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관을 더 쉽고 더 자유롭게, 무비부키
기획도 럭키하게, 디자인도 럭키하게, 개발도 럭키하게.. 항상 행복한 행운들이 떨어질 무키부키 팀입니다 😊
분야 | 이름 | 포지션 |
---|---|---|
기획 | 이소희 | 📈 PM, 서비스 기획 - 유저리서치, 기획 문서 정리 |
기획 | 유규빈 | 📊서비스 기획 - 유저리서치, 기획 문서 정리 |
디자인 | 김서현 | 🔐 디자인 리드, 프로덕트 매니징, UXUI디자인 |
디자인 | 김수연 | 📢 서비스 디자인, UXUI 디자인, GUI디자인 |
프론트엔드 | 안혜련 | 🔦 프론트엔드 리드, 화면 UI 구현, 서버 연동 |
프론트엔드 | 박소현 | 📱 화면 UI 구현, 서버 연동 |
백엔드 | 문정욱 | 💻 백엔드 리드, DB 및 API 구축, 서버 배포 |
백엔드 | 김광현 | 🖥️ DB 및 API 구축 |
🍿 *영화관에서 영화를 ‘예매’하듯, 당신의 추억을 ‘예약’하며 영화 관람 그 이상으로, 일상을 특별한 순간으로 만들게 해줍니다.*
It’s your own Theatre, Screen your moment.
누구나 쉽게, 나만의 영화관을 만들다. 오늘, 영화관에서 당신만의 추억을 예약해보세요!
Make it real, Meet with ease, Moments forever
사용자가 자유롭게 이벤트를 주최하고 함께할 사람들과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돕습니다.
Where Every gets the Spotlight
누구나 손쉽게 자신만의 순간을 스크린에 담을 수 있는 세상, 그 중심에 무비부키가 있습니다.
최근 영화진흥위원회가 공개한 “2024년 한국 영화산업 결산’에 따르면, 2019년 약 1조 9천억 원에 달했던 극장 매출은 코로나19 이후 급감했고, 2024년에도 약 1조 1천억 원 수준에 머무르며 약 3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완전한 회복까지는 여전히 어려운 상황이다.
복합문화공간으로 바뀌는 영화관의 용도
영화관은 단순히 영화를 관람하는 공간을 넘어, 다양한 방식으로 공간을 활용하려는 시도가 늘어나고 있다.
- CGV는 공연 실황 중계, 클래식 콘서트, 팬미팅 등 확장형 콘텐츠 상영을 확대
- 롯데시네마는 관객 참여형 프로그램인 무비플러팅(단체 소개팅)’을 통해 이색 경험을 제공
- 메가박스는 전석 리클라이너관을 신설하고, ‘메가쉼표’ 낮잠 이벤트 등 프리미엄 휴식 콘텐츠 제공
행동하는 팬덤이 만든 단체관람 문화
‘환승연애2’ 단관, 월드컵 경기 단관 등 대중적인 콘텐츠부터 애니메이션이나 아이돌 콘텐츠 중심의 팬덤 상영회까지, 다양한 단체관람 이벤트가 팬덤에 의해 자발적으로 기획되고 있다. 이들은 상영회를 직접 기획하고, 콘텐츠를 확산시키는 ‘주최자이자 기획자’로서 적극적으로 움직이고 있다.
단체관람이 더 쉽게 이루어지지 않을까?
설정한 타겟을 검증하고자 총 6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그 중 3명을 선정하여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1. 리서치 대상자 프로필
🎬 영화를 사랑하는 분
🍿 영화를 같이 보는 것을 좋아하는 분
🎟 실제로 단체 해본 경험이 있는 분 ****
- 리서치 목표
[전반적인 타겟의 특성 파악]
- 영화 취향 공유 및 커뮤니티 기능에 대한 인사이트 확보
[문제인식 및 단체 관람과 대관의 인사이트 확보]
- 영화 대관을 진행할 때 주최자가 겪는 불편함(페인포인트) 파악
- 단체 관람 인원을 모집할 때와 참여하고 싶을 때 겪는 어려움 및 니즈 분석
- 대관을 진행할 때 필요한 정보에 대한 사용자 인사이트 확보
- 기존 “단체 관람 방식”플로우
[주최자]
- 단체 관람을 원하는 사람의 수요가 있음 ⇒ 용도에 맞는 영화관 선택 ⇒ 대관신청
- 단체 관람을 원하는 수요가 없음 ⇒ 인원모집 ⇒ 용도에 맞는 영화관 선택 ⇒ 대관신청
[참여자]
- 단체 관람을 신청 하고 싶은 사람 ⇒ 단체 관람을 진행하는 콘텐츠 찾기 ⇒ 참가 신청
설문조사 (정량적 데이터)
- 구글폼 링크 : https://forms.gle/Sbjp6E5ibXCMoruE6
- 기간 : 25.04.03(목)-25.04.05(토)
- 시간 : 5분 내외
- 인원 : 63명
인터뷰 (정성 데이터)
- 기간 : 25.04.03(목)
- 시간 : 40분 소요
- 인원 : 3명
-
성공 이유
단관 참여율이 낮은 이유는 ‘낯설고 어렵다는 인식’과 ‘참여 기회 부족’ 때문이었다.
