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3] - 람다 표현식 #32
Unanswered
corock
asked this question in
CHAPTER 3 람다 표현식
Replies: 1 comment 1 reply
-
알잘딱깔센 철지난 유행어 아닌가요?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1 reply
Sign up for free
to join this conversation on GitHub.
Already have an account?
Sign in to comment
Uh oh!
There was an error while loading. Please reload this page.
Uh oh!
There was an error while loading. Please reload this page.
-
3.0 2장에서 확인한 것
문제점
3.1 람다란 무엇인가?
3.2 어디에, 어떻게 람다를 사용할까?
3.2.1 함수형 인터페이스
3.2.2 함수 디스크럽터(function descriptor)
3.3 람다 활용 : 실행 어라운드 패턴
3.4 함수형 인터페이스 사용
@FunctionalInterface
3.4.1
Function<T, R>
Unary-
: 파라미터 타입과 반환 타입이 같은 경우Bi-
: 파라미터 인자가 두 개인 경우3.5 형식 검사, 형식 추론, 제약
3.5.1 형식 검사
형식 검사 과정
3.5.2 같은 람다, 다른 함수형 인터페이스
Callable<V>
vs.PrivilegedAction<T>
Comparator<T>
vs.ToIntBiFunction<T, U>
vs.BiFunction<T, U, R>
3.5.3 형식 추론
예시
3.5.4 지역 변수 사용
자유 변수(free variable)
람다 캡처링(capturing lambda)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All rea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