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젝트 이름: 그랬구나(Oh I See)
- 진행 기간: 2025.04.14 ~ 2025.05.23 (6주)
- 서비스 한줄 소개:
AI 감정 분석과 소통 기술을 활용하여 감정적 갈등 상황에서 중립적 중재와 표현 조율을 도와주는 소통 중재 플랫폼
-
채팅 기반 커뮤니케이션의 보편화
- 메신저, 커뮤니티, 협업툴 등에서 실시간 텍스트 기반 소통이 일상화됨
- 표정, 억양 등의 비언어적 요소 부재로 인해 감정이 왜곡되거나 오해가 발생하는 경우 다수
-
중재자 없는 대화 환경
- 대부분의 채팅 환경에서는 제3자의 개입 없이 당사자끼리만 소통
- 과격한 표현이나 감정 충돌이 발생해도 이를 제어하거나 조율할 수 있는 중립적 역할 부재
-
표현 강도의 자각 부족
- 사용자들이 자신의 표현이 과도하거나 공격적으로 느껴질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기 어려움
- 의도와 다르게 해석되어 갈등이 발생하는 상황 빈번
-
충동적 반응과 후회
- 감정에 휩쓸려 보낸 메시지로 관계가 악화되고, 이후 후회하거나 자책하는 패턴 반복
-
텍스트만으로 감정 전달이 어려움
- 상대방이 내 감정을 정확히 이해했는지 불확실함
- 감정 표현을 너무 약하게 하면 무시당하고, 강하게 하면 공격적으로 보일 수 있음
-
"말은 이렇게 했지만, 그게 진짜 내 뜻은 아니었는데..."
- 표현력 부족이나 순간적인 감정으로 인한 오해가 쌓이며, 관계가 악화됨
-
갈등을 ‘회피’하거나 ‘단절’로 해결
- 심화된 갈등은 차단, 탈퇴, 비방 등으로 번지며 커뮤니티나 관계 유지가 어려워짐
-
충동적인 반응에 대한 후회
- 순간의 화난 감정으로 보낸 메시지가 문제가 되기도 하며, 나중에 삭제하거나 사과하는 일 반복
-
감정의 흐름을 파악하기 어려움
- 대화 전체에서 감정 변화나 갈등 지점을 추적할 방법이 없어, 패턴을 반복함
사용자 니즈 | 설명 |
---|---|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싶다 | AI가 감정의 뉘앙스를 분석해 더 적절한 표현을 제안해줌 |
갈등 상황에서 중재를 받고 싶다 | AI 또는 제3자(아레나)의 중재로 감정 충돌을 줄이고 싶음 |
감정의 흐름과 변화에 대해 알고 싶다 | 감정 분석 리포트를 통해 자신도 몰랐던 감정의 패턴을 인식함 |
과격한 표현을 사전에 조절하고 싶다 | AI가 위험하거나 감정적으로 격한 표현을 완화해줌 |
-
AI 기반 감정 중재 서비스 제공
- 실시간 텍스트 대화 중 발생하는 갈등 상황에 AI가 중립적인 중재자로 개입
- 감정 표현을 조정하고, 과격한 표현은 완화하여 건전한 소통을 유도
-
사용자 감정 분석 및 표현 조율
- 사용자의 메시지를 분석해 감정 상태를 파악하고, 더 효과적인 전달 방식 제안
- 예: "짜증 나니까 그만해!" → "이 부분이 불편했어, 같이 이야기해보자"
-
건강한 소통 문화 조성
- 감정 흐름 리포트를 통해 자기 성찰 기회 제공
- AI뿐 아니라, 일반 사용자가 참여하는 '아레나' 시스템으로 공정한 의견 수렴 및 갈등 완화
목표 항목 | 설명 |
---|---|
실시간 AI 감정 분석 | 채팅 중 감정 상태(예: 분노, 실망, 불안 등)를 실시간으로 분석 |
표현 완화 및 제안 기능 | 공격적인 표현을 부드러운 표현으로 전환 제안 |
아레나 기반 중재 시스템 | AI 중재 실패 시, 사용자 참여형 집단 중재 구조로 갈등 조율 |
감정 리포트 및 성찰 지원 | 대화 내 감정 변화 및 갈등 발생 포인트에 대한 시각화 리포트 |
- 사용자는 카카오, 구글, 네이버 계정을 통해 간편하게 회원가입 및 로그인 가능
- 사용자 프로필 및 기본 정보 등록 및 관리
- 감정적 갈등 상황 또는 대화 내용을 자유롭게 입력
- AI가 입력된 내용의 감정을 분석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재구성
- AI가 중재자 역할을 맡아 양측의 대화를 중립적으로 전달
- 갈등 상황에서 원활한 소통을 위한 가이드 제공
