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025-HSU-Festival/HSU-Festival-BE

Repository files navigation

✨Project Convention✨



✉️ Commit Convention

커밋 메시지는 Udacity 스타일을 사용하며, 다음과 같은 구조로 작성

type: Subject (제목)

body (본문) (긴 설명이 필요한 경우에 작성)

footer  (꼬리말) (issue tracker ID를 명시하고 싶은 경우에 작성)

🛠 type: 커밋의 유형

타입 설명
feat ✨ 새로운 기능 추가
fix 🐛 버그 수정
docs 📝 문서 수정 (README, 주석 등)
style 💄 코드 포맷팅, 세미콜론 누락 등 기능 영향 없는 변경
refactor ♻️ 코드 리팩토링 (기능 변화 없음)
test ✅ 테스트 코드 추가 또는 수정
chore 🔧 빌드 설정, 패키지 매니저 설정 등 기타 작업
perf ⚡ 성능 개선
ci 🔄 CI 관련 설정 및 스크립트 수정
revert ⚙️ 이전 커밋 되돌리기

🖊️ Subject: 제목

  • 50자 이내로 간결하게 작성
  • 마침표(.) 금지
  • 과거 시제 X, 명령어 사용

📝 Body: 본문

  • 선택 사항
  • 제목에서 설명할 수 없는 추가 정보를 제공
  • "무엇을"과 "왜"를 중심으로 상세히 기술
  • 한 줄당 72자 이내로 작성
  • 필요시 Markdown 사용 가능


🌿 Git Flow 브랜치 전략 (with main) 🌿

🌴 기본 브랜치

브랜치 역할
main 최종 배포용 브랜치 (stable)
develop 다음 배포를 위한 통합 개발 브랜치

🌱 작업 브랜치 네이밍 규칙

type/#issue번호  (작업 단위는 기능/수정/리팩토링 등으로 구분)
prefix 설명 예시
feature/ ✨ 새로운 기능 개발 feature/#15
fix/ 🐛 버그 수정 fix/#42
refactor/ ♻️ 코드 리팩토링 refactor/#23
chore/ 🔧 설정 변경, 잡일 chore/#25
perf/ ⚡ 성능 개선 perf/#94
hotfix/ 🚑 급한 수정 (main에서 바로 분기) hotfix/#102
test/ 🧪 테스트 코드 추가/수정 test/#55

🚀 브랜치 흐름 요약

1. main ← 배포
2. develop ← 통합 개발 (PR 대상)
3. develop에서 feature/fix/... 브랜치 분기
4. 기능 완료 후 develop으로 PR & 머지
5. 배포 시 develop → main 머지
6. 급한 수정은 hotfix에서 main → develop 병합

About

[2025 한성대학교 대동제 웹사이트]

Resources

Stars

Watchers

Forks

Releases

No releases published

Packages

No packages published

Contributors 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