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lies: 5 comments 4 replies
-
이오’s 의견 1번으로 갈수록 admin 패키지의 역할이 커지는 대신 일반 기능과 분리가 확실하고, 3번으로 갈수록 책임의 분리가 명확한 대신 일반 서비스와의 결합이 커집니다. 개인적으로 현재는 3번이 가장 끌리는데(책임 분리때문에), 기존의 서비스 코드에 영향이 가는 만큼 다른 분들의 생각을 먼저 여쭤봐야 하는게 맞는것 같아요. 3가지 이외에 다른 것도 좋습니다. 의견 부탁드립니다.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저는 1번 쪽에 맘이 가긴 하는데(물론 이오가 저보다 오래 생각해 봤겠지만,,!)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오오오 흠 .. 저는 admin이랑 admin-login 패키지 자체를 분리하는 것보단 admin 패키지 하나에서 서비스 단으로 관리자 관리 + 로그인 기능 등을 분리하는게 더 끌리긴 해요! 아직 admin 기능의 파급력이 얼마나 될지 몰라서 더 커지면 그 때 분리를 고려해봐도 좋을거 같아요 ㅎㅎ CRU API에 대한 부분은 .. 각 패키지에서 제공하던, admin 패키지 내부에서 구현하던 선호는 없지만 .. admin 패키지 내부에 있으면 확 와닿는 장점이 저희가 코드 관리하기 편하다는 장점이 있을거 같네요오 ㅎ.ㅎ..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오... 전 1번, 3번 짬뽕인데... 그런데, 나중에 City, Category, Currency CRU가 admin외에 다른 곳에서도 필요해지면 중복으로 코드를 작성해야하니까?... City, Category, Currency CRU는 각 도메인 패키지 내부에 있는 게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근데 사실 admin외에 다른 곳에서도 활용될 가능성이 희박하긴해서... 1번으로 가도 괜찮다 입장!)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여러분들 의견 감사드립니다.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Uh oh!
There was an error while loading. Please reload this page.
-
관리자 페이지 기능 추가를 기획하면서, 해당 기능과 관련된 코드를 어떤 패키지에 두는 것이 옳은가에 대해 의견을 묻고자 해당 디스커션을 파게 되었습니다!
기획에 대한 배경과 계획은 이슈 #778 를 참고해 주세요.
기본: hanglog/admin 패키지를 추가한다.
(커밋 꼬임 등 영향이 크기 때문에 현재단계에서 멀티모듈은 시도하지 않는다.
추후 아무도 백엔드 코드를 건드리지 않는 상황이 온다면 그때 고려 한다.)
방향
1. admin 패키지 내에 관리자기능을 모두 추가한다.
2. admin 패키지와 admin-login 패키지를 분리한다.
3. admin 패키지와 admin-login 패키지를 분리하고 3종 데이터의 관리를 각각의 패키지로 책임을 분리한다.
추가정보
@AdminOnly
어노테이션을 사용해 접근을 제어한다.@MasterOnly
어노테이션을 사용해 접근을 제어한다.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All rea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