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멘토링] 백엔드 커리어 목표를 고려해 파이썬 vs 자바 중 어떤 기술을 더 집중해야 할까요? #126
-
궁금한 내용 빅테크 백엔드 엔지니어가 되는 것이 최종 목표인데, 대부분 자바(Spring)를 주력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고민이 됩니다. 막학기를 앞두고, 시도한 방식 파이썬을 고수한다면 FastAPI를 더 깊이 파고들고, 설계/인프라 역량을 강화할 예정이고, 멘토님께서 커리어 목표(빅테크 백엔드 엔지니어)와 실현 가능성을 함께 고려했을 때, 어느 방향이 더 전략적인 선택인지 피드백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Replies: 5 comments 2 replies
-
누구이신지 잘 모르겠습니다. 형식 지켜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시트 확인하였으나 프로젝트 질문 부분에서 이름 작성하는 부분을 못 찾았습니다.
안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noah.kim (ai 김다현)
2025년 5월 9일 (금) 오전 12:24, startupcode ***@***.***>님이 작성:
… 누구이신지 잘 모르겠습니다. 형식 지켜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시트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s9aLLLJujLlhrvBJ5C7lPfLRbqyhXZI6h_qyFc0hWuQ/edit?gid=1479701701#gid=1479701701>
에 가이드보고 변경부탁드립니다
—
Reply to this email directly, view it on GitHub
<#126 (comment)>,
or unsubscribe
<https://github.com/notifications/unsubscribe-auth/A5XKFB6YV5CLM72E7FMPK5325NZLLAVCNFSM6AAAAAB4WY4SJWVHI2DSMVQWIX3LMV43URDJONRXK43TNFXW4Q3PNVWWK3TUHMYTGMBXG43TQNQ>
.
You are receiving this because you authored the thread.Message ID:
<100-hours-a-week/discussions/repo-discussions/126/comments/13077786@
github.com>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dahyun1008 질문주신 내용은 실제로 많은 취준생 분들이 고민하시는 부분이에요. 특히 백엔드 엔지니어 지원자 분들에게서 많이 나타납니다. 그래도 최근 들어서 생긴 기업들 (토스, 당근, 두나무 등등) 은 python 기반의 서버를 많이 사용하고 있어요. 자프링을 시도해보시는 것을 막는 것은 아니지만 지금 틀기에는 시기적으로 적절해보이지는 않아보이네요 :( 답변이 도움이 되셨을지 모르겠네요. 추가적인 질문 있으시면 이어서 남겨주세요!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안녕하세요. 오늘 멘토링 받은 노아입니다.
먼저, 제 질문에 답변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단순히 자프링이 한국의 백엔드 주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백엔드 개발자로써 더 많은 기회를 잡기 위해서는
자프링이 필요할 것이라 판단하였는데
자프링이 주를 이루게 된 배경부터 현상황까지
친절히 설명해주셔서 이해에 도움이 되었습니다.
다만 제가 우려되는 부분은 현재의 빅테크라 불리우는
기업들이 fastapi로 마이그레이션 결정을 하기는 어렵지
않을까 하는 것입니다.
저의 취업 지향점에 대해 말씀을 드리자면
스타트업에서 새롭게 무언가를 구축하기보다는
IT 개발 문화가 잡혀있는 대기업에서 지금까지 쌓아온
노하우(최적화 전략 등)를 배우고 싶습니다.
하고 싶은 테스크도 여러 모델을 테스트하여 어떤 모델을 도입할지 고민하는 것보다는 비동기 처리와 같은 백엔드적인 최적화 전략 구축입니다
제가 취업 공고를 본 바로는 fastapi를 활용하는 기업들은
기업의 역사가 길지 않다는 특징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당근과 토스라는 fastapi를 활용하는 it 기업들도 있으나
아직 대부분의 큰 규모의 it 기업 백엔드는 자프링을
활용한다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이러한 상황에 대해서 멘토님의 의견을 구하고 싶습니다.
