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꾸고 싶은, 꿈꾸고 있는 50대 여성이 새로운 시작을 두드리는 곳 Do Dream!
🔗 서비스 배포 주소 : https://www.dodream.site/

분야 | 이름 | 포지션 | 내용 |
---|---|---|---|
기획 | 박주현 | 🧠 PM, 서비스 기획 | 서비스 정책 확립, 유저 리서치, 와이어 프레임 작성, BM |
기획 | 이은서 | 🧠 서비스 기획 | 유저 리서치, 와이어프레임 작성, UX writing |
디자인 | 유은서 | 🎨 디자인 | 서비스 브랜딩, UX/UI 디자인, GUI 디자인 |
디자인 | 김보경 | 🎨 디자인 | 서비스 브랜딩, UX/UI 디자인, GUI 디자인 |
개발 | 최용원 | 💻 프론트엔드 리드 | 화면 UI 구현, API 연동 |
개발 | 박채수 | 💻 프론트엔드 | 화면 UI 구현, API 연동 |
개발 | 윤창현 | 🛠️ 백엔드 리드 | API 구현, ERD 설계, 서버 배포 |
개발 | 조성은 | 🛠️ 백엔드 | API 구현, ERD 설계, 서버 배포 |
- 꿈꾸고 싶은, 꿈꾸고 있는 50대 중장년 여성
- 자녀가 성인이 된 후 여유 시간에 일하고자 하는 50~60대 경력단절 주부
중년 여성들은 구인·교육 정보를 적극적으로 찾고 저장할 만큼 높은 의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정보가 지나치게 많고 흩어져 있어 탐색에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며, 실제 행동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응답자의 54.9%는 “정보가 흩어져 있어 찾는 것이 어렵다”고 답했습니다. 이는 흩어진 정보 속에서 방향을 잃고, 탐색 피로를 자주 경험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50대 구직 경험 주부 34명 대상 리서치, 2025.04.01- 2025.04.06)
정보를 모아두더라도 “무엇을 어떻게 시작할지”를 막연해하며 실행 계획 수립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이는 “정보 탐색 후 어디서부터 시작할지 막막하다”(40.3%, 1위) 결과에서도 확인됩니다.
(50대 구직 경험 주부 34명 대상 리서치, 2025.04.01- 2025.04.06)
중년 여성은 도전 과정을 혼자 감당하며, 어려움 발생 시 타인의 도움이 부재한 상황에 놓입니다. 이는 "혼자하려니 갈피를 잡기 어렵다(36.1% 2위)"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50대 구직 경험 주부 72명 대상 리서치, 2025.04.07- 2025.04.12)
50대 주부에게 인기 있는 직종 20개를 데스크 리서치 기반으로 선별하고, 사람인 API와 고용24 API를 활용하여 해당 직종에 대한 구인글 및 직업훈련 정보를 통합 제공합니다. 특히, 국민내일배움카드로 직업훈련을 받은 경험이 있는 주부들이 10명 중 7명에 달한다는 점을 반영하여, 직업 훈련과 구인 정보를 한곳에서 제공하여 정보 탐색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입니다. 고용24의 복잡했던 필터 과정을 직종, 거주지, 실습/이론 수업 여부 등으로 대폭 축소하여 꼭 필요한 정보만 빠르게 볼 수 있게 합니다.
막연한 정보가 구체적인 실행으로 연결되도록, 정보 탐색 직후 '할 일' 작성을 유도하고, 할 일 작성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를 제시하여 고민 없이 행동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고립감을 해소하고 지속적인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 비슷한 목표를 가진 사용자들의 할 일을 열람함으로써 비공식 정보 습득 맥락을 유지하고, 서로 길잡이가 되어주는 기능을 핵심으로 합니다.
- 직업, 지역별로 정리된구인, 교육 정보
- 즉시 실행으로 이어지는 할 일 작성 기능
- 나와 비슷한 사람의 준비 과정 열람
- 실행을 시각화하고 작은 성취를 축적하는 구조
기존 구직 여정은 정보가 흩어져 있고 복잡합니다. 이에 두드림은 한 서비스 내에서 탐색-참고-실행을 간소화되어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과 효율성 그리고 몰입도를 높입니다.
