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lies: 1 comment
-
작성중입니데이..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0 replies
Sign up for free
to join this conversation on GitHub.
Already have an account?
Sign in to comment
Uh oh!
There was an error while loading. Please reload this page.
Uh oh!
There was an error while loading. Please reload this page.
-
Important
Jeff: 해당 자료는 2017~18년도에 작성한 자료입니다.
실험 과정과 결과에 미흡한 점이 많아 공개하기 꺼려집니다만 여러분의 가이드를 위해 수치심을 내려놓고 공개합니다. 🫨
개요
목표 설정 및 예측
웹서버가 동일한 환경에서 사용자의 요청을 받고 응답을 할 때
결과 사전 추론
Latency 및 Error Rate 가 왜 중요한가?
Note
Jeff: 사실.. Latency 및 Error Rate 만 기준으로 잡은거 좀 실수한거 같습니다.. 🤔
P99, P95 와 같은 메트릭을 기준으로 잡고 왜 이런 차이가 나는지까지 분석했어야 하는데.. 이 점은 많이 아쉽습니다.
개발 예정인 프로젝트 내 웹 서버 사용 사례를 통한 실험 시나리오 설정
Note
이 부분은 가지고 있는 PPT 자료를 그대로 인용할께요 👴
프로젝트 내 어떤 부분에서 웹 서버 (+웹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지 들여다봤습니다.
아래와 같은 작업을 기본적으로 수행하게 됩니다.




아직 코드가 나오지 않은 상태이므로 아주 기본적인 Request <-> Response 요청을 기준으로 웹 서버 및 웹 프레임워크 성능을 실험해보고자 합니다.
Note
이 때는 헬스체크라는게 있는지도 몰랐습니다. 허허.. 👴
HTTP 버전별 성능 비교 및 특이사항 분석
Important
실제로 HTTP 1.1s 라는 용어는 없습니다.
여기서 1.1s 가 의미하는건 SSL을 지원하는 HTTP 1.1 을 의미합니다!
h2load
는 HTTP Performance benchmark tool 입니다. 이 도구를 통해 Request 를 보내고 요청 및 응답 과정에 포함 된 각종 메트릭을 수집할 수 있습니다.nginx
를 사용했습니다.nginx
를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했습니다.실험 결론
단일 Browser HTTP Download Test - 1회차

단일 Browser HTTP Download Test - 2회차

결론 - HTTP 1.1 / 1.1s / 2

HTTP 버전별 실험결과 요약
HTTP 1.1
무선 저용량 다수

유선 저용량 다수

HTTP 1.1s
무선 저용량 다수

유선 저용량 다수

HTTP 2
무선 저용량 다수

유선 저용량 다수

Note
이거 실험한 영상 데이터도 있는데 사이즈가 워낙커서 안올라가네유..
시간될 때
ffmpeg
으로 압축한번 해서 올려볼께요;;실험 방법
nginx
의 config 설정을 통해 http 버전을 강제하는 방식을 사용했습니다.Note
Jeff: 이 부분 코드가 없어져서 기억나는대로 적었습니다.. 🤡;;;
분석
Caution
작성예정
총평
multiplexing
기능입니다.[계속 작성 예정]
웹서버별 성능 측정 및 분석
Caution
작성 예정
어떤 웹 서버를 기준으로 테스트 할 것인가?
Caution
작성 중..
Web Framework 에 대해 성능 비교 자료를 게시한 사이트인 TechemPower 의 자료를 통해 어떤 웹 서버를 비교할 것인지 참고했습니다.
Netcraft 사의 January 2018 Web Server Survey 자료를 추가로 참고했습니다.

용어 설명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All rea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