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기부 준비: 먼저 플랫폼에서 개인 지갑을 만들고, 기부할 만큼의 폴리곤(POL)를 입금합니다.
2. 기부 대상 선택 및 실행: 도움이 단체를 선택하여 기부합니다.
3. 자금 분배:
플랫폼 운영 수수료 (2%):
기부금 중 2%는 플랫폼의 안정적인 운영과 기능 개선을 위해 사용됩니다. 이는 모든 [개인 -> 단체] 기부에만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단체의 '운영 자금'과 '순수 기부금' 분리:
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은 단체가 사전에 설정하고 공개한 비율에 따라 두 종류의 자금으로 나뉩니다.
운영 자금: 단체의 활동 유지 및 관리에 필요한 운영 비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단체의 '운영 자금 지갑'으로 들어갑니다.
이 자금은 단체가 직접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순수 기부금: 나머지 금액은 단체의 '순수 기부금 지갑'으로 들어갑니다.
이 '순수 기부금'은 단체가 직접 현금처럼 인출할 수 없습니다.
순수 기부금의 최종 전달:
- 단체가 보유한 '순수 기부금 지갑'의 자금은 오직 최종적인 개인 수혜자에게 다시 기부하는 형태로만 사용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이를 통해 기부금이 중간에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고, 필요한 사람에게 전달될 가능성을 높여 안정성을 확보합니다.
- 후원단체 사이에서 재위탁을 위해 단체 -> 단체의 자금 전달의 경우 순수 기부금이 다시 위탁 단체의 운영자금, 순수 기부금으로 분배 됩니다.


기부 증명 (NFT 발급):
모든 기부(개인/단체 대상 모두)가 완료되면, 기부자님께는 `DNCT`라는 고유한 NFT 형태의 디지털 기부 증서가 발급됩니다. 이 증서는 블록체인에 영구적으로 기록되어 기부 사실을 증명합니다.
-
명확한 자금 분리 및 관리 (단체 기부 시):
- 단체에 기부된 금액은 사전에 약속된 비율에 따라 '운영 자금'과 '순수 기부금'으로 투명하게 분리됩니다.
- 기부자님은 단체가 실제 활동을 위해 어느 정도의 운영비를 사용하는지, 그리고 순수하게 도움을 주는 데 얼마나 사용하는지 명확히 알 수 있습니다.
-
기부금 사용의 안정성 강화:
- 단체가 받은 '순수 기부금'은 직접 인출이 불가능하며, 최종적으로 개인 수혜자에게 전달하는 데 사용되도록 설계되어 기부금의 목적 외 사용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전달을 목표합니다.
-
블록체인 기반 투명성 확보:
- 모든 기부, 자금 분배, (단체의) 재기부 내역은 블록체인 상의 '이벤트 로그'로 기록됩니다.
- 이 기록은 공개되어 누구나 확인할 수 있으므로, 기부자님은 자신의 기부금이 어떤 과정을 거쳐 전달되는지 전체 흐름을 추적하고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영구적인 기부 증명 (NFT):
- 발급받은 NFT 기부 증서는 블록체인에 안전하게 보관되어, 언제 어디서든 기부 사실을 증명하고 그 의미를 되새길 수 있습니다.
-
지속 가능한 플랫폼 운영:
- 단체 대상 기부 시 발생하는 2%의 수수료는 플랫폼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데 사용되어, 장기적으로 더 많은 기부자와 수혜자를 연결하는 데 기여합니다.
- 후원단체의 악의적인 재위탁 행위 반복
- 이벤트 로그를 통한 완전한 투명성은 특히 명성과 인지도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후원 단체에게 악의적인 재위탁 행위를 억제하는 강력한 요인이 됩니다.
- 단체가 돈을 받는 경우에 한해 2%의 수수료 정책이 적용됩니다. 이를 통해 단체가 악의적인 재위탁 행위를 반복했을때 불이익이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