-
주최자 입장:
‘단관 자체가 어렵고 낯설다’, ‘같이 볼 사람을 모으기 어렵다’는 응답이 (47.5%)
-
참여자 입장:
‘참여할 기회가 없어서 못 해봤다’는 응답이 (57.4%)로 가장 높았다.
-
대관 신청 시 불편함:
‘대관 가능 여부 확인의 불편함’, ‘복잡한 신청 절차’가 주요 불만 이었다.
-
-
인사이트
단체관람은 흥미롭지만 "쉽게 시작하기 어려운 활동"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 이처럼 단체관람에 대한 수요는 존재하지만, 직접 주최하거나 참여하기에는 어려움이 크다는 점에서, 진입장벽을 낮추고 보다 쉽게 단관을 만들 수 있는 플랫폼의 필요성이 더욱 분명해졌다.
영화관을 좋아하고, 함께 보는 걸 즐기는 사람들은 단체관람을 즐겨할 것이다.
-
실패 이유
설문조사 결과, 실제 단관을 해본 사람은 9명, 그중 직접 주최해본 사람은 2명에 불과했다. 대부분 단관 경험이 없거나 소극적인 참여자가 많았다.
단관을 하지 않는 이유를 살펴보면,
- 주최자 입장에서는 ‘단관 자체가 어렵고 낯설다’, ‘같이 볼 사람을 모으기 어렵다’(47.5%)는 이유와,
- 참여자 입장에서는 ‘참여할 기회 자체가 없어서 못 해봤다’는 응답이 57.4%로 가장 높았다.
특히 인터뷰에서는 “회사나 학교 등 단체에서 주최하니까 참여했지, 개인적으로는 주최 과정이 너무 부담스럽고 어렵다”는 의견이 많았다
-
인사이트
영화관을 좋아하고 함께 보는 걸 즐긴다고 해서, 단관 문화가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건 아니었다.
'즉, 단관 자체를 어렵고 낯선 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단관이 활발하지 않은 이유는 주최 과정 진입장벽 + 참여 기회 부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화를 함께 보는 사람들은 영화를 다시 보기 위해서 단체관람을 주로 할 것이다.
-
실패 이유
설문조사와 인터뷰 결과, “영화를 다시 보기 위해 단관을 한다”는 사람은 전체 응답자의 11.1%에 불과해, 예상보다 그 비율이 매우 낮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추가적인 검증을 위해 영화 커뮤니티 카페에 직접 가입해 단관 관련 글들을 찾아봤지만, 예상과 달리 “단관 모집글이나 후기”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오히려 눈에 띄었던 건, 영화보다는 OTT 콘텐츠, 드라마, 스포츠 경기 등 특정 콘텐츠나 이벤트성 대관 홍보 글이 대부분이었다.
설문조사 결과도 이런 흐름을 뒷받침해줬는데, “생일이나 기념일 같은 특별한 날 영화관을 대관해보고 싶다”는 응답이 42.6%로 높게 나타났다.
-
인사이트
영화를 좋아하는 사람들조차 단순히 ‘다시 보기’를 목적으로 단관을 하기보다는, ‘원하는 콘텐츠를 특별한 공간에서 즐기기 위한 이벤트처럼 영화관을 활용하고 있다는 흐름을 발견할 수 있었다.
*즉, 영화관은 더 이상 단순한 ‘영화 감상 공간’이 아니라, ‘특별한 경험’을 위해 소비되는 공간으로 점점 변화하고 있다는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다.*
👉 타겟 확대를 위한 방향성을 설정해야 한다
👣 유저리서치 결과, 우리가 가져가야 할 가장 본질적인 문제를 한 문장으로 정의하였습니다.