- AI 피드백 기능을 통해 과도하게 격앙된 표현을 적절한 수위로 조율하여 제안
- 상대방의 입장을 고려한 대안적 표현 방식 제시
- 1:1 중재로 해결되지 않는 갈등은 공개 중재 단계로 전환
- 커뮤니티 참여를 통한 다양한 시각과 의견 수렴
- 일상적인 감정 기록 및 분석
- 시간에 따른 감정 변화 추적 및 패턴 분석
- 챗봇과의 대화를 통해 감정을 해소하고 자동으로 감정 기록
- 개인 감정 패턴 및 소통 방식에 대한 분석 리포트 제공
- 소통 개선을 위한 맞춤형 제안
- 소통 시뮬레이션 및 코칭 챗봇
backend/
├── src/
│ ├── main/
│ │ ├── java/
│ │ │ └── com/oic/
│ │ │ ├── auth/ # 인증 관련
│ │ │ ├── user/ # 사용자 관리
│ │ │ ├── conflict/ # 갈등 상황 관리
│ │ │ ├── message/ # 메시지 처리
│ │ │ ├── arena/ # 공개 중재 기능
│ │ │ ├── diary/ # 감정 다이어리
│ │ │ ├── report/ # 분석 리포트
│ │ │ ├── notification/ # 알림 서비스
│ │ │ ├── s3/ # 파일 저장 관리
│ │ │ ├── global/ # 공통 유틸리티
│ │ │ └── OicApplication.java # 어플리케이션 시작점
│ │ └── resources/ # 설정 파일
│ └── test/ # 테스트 코드
└── build.gradle # 의존성 관리
frontend/
├── public/ # 정적 파일
├── src/
│ ├── assets/ # 이미지, 폰트 등
│ │ ├── fonts/ # 폰트 파일
│ │ └── images/ # 이미지 파일
│ ├── components/ # 재사용 컴포넌트
│ ├── pages/ # 페이지 컴포넌트
│ │ ├── auth/ # 인증 관련 페이지
│ │ ├── conflict/ # 갈등 처리 페이지
│ │ ├── diary/ # 다이어리 페이지
│ │ ├── arena/ # 아레나 페이지
│ │ └── mypage/ # 마이페이지
│ ├── store/ # 상태 관리
│ ├── hooks/ # 커스텀 훅
│ ├── utils/ # 유틸리티 함수
│ ├── api/ # API 연동
│ └── main.tsx # 진입점
├── tailwind.config.js # Tailwind 설정
├── vite.config.ts # Vite 설정
└── package.json # 의존성 및 스크립트
ai/
├── chains/ # LangChain 체인
├── core/ # 핵심 기능
├── langchain_utils/ # LangChain 유틸리티
├── routers/ # API 라우터
│ ├── emotion_bin.py # 감정 분석
│ ├── emotion_coach.py # 감정 코칭
│ ├── feedback.py # 피드백 처리
│ ├── mediation.py # 중재 기능
│ ├── reconciliation.py # 화해 중재
│ ├── report.py # 리포트 생성
│ ├── simulation.py # 시뮬레이션
│ └── summary.py # 요약 기능
├── schemas/ # 데이터 스키마
├── services/ # 서비스 로직
└── main.py # 애플리케이션 시작점
대분류 | 소분류 |
---|---|
Front-end | React 19.0, Typescript, Redux, Tailwind CSS, Vite |
Back-end | Java 17, Spring Boot 3.0+ |
Database | MySQL |
Infra | Docker, Docker Compose, nginx, AWS(EC2), ELK Stack |
AI | LangChain, OpenAI API, Python 3.10, FastAPI |
이름 | 역할 |
---|---|
김다현 | 팀장 / 프론트엔드, AI |
김태경 | 백엔드, Infra |
제서윤 | AI |
조창훈 | 백엔드 |
최효재 | 백엔드 |
편정웅 | 프론트엔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