저의 이런 성향을 고려했을때 빅테크 기업들에서
Fastapi 개발자 풀이 더 커질 것을 기대하여 fast api 기반
백엔드를 고도화하는게 더 좋을까요?
첨언하자면 제가 자바 백엔드 경험이 없어 최근들어 학습을
시작한 상태로 다음 학기에 최선을 다해 프로젝트를 하더라도
기존에 자프링 기반 프로젝트를 하던 지원자들과 비교하여
경쟁력 있는 프로젝트가 가능할까 하는 우려가 있습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ps.
오늘 멘토링도 너무나 유익한 시간으로
제 이력서에 아쉬운 부분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말씀해주신 부분 반영하여 이력서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좋은 주말 보내세요~!
2025년 5월 9일 (금) 오후 8:08, Park Kibum ***@***.***>님이 작성:
… @dahyun1008 <https://github.com/dahyun1008>
안녕하세요 노아~
카카오 멘토 폴라입니다.
질문주신 내용은 실제로 많은 취준생 분들이 고민하시는 부분이에요. 특히 백엔드 엔지니어 지원자 분들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부분입니다.
우선은 알고 계실 수도 있으시겠지만 우리나라 BE에 왜 자바 스프링(이하 자프링)이 많은지를 아셔야 하는 부분도 있어요.
자프링이 오랜기간 서버 활용으로 사용된 것은 자프링의 안정성도 있지만 국가 주도하에 *전자정부프레임워크* 라는 국가 사업?의 일환이
큰 역할을 했어요.
이런 이유로 국내는 해외에 비해 아직도 Python base 서버를 넘어가지 못하는 부분들이 많습니다.
그래도 최근 들어서 생긴 기업들 (토스, 당근, 두나무 등등) 은 python 기반의 서버를 많이 사용하고 있어요.
대표적인 기업은 당근이 되겠네요. 파이썬이 3.11부터 속도도 많이 개선이 되었고 아무래도 AI 가 메인스트림이 되면서 이 부분으로도
발전이 많이 되고 있습니다.
자프링을 시도해보시는 것을 막는 것은 아니지만 지금 틀기에는 시기적으로 적절해보이지는 않아보이네요 :(
FastAPI 기반의 백엔드를 좀 더 강화해보시는 게 어떨까요?!
그리고 BE 공고라고 해서 모두가 자프링이나 코프링(코틀린 스프링)을 쓰는건 아니에요~!
자세히 보시면 python base server를 모집하는 경우도 많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을지 모르겠네요. 추가적인 질문 있으시면 이어서 남겨주세요!
—
Reply to this email directly, view it on GitHub
<#126 (comment)>,
or unsubscribe
<https://github.com/notifications/unsubscribe-auth/A5XKFB4RMFVC2WDWUJTLHV325SEEDAVCNFSM6AAAAAB4WY4SJWVHI2DSMVQWIX3LMV43URDJONRXK43TNFXW4Q3PNVWWK3TUHMYTGMBYHAYDENQ>
.
You are receiving this because you were mentioned.Message ID:
<100-hours-a-week/discussions/repo-discussions/126/comments/13088026@
github.com>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답변 감사합니다!
자프링과 fastapi 중 어느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에 대한 현실적인 조언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한정된 시간이라는 조건에서 자프링을 새롭게 시작하는 것은 말씀하신대로 경쟁력을 갖추기에는 어려움이 있어보이네요.
'막학기 후 취업'과 '자프링을 통한 넓은 백엔드풀 준비'라는 2가지 조건 중에 선택을 해야 하는 부분인 것 같습니다.
멘토님 덕분에 요근래 가장 큰 고민이었던 앞으로의 방향성에 대해 결정을 할 수 있게 된 것 같습니다.
도움 주셔서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노아 드림
2025년 5월 9일 (금) 오후 9:37, Park Kibum ***@***.***>님이 작성:
… 자세히 적어주셔서 감사해요~
큰 규모의 기업들의 BE 기술이 스프링인 경우가 많다는 점은 맞는 이야기에요.
