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 SOPT 36기 합동세미나 인터파크 티켓 🌐 🎟️
-
TypeScript 정적 타입 체킹을 통해 안정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고, 대규모 코드베이스 관리에 유리합니다.
-
React 컴포넌트 기반 UI 라이브러리로, 재사용성과 렌더링 효율성이 뛰어납니다.
-
Vanilla-Extract TypeScript 기반의 CSS-in-TypeScript 솔루션으로, 정적 타입 안전성과 테마 관리에 용이합니다.
-
Vite 빠른 번들링과 개발 환경을 제공하는 프론트엔드 빌드 도구입니다.
-
Zustand 가벼우면서도 직관적인 전역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입니다.
-
React Query 서버 상태 관리와 비동기 데이터 처리를 위한 라이브러리입니다.
-
axios HTTP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로, 네트워크 요청을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
ESLint & Prettier 코드 스타일 자동화 및 일관성 유지를 위한 도구입니다.
- yarn 빠른 속도와 일관성 있는 의존성 관리를 제공하는 패키지 매니저입니다.
- Vercel GitHub 연동으로 자동 배포가 가능하며, 프론트엔드 프로젝트에 최적화된 배포 플랫폼입니다.
- Notion: 문서화 및 일정/작업 관리
- Discord: 가상 오피스 협업 공간
-
메인 브랜치(Main branch)
main
: 배포 가능한 상태를 관리합니다.develop
: 통합 브랜치 역할을 하며, 기능 개발은 모두 이 브랜치 기반으로 진행합니다. 모든 기능이 안정적으로 동작하고 배포 가능할 때main
에 merge합니다.
-
피쳐 브랜치(Feature branch)
develop
에서 분기합니다.- 작업 완료 후
develop
브랜치로 PR을 보냅니다.
-
작업 시작 시 이슈를 생성하고, 해당 이슈 기반으로 브랜치를 만듭니다.
-
브랜치 생성은 반드시
develop
기준으로 합니다. -
브랜치 네이밍:
구현기능종류/기능명/#이슈번호
feat/login/#43
refactor/edit-modal/#75
모든 작업은 develop
에서 분기된 feature
브랜치에서 진행합니다.
-
커밋 메시지 형식:
커밋유형: 작업 내용
-
예시:
feat: 타임테이블 기능 추가
커밋유형 | 의미 |
---|---|
feat | 새로운 기능 추가 |
refactor | 코드 리팩토링 |
fix | 버그 수정 |
chore | 패키지 매니저, 설정 세팅 |
init | 초기 세팅 및 종속성 추가 관련 |
docs | 문서 수정 |
design | css 및 UI 변경 |
style | 코드 formatting, 세미콜론 누락 등 코드 로직에 영향 없는 변경 |
test | 테스트 코드 추가/수정 |
- 메인 브랜치(
main
,develop
)에 직접 커밋 금지 → 반드시 PR → merge 방식만 허용
- 작업 전 항상
git pull origin develop
으로 최신화 후 시작 - PR 작성 시 PR Template에 맞게 작성
- PR 작성 시 이슈 번호를 태그로 포함
- PR은 1명 이상 팀원의
approve
필수 - squash merge 방식 사용
- PR → 리뷰는 하루 안에! 리뷰 피드백 반영도 하루 안에!
- merge 후 작업 브랜치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