👉 재정의한 타겟에 맞춰 서비스 내 활용 목적을 다양화하자
스포츠 경기 관람, 드라마 정주행, 콘서트, 소규모 상영회 등 다양한 이벤트 목적에 맞춰 영화관을 창의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목적별 기획을 적극적으로 제안할 필요가 있다.
무비부키는
경험 설계 중심
이자사용자 맞춤형
으로, 영화관 상영회를 유저가 직접 기획하고 함께할 사람을 모집할 수 있는 유일한 서비스입니다.
서비스명 | 서비스 소개 | 주요 기능 | 주요 타겟 | 취향 기반 모임 | 공간 예약 | 공간의 특징 | 사용자 참여 구조 |
---|---|---|---|---|---|---|---|
에어비앤비 | 전 세계 숙소 및 체험 예약 플랫폼 | 숙소·체험 예약 | 여행객, 공간 사용자 | X | O | 전 세계 숙박 공간 | 예약형 |
현대 DIVE | 현대차 브랜드 커뮤니티 플랫폼 | 콘텐츠 소비, 체험 이벤트 | 브랜드 팬층 (20~30대) | X | X | 쇼룸·팝업 행사 중심 | 콘텐츠 소비형 |
캐치 테이블 | 실시간 맛집 예약 플랫폼 | 맛집 검색·예약 | 외식 고객 | X | O | 유명 식당 중심 | 예약형 |
스페이스클라우드 | 공간 대여 플랫폼 | 공간 검색·예약, 후기 | 공간 사용자 | X | O | 스터디룸, 연습실, 파티룸 등 | 예약형 |
문토 | 취향 기반 모임 플랫폼 | 모임 추천, 클래스 참여 | 취향 모임러 (MZ세대) | O | △ | 목적별 오프라인 공간 | 모임형 (주최+참여) |
무비부키 | 모집부터 상영까지, 영화관 대관 도움 서비스 | 이벤트 생성, 참여, 공간 예약 | 미디어 취향 공유 유저 | O | O | 영화관 | 복합형 (콘텐츠 소비+예약 + 모임주최/참여) |
구분 | 상태 | 기능명 | 설명 | 조건 | 발송 주기 | 푸시 UX WRITING | 분류 |
---|---|---|---|---|---|---|---|
비정기 | 모집중 | 0.1 이벤트 생성 완료 알림 | 주최자가 이벤트 생성 완료 시 발송 | 이벤트 등록 완료 시 | 1회 | 이벤트명 이벤트 생성이 완료됐어요! 모집 마감까지 함께 기다려요☺ | 절차 알림 |
비정기 | 이벤트 삭제 | 0.4 이벤트 삭제 알림 | 주최자가 이벤트를 삭제했을 때 발송 | 이벤트 삭제 시 | 1회 | 이벤트명 이벤트 삭제가 완료됐어요. 아쉽지만, 다음에 꼭 함께해요! | 절차 알림 |
비정기 | 모집취소 | 1.1 모집 마감 알림 (인원부족) | 인원 부족으로 모집이 종료될 때 발송 | 모집 종료(인원 미달) 시 | 1회 | 이벤트명 이벤트가 인원 부족으로 취소됐어요. 아쉽지만, 다음에 꼭 함께해요! | 취소 알림 |
비정기 | 모집완료 | 1.2 모집 마감 알림 (인원 충족) | 인원 충족으로 모집 마감 시 발송 | 모집 종료(충족) 시 | 1회 | 이벤트명 이벤트 모집이 완료됐어요! 대관 신청하러 가볼까요? | 절차 알림 |
비정기 | 대관확정 | 3.1 대관 확정 알림 | 영화사 대관 확정 회신 시 발송 | 대관 확정 시 | 1회 | 이벤트명 이벤트 대관이 확정됐어요. 무비부키 메일을 꼭 확인해 주세요! | 안내 알림 |
비정기 | 대관불가 | 3.2 대관 불가 알림 | 영화사 대관 불가 회신 시 발송 | 대관 불가 시 | 1회 | 이벤트명 이벤트 대관이 승인되지 않았어요. 무비부키 메일을 확인해주세요! | 안내 알림 |
정기 | 상영완료 | 4. 상영 완료 후기 요청 알림 | 상영 완료 후 후기 요청 | 상영 완료 시 | 1회 | 이벤트명 이벤트가 잘 마무리됐나요? 함께한 시간의 후기를 남겨주세요 🙂 | 요청 알림 |
구분 | 상태 | 기능명 | 설명 | 조건 | 발송 주기 | 푸시 UX WRITING | 분류 |
---|---|---|---|---|---|---|---|
