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Discussion options

You must be logged in to vote

@dahyun1008
안녕하세요 노아~
카카오 멘토 폴라입니다.

질문주신 내용은 실제로 많은 취준생 분들이 고민하시는 부분이에요. 특히 백엔드 엔지니어 지원자 분들에게서 많이 나타납니다.
우선은 알고 계실 수도 있으시겠지만 우리나라 BE에 왜 자바 스프링(이하 자프링)이 많은지를 아셔야 하는 부분도 있어요.
자프링이 오랜기간 서버 활용으로 사용된 것은 자프링의 안정성도 있지만 국가 주도하에 전자정부프레임워크 라는 국가 사업?의 일환이 된 게 큰 역할을 했어요.
이런 이유로 국내는 해외에 비해 아직도 Python base 서버를 넘어가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요.

그래도 최근 들어서 생긴 기업들 (토스, 당근, 두나무 등등) 은 python 기반의 서버를 많이 사용하고 있어요.
대표적인 기업은 당근이 되겠네요. 파이썬이 3.11부터 속도도 많이 개선이 되었고 아무래도 AI 가 메인스트림이 되면서 이 부분으로도 발전이 많이 되고 있습니다.

자프링을 시도해보시는 것을 막는 것은 아니지만 지금 틀기에는 시기적으로 적절해보이지는 않아보이네요 :(
FastAPI 기반의 백엔드를 좀 더 강화해보시는 게 어떨까요?!
그리고 BE 공고라고 해서 모두가 자프링이나 코프링(코틀린 스프링)을 쓰는건 아니에요~!
자세히 보시면 python base server를 모집하는 경우도 많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을지 모르겠네요. 추가적인 질문 있으시면 이어서 …

Replies: 5 comments 2 replies

Comment options

You must be logged in to vote
0 replies
Comment options

You must be logged in to vote
1 reply
@startupcodekr
Comment options

Comment options

You must be logged in to vote
0 replies
Answer selected by startupcodekr
Comment options

You must be logged in to vote
1 reply
@cow-coding
Comment options

Comment options

You must be logged in to vote
0 replies
Sign up for free to join this conversation on GitHub. Already have an account? Sign in to comment
Labels
None yet
3 particip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