하고 싶은 주제를 작성해도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