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3] - 람다 표현식 #27
Unanswered
Irisation23
asked this question in
CHAPTER 3 람다 표현식
Replies: 0 comments
Sign up for free
to join this conversation on GitHub.
Already have an account?
Sign in to comment
Uh oh!
There was an error while loading. Please reload this page.
Uh oh!
There was an error while loading. Please reload this page.
-
람다 표현식
을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람다 표현식
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메서드 참조
란 무엇인가?위의 네가지 질문에 답변할 수 있도록 목표를 잡고 해당 챕터에 임하자.
1. 람다
->
는 람다의 파라미터 리스트와 바디를 구분한다.1.1 람다의 사용
Q. 어디서 사용할 수 있을까?
A.
함수형 인터페이스
라는 문맥에서람다 표현식
을 사용할 수 있다.1.2 함수형 인터페이스
Q. 함수형 인터페이스가 무엇인가?
A. 함수형 인터페이스는 오직
하나의 추상 메서드
만 지정하고 있는 인터페이스이다.대표적으로
Comparator
,Runnable
이 있다.람다 표현식으로 함수형 인터페이스의 추상 메서드 구현을 직접 전달할 수 있으므로
전체 표현식을 함수형 인터페이스의 인스턴스로 취급 할 수 있다.
2. 람다 활용
2.1
Predicate
Predicate의 뜻은 진실이라고 단정하다. 라는 의미가 있다.
이를 구현하는 인스턴스는
true
false
를 반환한다.쉽게 설명하자면,
XXX냐?
로 볼 수 있다.위의 (String s) -> !s.isEmpty() 가 의미하는 바는
XXX냐?
에 대입해 본다면s가 비어있지 않냐?
로 볼 수있는것이다.2.2
Counsumer
Consumer는 소비자를 의미한다.
뭐를 소비하는 소비자일까?
바로
파라미터
를 소비하는 것을 의미한다.위의 코드를 확인해 본다면
(Integer i) -> System.out.println(i)
의 코드에서 해당 파라미터를 콘솔에 출력하는 소비 활동을 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경제학 관점이라면 소비는 재화를 얻는 어떤 행위를 의미하지만,
프로그래밍 관점에서의 소비는 재화를 얻기위한 소비가 아님을 체크해 볼 수있다.
2.3
Function
Function은 기능을 의미한다.
어떤 기능을 의미할까?
결제
를 하고 난 뒤면,결제 금액
을 보여준다.`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All rea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