비정기 | 모집중 | 0.2 이벤트 신청 완료 알림 | 사용자가 이벤트 신청 완료 시 발송 | 신청 완료 시 | 1회 | 이벤트명 이벤트 신청이 완료됐어요! 멋진 만남을 기다려볼까요🙌? | 절차 알림 |
비정기 | 모집중 | 0.3 이벤트 신청 취소 알림 | 신청한 이벤트를 취소할 시 발송 | 신청 취소 시 | 1회 | 이벤트명 이벤트 신청이 취소됐어요. 아쉽지만, 다음에 꼭 함께해요! | 취소 알림 |
비정기 | 이벤트 삭제 | 0.4 이벤트 삭제 알림 | 주최자가 이벤트 삭제했을 때 발송 | 이벤트 삭제 시 | 1회 | 이벤트명 이벤트가 취소됐어요. 아쉽지만, 다음에 꼭 함께해요! | 삭제 알림 |
비정기 | 모집취소 | 1.1 모집 마감 알림 (인원부족) | 인원 부족으로 모집 종료 시 발송 | 모집 종료(인원 미달) 시 | 1회 | 이벤트명 이벤트가 인원 부족으로 취소됐어요. 아쉽지만, 다음에 꼭 함께해요! | 취소 알림 |
비정기 | 모집완료 | 1.2 모집 마감 알림 (인원 충족) | 모집 마감 시 참여자에게 발송 | 모집 종료(충족) 시 | 1회 | 이벤트명 이벤트 모집이 완료됐어요! 주최자가 대관신청중이에요 | 절차 알림 |
비정기 | 대관취소 | 2.2 대관 신청 알림 (대관진행X) | 주최자가 대관 신청을 하지 않았을 때 발송 | 대관 아니요 선택 시 | 1회 | 이벤트명 이벤트 대관이 취소됐어요. 아쉽지만, 다음에 꼭 함께해요! | 취소 알림 |
비정기 | 대관확정 | 3.1 대관 확정 알림 | 영화사 대관 확정 회신 시 발송 | 대관 확정 시 | 1회 | 이벤트명 이벤트 대관이 확정됐어요. 주최자의 연락을 꼭 확인해 주세요! | 안내 알림 |
비정기 | 대관취소 | 3.2 대관 불가 알림 | 영화사 대관 불가 시 발송 | 대관 불가 시 | 1회 | 이벤트명 이벤트 대관이 승인되지 않았어요. 아쉽지만, 다음에 꼭 함께해요! | 취소 알림 |
정기 | 상영완료 | 4. 상영 완료 후기 요청 알림 | 상영 완료 후 후기 요청 | 상영 완료 시 | 1회 | 이벤트명 이벤트가 잘 마무리됐나요? 함께한 시간의 후기를 남겨주세요 🙂 | 요청 알림 |
단계 | 상태 | 상태 이동 기준 | 참여자 입장 | 주최자 입장 | 관리자 입장 (럭키부키) | 알림 | UI 상세정보용 태그 |
---|---|---|---|---|---|---|---|
0-A | 모집중 | 주최자가 이벤트 생성 | 모집중 (신청 가능) | 모집중 | – | – | 모집중 |
0-B | 모집취소 | 주최자가 이벤트 삭제 | 모집취소 | 모집취소 | - | 서비스내 알림 | 모집취소 |
0-C | 신청완료 | 참여자가 “신청하기” 클릭 | 신청/취소 둘다 가능 | 모집중 | 참여자 리스트 저장 (이름·전화번호) | 서비스내 알림 | 모집중 |
1-A | 모집 마감 | 참여자 수 < 최소 인원 | 상영 취소 | 상영 진행 불가 | - | 서비스 내 알림 | 모집취소 |
1-B | 모집 마감 | 참여자 수 ≥ 최소 인원 | 신청 취소 불가 | 대관 여부 선택 | 영화사 전달 준비 | 서비스 내 알림 | 모집완료 |
2-A | 대관 신청 | 주최자가 ‘대관 예’ 선택 | 신청 취소 불가 | 대관 대기 | 대관 신청서 작성 → 영화사에 전달 | 서비스 내 알림 | 대관 진행중 |
2-B | 대관 신청 | 주최자가 ‘대관 아니오’ 선택 | 상영 취소 | 상영 진행 불가 | 참여자 취소 알림 발송 | 서비스 내 알림 | 대관취소 |
3-A | 대관확정 | 영화사 “대관확정” 통보 | 신청 취소 불가 | 알림 회신 확인 | 영화사에게 받은 메일 수신 + 참여자 리스트 전달 | 주최자에게 메일 + 서비스 내 알림 | 대관확정 |
3-B | 대관불가 | 영화사 “대관불가” 통보 | – | 알림 회신 확인 | 영화사에게 받은 메일 수신 + 대관 불가 안내 | 주최자에게 메일 + 서비스 내 알림 | 대관취소 |
4-A | 상영 완료 | 상영일 경과 2일 후 | 상영 완료 | 상영 완료 | 사용자 피드백 수집 | 후기 요청 알림 | 상영완료 |
