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iResponse 팩토리 메서드 형식 관련 제안 #8
Replies: 4 comments
-
저의 생각은 1번 같은 경우는 메서드 만으로 어떤 응답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또 다른 응답상태과 동일한 상황이 나올 경우마다 메서드를 추가해야하는 단점이 있을 것 같습니다. 2번 방법으로 각 결과에 대한 상태코드를 전달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됩니다.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저도 부희님과 동일한 의견입니다!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저는 1번을 선호합니다!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남겨주신 의견들과 작업 공유 시간에 다같이 나눈 의견들을 종합적으로 판단했을 때, 1번 방식을 적용해 반영했습니다. 2번의 경우 상태 코드의 결정이 메서드 외부에 의존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HttpStatus.NO_CONTENT 응답 코드와 함께 응답 본문을 제공하는 것과 같이 잘못된 응답 코드를 전달하는 경우에 대응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Uh oh!
There was an error while loading. Please reload this page.
Uh oh!
There was an error while loading. Please reload this page.
-
회원가입 API 응답 반환 로직을 작성하는 중 저희가 사용하고 있는 ApiResponse 객체에 대해 협의가 필요할 것 같은 부분이 있어 제안드립니다.
현재
ApiResponse<T>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있는 팩토리 메서드는 다음의 두 종류입니다.회원가입 API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HttpStatus.CREATED
상태 코드를 적용하는 팩토리 메서드를 생성해 사용하려 했으나 다음과 같은 가독성 문제가 나타났습니다.발견된 ApiResponse 팩토리 메서드에 이슈에 대한 몇 가지 개선안을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이에 대해 의견 공유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ApiResponse.toResponse()
를 정의하고 상태 코드를 외부에서 전달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All rea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