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젝트 주제 : 핀터레스트 스타일 따라입기 공유 커뮤니티, TYPIR
🗓️ 프로젝트 기간 : 2024.02.19(월) ~ 2024.03.14(목)
TYPIR 바로가기
테스트 계정
ID : molecules@naver.com
PW: #12345678
![]() |
![]() |
![]() |
![]() |
---|---|---|---|
박지인 | 김소영 | 박다은 | 정예슬 |
조장 | 스크럼마스터 | 노션기록 | 코드리뷰, 위키 |
랜딩, 게시글 작성 | 마이페이지, 헤더푸터 | 게시판, 상세 페이지 | 로그인, 회원가입 |

- Git Commit Message Style : 커밋 메시지 스타일
- 코딩 컨벤션 : 코딩 스타일
- eslint, prettier : 에어비앤비

김소영 : 맡은 페이지의 기능을 전부 구현하고 나면 tanstack query를 사용해보려 했는데 그러지 못해서 아쉽고 프로젝트를 통해 팀워크, 문제 해결 능력, 코드 디버깅, 그리고 새로운 라이브러리나 툴의 학습 등 다양한 기술을 습득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프로젝트를 완성하는 과정은 창의력과 인내력을 발휘하는 뜻깊은 여정이었고 파이널 프로젝트의 경험은 향후 개발자로서의 경력에 큰 자산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박다은: 결론부터 말하자면, 리액트에 정 붙이기는 실패했다. 맡은 페이지의 기능을 다 완성하지 못한 점이 아쉬웠고, ChatGPT가 없었다면 이 정도 완성도 못했을 거 같다
박지인: 바닐라때 못다뤄본 pocketbase 통신을 파이널 때 꼭 해보고 싶었습니다. 단순 인풋 데이터부터 이미지, 폼까지 모든 데이터 형식을 다뤄본 것 같네요. 많은 에러와 싸우면서 의자에서 떨어지는 순간이 없었지만 이제 자신있게 데이터는 다룰 수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직도 많이 부족하지만 직접 무언가를 생성해 냈다는 뿌듯함은 말로 할 수 없네요. 이 재미에 개발하나봐요! 😃
정예슬: 프로젝트를 하며 그간 수업에 들었던 내용을 정리할 수 있었습니다. 어려워보여 사용하고 싶지 않았던 zustand나 route 등을 쓰면서, 생각보다 할만 하다는 자신감을 얻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