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irzzle은 사용자가 입력한 영상 URL을 기반으로 AI가 학습 자료를 자동 생성해주는 AI 학습 코칭 플랫폼입니다.
- 요약본 제공, 챗봇 학습 질의응답, 핵심 장면 요약 정리 기능 등을 통해 사용자의 학습 몰입도와 자기 주도 학습 효과를 높입니다.
- 본 프로젝트는 삼성소프트웨어 아카데미 특화 프로젝트로, 2025년 4월 14일부터 5월 23일까지 6주 간 진행되었습니다.
- 총 6명이 참여했으며,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 프론트엔드 2명
- 백엔드 1명
- AI 개발 1명
- 인프라 1명
- 기획/디자인 1명
🔗 사용자 입력 → 영상 분석 → 학습 자료 자동 생성 → 요약노트, 챗봇, 스냅리뷰
- 기획/디자인: 사용자 흐름 UX, 영상 등록 이후 학습 구조 설계
- 프론트엔드: 영상 URL 입력 → 분석 상태 표시 → 각 학습 기능 연결
- 백엔드: 영상 메타데이터 저장, 분석 요청 API 처리
- AI 개발:
- yt-dlp를 통해 자막 추출
- GPT로 자막 요약 및 의미 단위 분할 처리
- Kafka 기반 비동기 처리 구조로 요약/퀴즈 생성까지 병렬 처리
- GPT를 활용하여 영상 내용을 주제별로 구조화한 요약 제공
- 배경지식에 따라
쉬운 설명
/핵심 요약
두 가지 버전으로 선택 가능 - AI 개발: LLM 토큰 최적화를 위한 자막 병합 및 분할 로직 구성
- 프론트엔드: 탭 기반 요약본 UI 구성 (
쉬운 설명
,핵심 요약
), 토글 전환 - 백엔드: 요약 요청/응답 관리 및 사용자별 저장 처리
- 학습모드: 영상 주제에 대한 추가 질문 → 챗봇이 심화 답변 제공
- 시험모드: 챗봇이 사용자의 학습 이해도를 점검하는 질문 생성
- 프론트엔드:
ChatModeToggle
, 답변 입력/출력 인터페이스 구성 - AI 개발:
- Vector DB(Qdrant) + GPT 기반 RAG 구조로 문맥 기반 정확도 개선
- 학습 내용 기반 문맥 추출 및 유사도 기반 검색 응답 생성
- 백엔드: 챗봇 요청-응답 중계 API, 사용자 히스토리 관리
- 영상에서 추출한 주요 장면에 대해 사용자가 직접 설명을 작성하며 학습 내용을 정리
- 작성된 스냅리뷰는 타임스탬프별로 그룹화되어 정리됨
- 프론트엔드:
SnapBookContent
,SnapReview
,SnapDateGroup
구현 - 기획/디자인: 리뷰 카드형 UI 및 타임스탬프 표시 설계
- 백엔드: 스냅리뷰 CRUD API 제공, 타임스탬프 기반 정렬
- 사용자 학습 흐름 및 기능 활용도 분석
- 학습 시작률, 기능별 이용률, 로그인 전환율 등 지표 시각화
- 기획/PM: 지표 정의, 관리자 요구사항 수집
- 프론트엔드:
TopCharts
,BottomChart
,DateRangeSelector
,useStrategyData
- 백엔드: 관리자 인증 및 통계 API 제공
- AI/분석: ELK Stack으로 로그 수집 및 KPI 추적 기반 시각화
- Next.js (App Router)
- TypeScript
- Tailwind CSS
- Zustand, TanStack Query
- Java 17
- Spring Boot 3.4.4, Spring Security (JWT), OAuth
- MySQL
- Spring Cloud Gateway 기반 MSA
- AWS S3
- ELK Stack (로그 분석), Prometheus + Grafana (리소스 모니터링)
- Jenkins + Nginx를 활용한 Blue-Green 무중단 배포 파이프라인 구축
- yt-dlp, GPT API
- Qdrant (Vector DB)
- Kafka, SSE (실시간 처리)
- Spring Cloud Gateway 기반 MSA
- 영상 수집 → 자막 추출 → 요약/퀴즈 생성 → 저장까지 병렬 처리
- 리소스 모니터링
- Prometheus + Grafana로 AI 서버 상태 추적 및 알림
- 사용자 행동 로그 수집
- ELK Stack 기반 로그 분석 → 관리자 대시보드에 반영
- 복잡한 영상 콘텐츠도 요약 및 퀴즈를 통해 빠르게 학습 가능
- 학습 중 궁금한 내용은 러닝챗으로 즉시 해결
- 스스로 핵심 장면을 정리하며 메타인지 학습 강화
- 사용자 로그 기반 관리자 전략 개선 가능성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