그리고 노아가 원하시는 바에는 스프링을 준비하는게 유의미한 것도 맞는 얘기에요. 당연히 운영중인 서비스를 큰 이유가 없이
마이그레이션은 안하죠!
FastAPI 풀이 커지는 것은 맞는 이야기지만 아마 풀이 커져도 노아가 원하시는 것을 이루기엔 스프링은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고
보여요.
다만 제가 적절치 않다고 말씀드린건 스프링은 우선 경쟁자가 압도적으로 많은 만큼 그들을 상대할만큼 준비를 하는게 아니라면 시간을
장담할 수는 없어요.
그리고 스프링에 대한 경험이 없다는 것도 걸리구요.
취업을 하는 과정에서 내가 원하는 것을 딱딱 맞춰서 취업을 성공하면 가장 좋지만 어느정도는 타협을 봐야하는 부분도 있습니다.
(지원 회사를 낮추라는 게 아니에요~! 여러 조건 중에 포기할 수 있는 부분은 포기를 하는 것! 이라는 의미입니다.)
파이썬 서버 경험은 쌓아온 시간이 있지만 스프링은 다시 쌓아야하고 어찌보면 두 프레임워크는 스타일이 크게 겹치지 않다보니 시간적인
부분도 무시는 못하거든요.
저는 Python 기반의 서버를 사용하는 입장에선 이런저런 공고들을 보면 노아가 생각하는 기업들에서도 Python 기반 서버를
사용하는 경우들도 봤었어요.
다만 FastAPI만을 보기보다는 다양한 파이썬 기반의 서버 프레임워크를 공부해보시는 게 좀 더 전략적으로는 좋을거 같아보이네요.
—
Reply to this email directly, view it on GitHub
<#126 (reply in thread)>,
or unsubscribe
<https://github.com/notifications/unsubscribe-auth/A5XKFBY6WDCT6Q4BVYGNNQL25SORPAVCNFSM6AAAAAB4WY4SJWVHI2DSMVQWIX3LMV43URDJONRXK43TNFXW4Q3PNVWWK3TUHMYTGMBYHE4TMMQ>
.
You are receiving this because you were mentioned.Message ID:
<100-hours-a-week/discussions/repo-discussions/126/comments/13089962@
github.com>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dahyun1008
안녕하세요 노아~
카카오 멘토 폴라입니다.
질문주신 내용은 실제로 많은 취준생 분들이 고민하시는 부분이에요. 특히 백엔드 엔지니어 지원자 분들에게서 많이 나타납니다.
우선은 알고 계실 수도 있으시겠지만 우리나라 BE에 왜 자바 스프링(이하 자프링)이 많은지를 아셔야 하는 부분도 있어요.
자프링이 오랜기간 서버 활용으로 사용된 것은 자프링의 안정성도 있지만 국가 주도하에 전자정부프레임워크 라는 국가 사업?의 일환이 된 게 큰 역할을 했어요.
이런 이유로 국내는 해외에 비해 아직도 Python base 서버를 넘어가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요.
그래도 최근 들어서 생긴 기업들 (토스, 당근, 두나무 등등) 은 python 기반의 서버를 많이 사용하고 있어요.
대표적인 기업은 당근이 되겠네요. 파이썬이 3.11부터 속도도 많이 개선이 되었고 아무래도 AI 가 메인스트림이 되면서 이 부분으로도 발전이 많이 되고 있습니다.
자프링을 시도해보시는 것을 막는 것은 아니지만 지금 틀기에는 시기적으로 적절해보이지는 않아보이네요 :(
FastAPI 기반의 백엔드를 좀 더 강화해보시는 게 어떨까요?!
그리고 BE 공고라고 해서 모두가 자프링이나 코프링(코틀린 스프링)을 쓰는건 아니에요~!
자세히 보시면 python base server를 모집하는 경우도 많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을지 모르겠네요. 추가적인 질문 있으시면 이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