- 이미지 포맷을
.png
에서.webp
로 최적화하여 페이지 로딩 속도와 전체 성능을 개선했습니다. .webp 포맷은 더 높은 압축률을 제공하면서도 이미지 품질을 고화질로 유지할 수 있어, 빠른 사용자 경험에 기여합니다.
기능 개발 또는 중요한 작업: 이슈를 먼저 생성하고 브랜치를 생성합니다. 이슈 번호와 작업의 도메인을 조합하여 브랜치 이름을 정합니다. 예: feature/ui-1
- Pull Request Naming Rule:
[<Prefix>] <Description>
의 양식을 준수하되, 이슈의 title과 pr의 제목이 같게 일관성을 유지합니다.
- 새로운 UI 컴포넌트 추가
- Pull Request Title:
[feat] 새로운 기능 추가
- Pull Request Title:
- 버그 수정
- Pull Request Title:
[bug] QA 수정
- Pull Request Title:
- 📌 Description: 어떤 이슈인지 설명
- ✅ TODO : 이슈에 할당된 TODO
- 📸 Screenshots (스크린샷): 작업에 대한 스크린샷 (선택)
- 📁 ETC : 기타
✈️ 관련 이슈 : 이슈번호 연결- 📋 작업 내용: 수정한 내용이나 추가한 기능에 대한 설명
- 📸 스크린샷 (선택 사항) : 수정된 화면 또는 기능을 시연할 수 있는 스크린샷 첨부
- 📄 기타: 전달사항
<Prefix> : [#<Issue_Number>] <Description>
의 양식을 준수합니다.
- feat: 새로운 기능
- 예시:
feat: [#1] 홈 api 연결
- 예시:
- fix: 버그 수정
- 예시:
fix: [#2] 홈 api 기능 수정
- 예시:
- docs: 문서 수정
- 예시:
docs: [#3] ReadMe Update
- 예시:
- style: UI에 관한 것
- 예시:
style: [#4] 홈 ui 구현
- 예시:
- refactor: 코드 리팩토링 (기능 변화 없음)
- 예시:
refactor: [#5] 컴포넌트 분리
- 예시:
- chore: 기타 자잘한 수정
- 예시:
chore: [#6] 이름 수정
- 예시:
- test: 테스트 코드 추가 또는 수정
- 예시:
test: [#7] 테스트코드 작성
- 예시:
기능 개발 또는 중요한 작업: 이슈를 먼저 생성하고 브랜치를 생성합니다. 이슈 번호와 작업의 도메인을 조합하여 브랜치 이름을 정합니다.
- 예: bugfix/#212-이미지-문제-해결
Pull Request Naming Rule: [<Prefix>](#<Issue_Number>) <Description>
의 양식을 준수하되, 이슈의 title과 pr의 제목이 같게 일관성을 유지합니다.
- 예 : Bugfix(#1) : 이미지가공개되도록 설정한다
- 📌 Description: 어떤 이슈인지 설명
- ✅ TODO : 이슈에 할당된 TODO
- 📸 Screenshots (스크린샷): 작업에 대한 스크린샷 (선택)
- 📁 ETC : 기타
- 📝 작업 내용: 작업한 내용을 간략히 설명해주세요(이미지 첨부 가능)
- ✏️ 관련 이슈 : 이슈번호 연결
- ex) Fixes : #00 (수정중인 이슈) / Resolves : #100 (무슨 이슈를 해결했는지) / Ref : #00 #01 (참고할 이슈) / Related to : #00 #01 (해당 커밋과 관련)
- 🎸 기타 사항 or 추가 코멘트
<Prefix> : <Description>
의 양식을 준수합니다.
- feat: 새로운 기능
- 예시:
feat : 직업별 투두 개수 조회,수정,변경 로직 추가
- 예시:
- fix: 버그 수정
- 예시:
fix: 오류 수정
- 예시:
- refactor: 기능에 영향이 가지 않는, 코드 스타일 변경
- 예시:
refactor : 에러 메세지 수정
- 예시:
- chore: 기타 자잘한 수정
- 예시:
chore: 서브모듈 커밋 반영
- 예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