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ED (Super E Easy Deployment)는 EC2 서버 세팅, GitLab 자동배포 CI/CD 구축·연결, 빌드 에러 대응까지 자동화한 서비스입니다.
- 반복되는 서버 세팅 부담 매번 동일한 EC2 초기 환경 구성 → 시간 소모와 휴먼 에러 발생
- 인프라 학습 장벽 프론트·백엔드 개발자에게는 인프라 지식이 진입장벽으로 작용
- 수동적 에러 대응 빌드 실패 시 로그 확인·코드 수정·재빌드 과정을 모두 개발자가 직접 수행해야 함
- 자동 서버 세팅 & CI/CD 구축
- EC2에 Docker, Docker-Compose, Jenkins 설치 및 초기화
- GitLab/GitHub 연동 Webhook 설정 → 자동 빌드·배포 파이프라인 완성
- AI 기반 빌드 에러 수정 지원
- 실패 로그 분석 → 관련 코드·환경 변수 자동 수정 제안
- 재빌드를 통한 검증 → 성공 시 MR 자동 생성
- 개발 생산성 향상: 인프라 설정에 쓰이는 시간을 절약하고 서비스 개발에 집중
- 빠른 장애 대응: AI 분석 → 자동 수정 → 즉시 재배포
- 쉬운 접근성: 복잡한 CLI나 GUI 없이도 직관적인 워크플로우 제공
- EC2 서버에 Docker, Docker-Compose, Jenkins를 자동으로 설치·설정함
- GitLab/GitHub 리포지토리 연동 Webhook 등록 및 Jenkins Job을 자동 생성·실행함
- 코드 클론부터 컨테이너 빌드·배포, Nginx 설정·헬스체크까지 한 번에 처리함
- Nginx 설치 및 리버스 프록시 기본 설정 자동화
- DNS 이름으로 사이트 이동 가능능
- 빌드 실패 로그를 수집하여 GPT로 분석함
- 관련 코드·환경 변수 자동 수정안을 제안함
- 수정 적용 후 재빌드를 시도하고, 성공 시 MR/PR을 자동 생성함
- 배포 요청 접수
- 사용자로부터 EC2 IP(포트 22), .pem 파일, 서비스명, 어플리케이션 목록(이름·포트) 등을 입력받음
- EC2 초기 설정
- Docker, Jenkins,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설치 및 초기화 실행
- webhook 설정 및 Jenkins Job 생성
- 코드 클론 및 컨테이너 빌드
- Jenkins volume에 GitLab 코드 클론
- 빌드용(node) 및 사용자 앱 컨테이너를 Docker Compose 파일로 정의·실행함.
- Nginx 설정 및 배포 완료
- EC2에 Nginx 설치 후
default.conf
,nginx.conf
생성·적용함. - 배포 성공 여부를 헬스체크하여 결과를 사용자에게 응답함.
- EC2에 Nginx 설치 후
- 에러 발생 시 자동 대응
- 빌드 실패 로그 수집 → AI Agent가 GPT로 분석함.
- 코드 또는 환경 설정 자동 수정 후 재빌드 시도함.
- 성공 시 최종 MR 생성 및 요약 정보 제공함.
Light/Dark 모드 지원 (예시는 light 모드)
|
|
렌딩페이지 | 로그인 페이지 |
|
|
대시보드 | 프로젝트 생성 |
|
|
프로젝트 상세 | 유저 화면 |
![]() 이재훈 INFRA & PM @potential1205 |
![]() 김지수 INFRA & BE @jisu-0305 |
![]() 박유진 BE GitHub |
![]() 강승엽 AI & BE GitHub |
![]() 공예슬 AI & FE GitHub |
![]() 이효승 FE GitHub |
Contributors | Role | Position |
---|---|---|
이재훈 | 팀장, Infra |
- 예시 소제목 1: 예시 내용1 - 예시 소제목 2: 예시 내용2 |
김지수 | Backend, Infra |
- AI 코드 수정 로직 설계: Jenkins, Gitlab, Docker API등을 통해 API로 사용자의 서비스 코드를 변경가능하도록 설계 - 사용자 프로젝트 브렌치 생성 및 커밋 생성 로직 구현 : Util로 구현된 Gitlab의 로직과 AI가 변경한 코드들을 실제로 커밋 남기도록 해당 로직 설계 및 구현 - AI 보고서 생성로직 연결 및 엔티티 구현: 사용자의 프로젝트 자동 코드 수정에 대한 AI 보고서 엔티티 정의 및 로직 연결 - Java Jsch 통신 가이드라인 작성: 사용자의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Jsch 통신 방식 정의 및 초반 인프라 설계 진행 |
박유진 | Backend | -- 예시 소제목 1: 예시 내용1 - 예시 소제목 2: 예시 내용2 |
강승엽 | Backend | - Jenkins 자동화 API 개발: Jenkins 설치, 사용자 등록, 플러그인 설정, CI/CD 파이프라인 생성 등 전체 자동화 API 구현 - HTTPS 설정 자동화 및 로그 기능 구현: Nginx + Certbot 기반 HTTPS 전환 로직 개발 및 단계별 실행 로그 DB 기록 API 구현 - FCM 기반 알림 시스템 개발: 프로젝트 초대, 빌드 실패 등 상황별 FCM 메시지 전송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JWT 기반 초대 API 개발: 사용자 검색, 초대/수락/거절 처리 등 협업 기능 구현 - 멀티파트 기반 프로젝트 생성/수정 API 구현: .env, .pem 파일 포함한 요청 처리 로직 설계 |
공예슬 | AI, Frontend |
- AI MultiAgent 개발: 빌드 에러를 바탕으로 코드를 수정하는 멀티 에이전트 개발 - 프로젝트 상세 화면: 빌드 상태에 따른 실시간 현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 구현 - 피그마 및 화면 설계: 프로젝트에 필요한 화면 및 UI/UX 설계 및 구현 |
이효승 | Frontend | - 예시 소제목 1: 예시 내용1 - 예시 소제목 2: 예시 내용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