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How to install MySQL on Ubuntu and use.

mrJangJinSeong edited this page Nov 29, 2018 · 8 revisions

[#1 설치]

> 1/2단계: www.youtube.com/watch?v=ug0TFsort24&list=LLkEMHxABWItwV8koO8xRMNQ&index=2&t=329s 1/2단계에 있는 링크는 유튜브영상이며 영상의 길이는 7분내외이다. 보고 따라하기 쉽게 설명되어있으며 이것을 보고 따라하면 MySQL과 Tool 프로그램인 MySQL Bench 프로그램까지 설치 할 수 있다. 영상을 보면서 따라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뜨기 마련일텐데 그렇다고 동영상 재생 중간에 끄지말고 끝까지 보고 따라할 수 있는것은 다 따라할 것 그런후에 2/2단계를 진행하면 된다.

> 2/2단계: hiiambk.tistory.com/368 2/2단계는 1/2단계에서 오류가 떠서 진행이 안되는 문제를 해결해주는 정보를 제공해주고있는 블로그 링크이다. 이곳에서 차례대로 읽어보면서 하단에 있는대로 따라하면 문제를 쉽게 해결 가능하다. 이로써 MySQL의 설치와 실행까지는 순조롭게 될 수 있을것이다.

[#2 사용자 추가, 제거 및 권한]

> 2_1 cjh5414.github.io/mysql-create-user/ 이곳은 기본적인 자기 자신의 컴퓨터안에서 사용할 MySQL 사용자 추가, 제거 및 권한 부여을 어떻게 다루는지 알려주는 사이트이다. 이곳에서 root의 계정 수정 및 새로운 계정도 만드는 법을 익힐 수 있다. 개인적으로 쓰고싶다면 이것을 하라고 추천하겠지만 우리는 학교에서 받은 데이터베이스 계정이 따로 있으므로 이 부분에 대해서는 [#10 기타] 자세히 설명하겠다. 하지만 혼자서 연습하거나 개인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쓰려고할때는 이 부분에 대해서는 알아야하므로, 한번 읽어보는것을 추천한다.

> 2_2 ourcstory.tistory.com/45 2_1과 마찬가지로 정보를 2_2와 상호보완한다.

[#3 기초 쿼리문 및 MySQL 구조체 익히기]

> 3_1 zetcode.com/db/mysqlc/ 위 사이트는 쿼리문의 기초를 익힐 수 있는 예제가 있는 사이트며 자세히 설명되어있어 누구나 쉽게 배우기 가능하도록 잘 정리되어있다.

> 3_2 blog.naver.com/PostView.nhn?blogId=xenostream&logNo=120197609525 3_1에 있는 사이트를 한글로 번역해 놓은 사이트이며, 보다 더 세부적으로 상세히 설명되어있어서 이곳이 더 편하고 많은 정보도 얻을 수 있다.

> 3_3 database.sarang.net/database/mysql/capi/capi.html 이 사이트는 MySQL 구조체와 함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되어있으므로 구조체와 함수에 대해 궁금한것이 있으면 이곳에서 참고하는것이 좋다.

> 3_4 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pringlady8&logNo=220694359562&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kr%2F 쿼리문이 정리되어 있는 블로그이다.

[#4 컴파일 하는 방법]

> gcc -o [fileName] [fileName.c] -std=c99 ‘mysql_config –cflags –libs` 를 꼭 지켜야한다. (`mysql_config –cflags –libs`에서, cflags 앞과 cflags앞에 마이너스 기호가 2번들어가니 유의하자.)

링크참조 : blog.naver.com/PostView.nhn?blogId=xenostream&logNo=120197609525

특히 ‘이 부분은 작음따옴표가 아니라, ESC키 밑에 있는 키 이므로, 컴파일할때 주의하도록 하자.

[#10 기타]

> 학교측에서 우리에게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해주었으며 접속방법은 터미널을 열고mysql -h right.jbnu.ac.kr -u A201210927 -p 라고 입력하면된다. 그러면 비밀번호를 입력하라고 뜨는데, 비밀번호는 카카오톡 개인메시지로 보냈으니 그곳으로 참고할것.(보안유지)

> 또한 학교측 MySQL workbench 프로그램으로 학교측 서버에 들어가서 UI로 보면서 다루는 방법을 모르겠다. 따라서 현재 필자는 명령문으로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