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lies: 1 comment
-
멘토입장에서는 닐라가 어떤 반인지 알기 어려워서요! 설명할 수 있는 양식을 만들었어요 확인하시고 변경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0 replies
Sign up for free
to join this conversation on GitHub.
Already have an account?
Sign in to comment
Uh oh!
There was an error while loading. Please reload this page.
Uh oh!
There was an error while loading. Please reload this page.
-
궁금한 내용
클라우드
@SeriousBug98 @shinnyriver
프로젝트에서 AWS 인프라를 구성하며 EKS, S3, RDS, CloudFront 등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신입 개발자 입장에서 어떤 AWS 서비스를 우선적으로 학습하거나 경험해 두는 것이 실무적으로 더 효과적일지 궁금합니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EKS 기반으로 쿠버네티스를 구성하고, terraform을 사용해 GitOps 방식으로 자동화를 적용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쿠버네티스가 대규모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는 만큼, 신입이 이를 강조하는 것이 긍정적으로 보일지, 아니면 과도한 기술 선택으로 보일 수 있을지 고민이 됩니다. terraform 사용 경험도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여쭙고 싶습니다.
혹은 한정된 시간과 자원 속에서 Docker 기반 컨테이너 아키텍처 구성에 더 집중하는 게 좋을지,
Kubernetes를 경험한다면 어떤 것을 위주로 경험하고, 필요성과 정당성을 어떻게 잘 설명해야 할지 멘토님의 조언을 듣고 싶습니다.
현재 저희 조가 계획하고 있는 아키텍처는 이쪽에서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위키 바로가기 (본 문서는 kubeadm 기반 환경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동일한 클러스터 구조를 Amazon EKS로 마이그레이션할 예정입니다.)
취업 관련 질문
학생 시절 뚜렷한 프로젝트 경험을 하지 못했고, 한 분야의 전문성을 갖추지 못했습니다. 부트캠프에 들어와 Devops 엔지니어, 클라우드 엔지니어 쪽을 준비하고 있으나 지금의 방향성으로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지, 어느 방향성으로 더 준비해야 할지 궁금합니다.
전공자로서 기본 지식은 있으나, 백엔드 개발을 배워본적은 없어 클라우드와 병행해 조금씩 공부중입니다. 취업을 위해 어느 정도까지 공부해야 할지, 사이드 프로젝트를 작게라도 진행해보는게 좋은지 궁금합니다. 혹은 그 시간에 다른 준비 (코딩 테스트, 클라우드 공부 등)에 더 집중하는게 좋을까요?
개발 직무에서는 프로젝트 경험이 중요하다고 알고 있는데, 여전히 어학 성적, 자격증, 대회 수상과 같은 ‘가시적인 스펙’의 영향력이 큰지도 궁금합니다. 자격증이나 대외활동이 없다면 이 경험에 시간을 쏟아야 할지, 혹은 실제 채용 과정에서 중요하게 평가되는 우선순위가 있다면 어떤 항목부터 준비하는 것이 좋을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All rea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