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주차: 3장 코드에서 나는 악취 ~ 5장 리팩터링 카탈로그 보는 법 #2
Replies: 7 comments
-
테스트를 작성했다! 의 만족감을 느끼고 배포하는 경우가 많은데, 테스트 작성한 개수가 중요한게 아님을 다시 한번 깨달았네요
테스트로 효율적으로 작성하고 있었는 지, 테스트라는 핑계로 불필요한 일정 잡고 있지는 않았던 건지 다시 한번 생각.. 😢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테스트 코드를 작성할 때,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혹은 테스트 해야 할까? 라는 고민이 생기는데,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매번 테스트 코드를 작성할 때, 귀찮다는 생각이 먼저 들었습니다. 돌이켜 보니 테스트 코드를 효율적으로 작성하지 않고 양으로 때우고 있는 부분이 많아 테스트 코드에 쏟는 노력이 과도했었던 것 같네요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리팩터링은 '언제' 하느냐에 대한 명쾌한 답,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3장에서 예시로 나열해준 키워드가 뭔지 너무 궁금해졌습니다! 전부 이해할 수 없었지만 어떤 리팩터링 방법이 있는지 기대가 됩니다. 주석을 달기보단 주석이 필요없는 코드를 작성하고, 미래 확장성을 위해 고려된 코드는 실제로 사용되면 다행이지만 그렇지 않다면 쓸데없는 낭비이니 치워버리는 등의 얘기를 보고 작은 공감을 했습니다.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타입스크립트에 익숙하기 때문에 자바스크립트 코딩을 할 때는
추측성 일반화로 인한 성의 없는 요소를 만들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너무 기능 단위 분리에 집중해서 놓친 부분인 것 같습니다.
최근 진행하고 있는 과제에서 TDD를 시도했는데, 위 내용을 간과하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실제로 중요한 요구사항을 놓치기도 해서 꼭 위험 요인을 먼저 테스트 하는게 좋을 것 같아요. describe("province", () => {
const asia = new Province(sampleProvinceData()); // 이렇게 하면 안 된다.
it("shortfall", function () {
expect(asia.shortfall).toBe(5);
});
it("profit", function () {
expect(asia.profit).toBe(230);
});
}); 처음으로 테스트 코드 작성을 제대로 연습해보고 있는데, 정확하게 제 코드랑 같아서 민망해졌네요. 개별 테스트 실행 시마다 픽스처 생성하도록 수정해야겠습니다. 이외에도 책을 읽으면서 많은 부분에서 굉장히 찔렸네요. 뒷부분에서 해결 방법을 배우고 빨리 제 코드에 적용해보고 싶습니다!!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Uh oh!
There was an error while loading. Please reload this page.
Uh oh!
There was an error while loading. Please reload this page.
-
인상깊었던 책의 내용과 인상깊었던 이유
현업 등 코드에 반영할 수 있는 방법과 생각
관련 아티클이나 이해를 돕는 자료를 첨부
새롭게 알게된 점이나 이해가 어려웠던 점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All rea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