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멘토링] 실무에서 GPT, Claude와 같은 생성형 AI는 얼마나, 어떻게 활용되고 있나요? #142
-
🙋질문자판교 2기 / 21조(iceT) - evan.kim(김석원)/클라우드 ✏️ 궁금한 내용실무에서 GPT, Claude와 같은 생성형 AI는 얼마나, 어떻게 활용되고 있나요?
👀 시도한 방식
⏭️ 이제 어떻게 하려고 하는지?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Replies: 1 comment
-
지금 시대가 AI로 대격변하는 중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cursor, copilot으로 코드 작성에 보조를 받아보고 있으며, 때때로 검색 대신 GPT에게 묻는 경우가 있습니다.
Git과 연동해서 PR에 review를 달아주도록 해서 사용하고 있는데 사실 서비스가 하나의 앱으로 완성되는 게 아니라 다른 서비스에 의존성이 있는 경우도 있기때문에 리뷰가 마음에 들진 않습니다..
없습니다.
저는 신입 개발자는 GPT에 익숙하면 안된다고 생각하는 입장이긴 합니다. 물론 추후 패러다임이 바뀔 수 있지만 학습하는 입장에서 GPT활용은 최소화하는게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아직 저보다 신입인 개발자와 협업해본적이 없어서 없습니다.
초기에 보안이슈로 제한이 있었는데요, 최근 여러가지 실험을 위해 AI를 도입하고 있고, 효용을 검증하기 위해 테스트 중인 단계로 보입니다.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지금 시대가 AI로 대격변하는 중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금 제가 답변드리는 것을 정답이라고 생각하지 마시고 동향을 계속 찾아보시면서 흐름을 따르시면 좋겠습니다.
우선 카카오에서의 경험을 토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저는 cursor, copilot으로 코드 작성에 보조를 받아보고 있으며, 때때로 검색 대신 GPT에게 묻는 경우가 있습니다.
Git과 연동해서 PR에 review를 달아주도록 해서 사용하고 있는데 사실 서비스가 하나의 앱으로 완성되는 게 아니라 다른 서비스에 의존성이 있는 경우도 있기때문에 리뷰가 마음에 들진 않습니다..
없습니다.
저는 신입 개발자는 GPT에 익숙하면 안된다고 생각하는 입장이긴 합니다. 물론 추후 패러다임이 바뀔 수 있지만 학습하는 입장에서 GPT활용은 최소화하는게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아직 저보다 신입인 개발자와 협업해본적이 없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