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PARADOX-BSSM/.github

Folders and files

NameName
Last commit message
Last commit date

Latest commit

 

History

5 Commits
 
 
 
 

Repository files navigation

최애의 사인(死因)

애니캐릭터를 위한 온라인 추모 공간 커뮤니티 image

PARADOX (역설)

역설이란, 의미가 모순되고 이치에 맞지 않는 표현을 뜻합니다.

애니메이션 캐릭터는 늙지도, 사라지지도 않습니다. 하지만 우린 작품에서 스토리상 죽은 캐릭터를 "죽었다"고 생각하며 이를 슬퍼하고 추모합니다.

또한 장례식과 재미는 같이 존재할 수 없습니다. 본인이 누군가의 장례식에서 재미를 느낀다면 싸이코패스라고 사회적으로 매장 당할 것입니다. 하지만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장례식은 누군가에게는 정말 슬퍼할 일이지만, 또다른 누군가에게는 재미있는 이벤트일 수 있습니다.

이렇듯 최애의 사인은 공존할 수 없는 단어들의 집합, 말이 안되는 문장의 구현이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 최애의 사인


최애(最愛) : 자신이 가장 사랑하는 사람

사인(死因) : 사망한 이유

가장 사랑하는 사람의 죽은 이유라는 뜻으로, 나의 최애 캐릭터가 죽은 이유를 뜻합니다.

'사인'은 캐릭터의 사망 이유를 의미하며, 그들의 이야기에 담긴 희생, 운명, 혹은 비극적인 순간을 떠올리게 합니다. 이는 단순히 죽음을 넘어, 그 캐릭터의 삶과 서사를 다시 기억하고 기릴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합니다.

결국 최애의 사인은 팬들이 가장 사랑했던 캐릭터의 삶과 죽음을 진지하게 되새기며, 그들과의 연결을 공유하고 공감할 수 있는 공간이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 주제 선정 이유


“작품에 깊게 몰입한 많은 사람들은 캐릭터가 죽을 때 슬픔을 느낀다.”

만약 자신의 최애 캐릭터가 죽는다면 어떤 기분이 들까요?

에이스의 죽음에 대해 이야기하는 트윗.

많은 사람이 한 캐릭터의 죽음에 대해 이야기한 글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7522개의 리트윗, 1872개의 인용, 2585개의 좋아요를 통틀어 보아, 많은 이들이 캐릭터의 죽음에 공감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위 자료는 캐릭터들의 죽음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 모습에 대한 자료입니다. 위와 같이 여러 사람들이 트위터라는 플랫폼으로 캐릭터의 죽음에 대해 슬퍼하고, 공감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트위터는 아시다시피 공개적이라는 점이 문제가 될 때가 많습니다. 친구들끼리, 혹은 애니메이션 매니아들끼리의 비공개 계정이어도 사람마다 본 애니메이션이, 또는 진척도가 다른 경우가 많죠. 한 애니메이션 매니아와의 인터뷰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견되었습니다.

  • 스포일러 우려로 최애 캐릭터의 죽음에 대한 슬픔을 쉽게 공유하지 못한다는 점

    애니메이션을 보다가 최애 캐릭터가 죽었는데 친구, 혹은 커뮤니티에 말하면 스포가 되니까 어디에 말도 못하겠고, 혼자서 찾아보려고 해도 잘 나오지 않아서 너무 괴로워요. 슬픔은 나누면 반이 된다고 하는데, 스포가 되니 아무한테도 말 못하고 혼자 꼬옥 안고있어야만 한다는게 진짜 너무 괴로워요.

  • 다른 정보를 찾다가, 원치 않는 스포일러를 당한 경험이 불쾌했다는 점

    의도치 않게 애니메이션에 대해서 찾아보다가 생각지도 못한 캐릭터가 사망한다는 스포를 당했어요. 그때의 감정은 욕설 없이는 표현할 수 없을 거에요. 나온지 얼마 안된 애니메이션인데 벌써부터 스포일러를 하는 것은 정말 예의 없지 않나요?

  • 인기 없는 캐릭터의 죽음을 함께 이야기할 공간이 부족한 점

    저는 한 때 별로 유명하지 않은 애니메이션의 별로 인기도 없는 캐릭터를 좋아했던 적이 있어요. 그런데 단역으로 나왔던 그 캐릭터는 1화만에 죽어버렸죠... 여기저기 돌아다니며 슬픔을 공유할 곳을 찾았지만 결국 나오지 않았어요.

정리하자면, 스포 & 유명도 이슈로 슬픔을 나눌 곳이 없다라는 겁니다.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죽음에 슬퍼하는 사람들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죽음에 슬퍼하는 사람들 (누르시면 영상으로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

image (3)

위 자료를 보시면 실제로 애니메이션 캐릭터가 죽었을 때, 이를 진심으로 슬퍼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또한 그런 사람들을 보며 재미를 느끼는 사람도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저희는 이 두가지 타입의 사용자들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온라인 커뮤니티 플랫폼인 최애의 사인을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 시장 분석


image (3)

4월은 너의 거짓말 트윗

image (3)

사이버펑크 트윗

왼쪽 사진은 방영한지 2025년 기준, 11년이나 지난 애니메이션 ‘4월은 너의 거짓말’과 관련된 트윗입니다. 방영한지 10년이나 지났지만, 해당 애니메이션에 관한 트윗이 매년, 이 시기에 올라올 정도로 인기는 식지 않고 있습니다. 오른쪽은 2022년 방영한 ‘사이버펑크 엣지러너’라는 애니메이션과 관련된 트윗입니다. 해당 애니메이션 또한 3년이 지났지만 최근까지 트윗이 올라오고, 조회수도 상당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자료들로 저희들이 확신할 수 있었던 부분은, ‘애니메이션 산업은 고객의 충성도가 굉장히 높다’ 였습니다.

고객 충성도가 높은 기업은 고객


📌 브랜딩

저희 서비스의 브랜딩 방향성은 바로

키치(Kitsch) 입니다.

키치란, 미학에서 보기 괴상한 것, 저속한 것과 같은 사물을 뜻하는 미적 가치를 뜻합니다. 이는 저희의 슬로건인 PARADOX (역설)이라는 슬로건과 자연스럽게 연결됩니다. 역설은 서로 상반되는 요소들이 동시에 존재하거나 조화를 이루는 상황을 뜻하는데, 키치의 미학적 본질과 깊은 연관이 있습니다.

즉, 저속함과 아름다움, 괴상함과 세련됨 이라는 상충하는 요소들이 결합하여 전혀 예상치 못한 새로운 형태의 미적 가치를 창조하는 것이 키치의 매력입니다.

이를 통해, 저희 서비스는 기존의 틀을 깨고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추모’라는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며, 기존의 다른 커뮤니티 서비스와 대비되는 창조적인 서비스를 제시하고자 합니다.

image (3) image (3)

팀원 소개

류승찬 방세준 김유찬 박소은 박동현
프론트엔드 백엔드 & 데브옵스 프론트엔드 프론트엔드 백엔드
류승찬 방세준 김유찬 박소은 박동현

About

No description, website, or topics provided.

Resources

Stars

Watchers

Forks

Releases

No releases published

Packages

No packages published

Contributors 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