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루 5분으로 당신의 추억이 더 오래 남을 수 있도록
2025-06-24 ~ 2025-07-13 (20일)
사용 기술 | 설명 |
---|---|
React | Component Based JavaScript UI Library |
Next.js | SSR, SSG framework |
vercel | client server auto deployment service |
Typescript | A Static Type Checker, superset of the JavsScript |
Tailwindcss | emotion |
Fetch API | API connect |
Yarn | Package Manager |
- public : 이미지 및 asset 공통 폴더
- components : page 디렉토리의 각 페이지를 구성하는 개별 컴포넌트 작성
- APP : 프로젝트 전반을 구성하는 Layout을 AppHeader, AppFooter로 나누어서 각 영역별 컴포넌트 작성
- Provider : 인증관리
- UI : 모든 Domain 컴포넌트에서 쓸 수 있는 공통 UI와 관련된 컴포넌트 작성
- hooks : 기능 컴포넌트 및 함수 정의
- pages : Next.js 의 라우팅 방식에 따라 실제 url에 따라 보여질 Page 컴포넌트 작성
- styles : 전역 스타일링 설정
- states : 상태관리 시스템
- types : 타입 관리
- utils : 프로젝트 전반에서 쓰일 수 있는 공통된 함수, 클래스 등을 작성. 생성되는 각 파일은 해당 파일 내부에서 관리할 유틸리티 구현체의 성질에 따라 이름을 결정
- Api : API 연동 및 파일
- 항상 camelCase로 작성해야하며, 파일 이름의 경우 첫 글자는 대문자로 작성
- ESLint, Prettier를 통해 전반적인 컨벤션 관리
- feature → dev로 직접적인 merge가 아닌 항상 PR을 통해 사전 확인과 코드리뷰 후에 merge 하도록 진행
- 배포 시에만 dev → main으로 merge 예정
- pr 및 commit 작성 시 명칭
- feat/ 기능 정의
- fix/ 버그 수정
- refactor/ 성능 개선 및 구조 변경
- asset/ 에셋 추가
- docs/ 문서 작성
- issue 작성 시 PR 올릴 때 연동
- issue + PR은 템플릿 활용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