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멘토링] 데이터 직무를 준비하며 백엔드(FastAPI) 경험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어필할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155
-
🙋 질문자 ✏️ 궁금한 내용
🔍 [추가 이해를 위한 디테일한 질문] 전통 제조사나 금융기업(예: 신한카드, 삼성SDS, KB금융 등)의 데이터 직무에서는 카카오 같은 it 대기업과는 준비 방향이 다를까요? 👀 시도한 방식 운영 중인 서비스에 GA4를 연동하여 사용자 행동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분석 및 개인화 기능에 활용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습니다. ⏭️ 이제 어떻게 하려고 하는지? 제조/금융 기업에 맞는 비즈니스 로직 기반 예시(제조 수율 예측, 고객 이탈 분석)를 추가해 강점을 보여줄 예정입니다.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Replies: 1 comment
-
안녕하세요, 데이터 관련 직무는 제가 아는 정보가 부족하다고 판단하여 데이터 엔지니어와 가깝게 일하는 분(정확히는 통신 대기업 데이터관련 DevOps 및 개발을 담당하는 친구입니다)에게 간단히 질문한 뒤 참고하여 답변 드립니다.
어쩌면 본인 스탠스에 따라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 위에 말씀드린 친구의 경우에 데이터 엔지니어링으로 취업한 뒤 부서내에서 개발업무를 지속하고 싶어 관련 업무를 계속 하여 입지를 어느정도 굳힌 상태입니다.
현재 취업시장을 고려해보았을 때.. 포트폴리오, 코테, cs 모두 소홀히 하면 안될 것 같습니다. 물론 전략적으로 대비하는게 가장 좋지만 it, 대기업 모두 개발직무로는 말씀주신 것 모두 기본적으로 보는 역량, 시험들입니다.
물론 금융,제조 대기업에서는 보고서, 메일 작성 등 사무업무를 일부 겸해야 하는 상황이 상대적으로는 많을 것입니다.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안녕하세요, 데이터 관련 직무는 제가 아는 정보가 부족하다고 판단하여 데이터 엔지니어와 가깝게 일하는 분(정확히는 통신 대기업 데이터관련 DevOps 및 개발을 담당하는 친구입니다)에게 간단히 질문한 뒤 참고하여 답변 드립니다.
어쩌면 본인 스탠스에 따라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 위에 말씀드린 친구의 경우에 데이터 엔지니어링으로 취업한 뒤 부서내에서 개발업무를 지속하고 싶어 관련 업무를 계속 하여 입지를 어느정도 굳힌 상태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부서내에서 희망하지 않았던 업무를 하게됩니다. 본인이 분석업무가 아니면 안된다라고 생각하신다면 백엔드 경험을 어필하는게 손해 일 수 있습니다. 반대로 분석 업무 외의 개발/devops등의 업무, 커리어가 생겨도 문제 없다고 생각하며 취업 시기를 조금이라도 당기고싶다는 마음이 크시다면 어필하는게 좋을 수 있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