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서와 공고의 과정 순서를 관리하는 효율적인 방법❗️ #98
Replies: 3 comments 1 reply
-
좋은 방법인거 같아요! 예전에 학교에서 알고리즘같은 과목을 수강할 때 들어봤던거 같기도 하구요! 그런데 저는 여기서 한 가지 드는 생각이 있습니다. 저희가 예를 들어, 칸반에서 order사이의 간격을 넓혀서 추가에 좀 더 용이하게 하는 방법으로는 너무 좋아요! 정책적인 부분이 끝난다면 충분히 사용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전 매우 좋다고 생각합니다! 순서가 있는 데이터를 다룰 때엔 어쩔 수 없이 순서 정보를 직접 관리해야 하는 상황이 오는것 같습니다ㅠ 다만, 동석님의 의견도 좋은 관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칸반에서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대단위 전형들의 순서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지원서 상세 페이지에서만 순서가 자유롭다면 오히려 혼란스러울거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저는 동석님의 의견 또는 동석님 의견 + 성원님 의견을 통합하면 어떨까 합니다.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order의 값을 0 -> 1 -> 2 -> 3가 아닌 0 -> 10 -> 20 -> 30 등의 범위로 잡아가는 것은 좋은 것 같네요! Process가 순서들이 변경되었을 때, update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 저도 개인적으로 전형의 마지막에만 과정을 추가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사실 이건, 개발보다는 정책/기획적인 이야기고 개인 차이라고 생각을 해서요! 프론트, 디자이너 팀원들과 함께 이야기 해보는게 좋을 것 같아요!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Uh oh!
There was an error while loading. Please reload this page.
Uh oh!
There was an error while loading. Please reload this page.
-
지원 공고
/지원서
별진행과정
의 순서를 관리하는 것은 우리 서비스에서 풀어나가야 할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라 생각합니다.해당 기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요구사항을 정리하고 방법을 생각해봤습니다.
요구사항
🌧 기존의 방법
기존의 방법은 Order를 Auto_increment 방식으로 연속된 수의 값을 사용했습니다.
예를 들어
서류
,코테
,1차면접
,2차 면접
과정을 등록할 경우, 각각의 과정이 갖는 순서(order)는 1,2,3,4가 됩니다.하지만 이러한 방법의 경우, 요구사항 3번인 채용 과정의 추가,삭제로부터 유연하지 못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코테와 1차면접 사이에 새로운 과정이 추가될 경우 1차면접 이후 과정의 order는 모두 업데이트 되어야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 생각한 방법
해당 방법의 핵심은 위와 같이 3번 과정이 발생하였을 때, 과정이 갖는 Order 데이터의 업데이트를 하는 과정을 최소화하는 방법입니다.
방법은 Order값을 Auto_increment의 방법으로 1,2,3,4,5와 같은 값을 주는 것이 아닌 100정도의 Gap을 주어 Order를 할당하는 방법입니다. 그리고 과정 사이에 새로운 과정을 추가할 경우, 각 과정의 Order사이의 중간 값을 할당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두번째, 세번째 과정 사이에 과정을 추가할 경우 200~300사이의 중간 값인 250을 할당해주는 것입니다.
즉, 200~300사이에 넣었다면 250, 225, 212, 206, 203, 201 등의 순서로 Order를 할당해주는 것입니다. 해당 예시는 최악의 예시로 기존의 과정과 새로 만든 과정 사이에 과정을 추가했을 때의 예시이고 새로 만들어진 과정들 사이에 추가를 하게 된다면 250과 300사이, 225와 250사이 등 각각의 Gap사이에 새로운 order를 할당할 수 있습니다.
만약 이러한 과정들을 거치면서도 할당할 order가 부족하다면 그때 전반적인 order 재할당을 해주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100단위의 Gap을 갖도록)
Current Process는 어떻게?
CurrentProcess도 해당 방법을 사용하면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가됩니다.
기존 방법의 경우 중간에 process가 추가되었을 때, currentProcess의 값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해당 방법을 사용할 경우 각각의 Process가 갖는 order값을 currentProcess가 갖도록 하면 문제는 어느정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All rea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