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자
궁금한 내용현업에서도 Ai를 자주 사용할텐데, 백엔드의 경우 ai를 어떤식으로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특히 현업에서는 MSA 아키텍처나 복잡한 관계의 테이블, 보안 문제 등 상황 자체를 AI에게 전달하기 힘든 경우가 많을 텐데, 또한, 자신만의 프롬프트 방식이나 팁이 있다면 알고 싶습니다 시도한 방식저는 기존에 API 명세서나 테크스펙 문서를 전체 넣어서 프롬프트를 구성하거나, 그러나 이런 방식은 AI가 불필요하게 과한 확장성을 고려하거나, 특히, 구체적인 컨텍스트 없이 너무 일반화된 답변을 받게 되어 실무에 바로 적용하기 어려웠습니다. 이제 어떻게 하려고 하는지?앞으로는 AI에게 단순히 “코드를 작성해줘” 수준이 아니라, 문제 상황의 맥락을 어떻게 설명하고, 따라서 멘토님께서는 백엔드 엔지니어 입장에서 AI를 어떻게 활용하시는지, 또한, 실제 경험 기반의 프롬프트 작성 팁이나, AI를 활용한 설계/코드 리뷰 방식이 있다면 공유해주시면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Replies: 1 comment
-
@KangHyup 오.. 릭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그리고 코드리뷰의 경우엔 오픈소스 튜닝한걸 사내에서 제공중이어서 사용하고 있는데요. 말씀주신대로 맥락을 구체적으로 설명해야하는 부분에서 사내 정보가 흘러나갈 수 있기 때문에 더더욱 조심해야할 것 같아요.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KangHyup 오.. 릭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요 부분은 제가 설계시에 AI를 활용하고있지 않아서 답변드리기가 조금 어렵네요. ㅠ_ㅠ
전 개인적으로 새로운 언어를 빠르게 써야할때 간단한 설정 같은 등을 질문하는 편인데요.
언어의 버전 정보를 명확히 전달하면 좀더 자세히 짜주더라고요.
그리고 코드리뷰의 경우엔 오픈소스 튜닝한걸 사내에서 제공중이어서 사용하고 있는데요.
PR을 올리면 자동으로 리뷰되는 형태고, 종종 괜찮은 제안들을 던져주어서 잘쓰고 있답니다.
(아키텍처와 같은 고레벨의 평가는 못하고요. 결함이 의심되는 부분들만 제안한답니다.)
말씀주신대로 맥락을 구체적으로 설명해야하는 부분에서 사내 정보가 흘러나갈 수 있기 때문에 더더욱 조심해야할 것 같아요.
AI에게 어떤 조언을 더 듣고싶으신가요? 원하시는 결과물이 있는지 궁금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