4-B | 상영 완료 | 상영일 경과 2일 후 | 상영 안함 | 상영안함 | 사용자 피드백 수집 | 후기 요청 알림 | 상영취소 |
결과 피피티 넣기
- 영화관 공간 활용의 다양성을 홍보하고 알리기
- 단체관람 이벤트를 널리 홍보하여 참여 유도하기
- 무비부키 서비스 인지도와 신뢰도를 높이고 초기 사용자 유입 늘리기
- 다양한 소식과 이벤트를 콘텐츠로 제작하여 인스타그램에 정기 업로드
- #무비부키_대관활용 해시태그 활용으로 사용자 참여 유도
- 이벤트 참가 후기, 사진, 영상 등을 공유하며 자연스러운 바이럴 효과 기대
- 우리가 설정한 타겟에게 서비스가 매력적인지 검증
- 단체관람이 실제로 자발적으로 생성되고 모집되는지 확인
- 전체적인 흐름에 어떤 장애물이 있는지 파악
- 이탈 포인트를 통해 UI/UX 및 기능 개선 포인트 도출
핵심 목표 | KPI 항목 | 설명 | 목표 수치 | 검증 목적 |
---|---|---|---|---|
서비스 초기 유입 늘리기 | 월 신규 사용자 수 | 한 달간 새로 유입된 유저 수 | ≥ 30명 | 홍보→유입→행동 전환 흐름 검증 |
유저 니즈 확인 및 자발적 참여 유도 | 이벤트 생성률 | 월간 활성 유저 중 이벤트를 생성한 비율 | ≥ 30% | 유저 니즈 및 콘텐츠 생산 의사 확인 |
이벤트 참여 신청률 | 이벤트 페이지를 본 유저 중 참여 신청을 한 비율 | ≥ 30% | 참여 의사와 콘텐츠 매력도 검증 | |
이벤트 공유율 | 이벤트 생성 건 중 SNS 공유 비율 | ≥ 50% | 자발적 확산 가능성 확인 | |
모집력 및 운영 가능성 검증 | 평균 이벤트 참여율 | 한 이벤트의 평균 참여자 수 / 목표 모집 인원 | ≥ 30% | 단체관람의 운영 가능성 검증 |
모집 완료율 | 생성된 이벤트 중 모집 완료 비율 | ≥ 30% | 단체관람 성사 가능성 확인 | |
상영 완료율 | 생성된 이벤트 중 실제 상영까지 이어진 비율 | ≥ 30% | 서비스 흐름 완성도 검증 | |
UX 개선 및 이탈 요인 파악 | 상영 취소율 | 생성된 이벤트 중 상영에 실패 비율 | ≥ 40% | 실패 원인 분석 |
취소 사유 피드백 제출률 | 상영 취소 이벤트 중 취소 사유 입력 비율 | ≥ 30% | 주요 이탈 사유 수집 및 개선 포인트 도출 | |
불만 피드백 제출률 | 전체 사용자 중 주관식 불만 작성 비율 | ≥ 10% | UX 및 서비스 흐름 개선 인사이트 확보 |
단계 | 기간 | 주요 목표 | 세부 내용 |
---|---|---|---|
1. 오픈 베타 운영 | 6월 3주차 - 7월말 | 1. 1차 MVP 핵심 기능 제공 |
- 초기 유저 유입
- KPI 목표 수립 | - 베타 유저 모집 및 운영 (지인 테스트 / 소규모 커뮤니티 활용)
- 실사용자 피드백 수집
- 콘텐츠 주 3회 업로드 시작(월수금)
- 1차 MVP 기능 안정화 | | 2. 1차 회고 및 2차 MVP 기획 | 8월 초 | 핵심 인사이트 도출 및 다음 단계 기획 | - KPI 달성률 기반 리포트 작성
- 유저 피드백 카테고리별 정리
- 유료 기능 검토(예약금 시스템, 추천 알고리즘 등)
- 2차 MVP 기획 방향 확정 및 기능 우선순위 선정 |
| 3. 2차 MVP:
사용자 맞춤 고도화
| 2025.08 ~ 2025.09 | 사용자 유형 기반 추천 강화 | - 사용자 유형 분류 세분화 - 유형 결과 공유 기능 추가(홍보 효과)
- 메인 추천 알고리즘 개선
- 이벤트 생성 시 ‘타겟 사용자 유형’ 선택 기능 추가 |
| 4. 2.5차 MVP:
사용자 관리 기능 개선
| 2025.09 | 마이페이지 기능 강화 | - 마이페이지 구조 개선 - 프로필 수정 시 유형 재설정 가능
- UI/UX 흐름 개선 |
| 5. 3차 MVP:
수익 모델 구축
| 2025.10 | 수익화 구조 테스트 | - 중장기 비즈니스 모델 수립 - 결제 시스템 도입
- 사전 예약금 시스템 도입
- 대관 수수료 구조 설계 |
| 6. 4차 MVP:
커뮤니티 확장
| 2025.11 | 유저 간 연결성 강화 | - 오픈채팅방 생성 기능 도입 - 참여자 초대 간소화(링크 공유 등)
- 커뮤니티 내 사용자 콘텐츠 연결 | | 6. 연내 목표 달성 | ~2025.12 | 성장 지표 달성 | - 초기 유저 1,000명 확보
- 인스타 팔로워 5,000명 돌파
- 콘텐츠 운영 유지(월수금)
- 유형 공유, 제휴 영화관 공동 이벤트 기획굿즈 등 바이럴 홍보 |


노션 링크: https://waiting-candle-f33.notion.site/API-1cc3e5c872e78094864ccd251d8ea004?pvs=4
src
├── main
│ ├── domain
│ | ├── category
│ | ├── certification
│ | ├── event
│ | ├── feedback
│ | ├── location
│ | ├── notification
│ | ├── participation
│ | ├── user
│ | | ├── controller
│ | | ├── converter
│ | | ├── dto
│ | | | ├── request
│ | | | └── response
│ | | ├── entity
│ | | ├── repository
│ | | ├── service
│ | | └── util
│ | └── ticket
│ |
│ └── global
│ ├── apiPayload
│ ├── config
│ ├── entity
│ ├── handler
│ ├── jwt
│ ├── oauth
│ ├── redis
│ ├── service
│ └── util
│
└── resources
├── application-dev.yml
└── application-prod.yml
Jdk 21
Spring Boot 3.2.5
MySQL 9.3.0
,Redis 5.0.7
NCP Server
,NCP Object Storage
,Docker
,Github Action
JPA
,Swagger
,Spring Security
,JWT
,FCM
Next.js
Typescript
,Tanstack-query
Tailwind CSS 4
Framer Motion
,Zustand
,React Hook Form
,Next PWA
,pnpm
커밋 타입 | 설명 | 예시 |
---|---|---|
✨ Feat | 새로운 기능 추가 | [FEAT] #이슈번호: 기능 추가 |
🐛 Fix | 버그 수정 | [FIX] #이슈번호: 오류 수정 |
📄 Docs | 문서 수정 | [DOCS] #이슈번호: README 파일 수정 |
♻️ Refactor | 코드 리팩토링 | [REFACTOR] #이슈번호: 함수 구조 개선 |
📦 Chore | 빌드 업무 수정, 패키지 매니저 수정 등 production code와 무관한 변경 | [CHORE] #이슈번호: .gitignore 파일 수정 |
💬 Comment | 주석 추가 및 변경 | [COMMENT] #이슈번호: 함수 설명 주석 추가 |
🔥 Remove | 파일 또는 폴더 삭제 | [REMOVE] #이슈번호: 불필요한 파일 삭제 |
🚚 Rename | 파일 또는 폴더명 수정 | [RENAME] #이슈번호: 폴더명 변경 |
## Description
설명 작성
## To - Do
1.
2.
3.
## ETC
## Issue
- 이슈 번호 및 링크
## Summary
- 요약
## Describe your code
- 코드 설명 (설명이 필요한 코드가 있다고 생각하시면 간단하게 작성해주세요.)
# Check
- [ ] Reviewers 등록을 하였나요?
- [ ] Assignees 등록을 하였나요?
- [ ] 라벨 등록을 하였나요?
- [ ] PR 머지하기 전 반드시 CI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