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tifications
You must be signed in to change notification settings - Fork 3
Description
// 작업내용
.gitignore 설정해서 파일 안올라가게 -> 지갑, connection 정보
환경변수 설정해서 파일 경로 감추기
원래 Blockchain 모델 내에 체인코드 정의했었는데 이거 Chaincode로 이름바꿈
지금 Blockchain 모델은 정의된 Chaincode 호출하는 모델임 -> 계약 성립, 파기, 검증
Chaincode 모델(클래스)에 정의된 계약 성립, 파기, 검증 체인코드들 static 붙여서 정적 메서드로 정의함
그리고 Blockchain 클래스에서 Chaincode 메서드 호출해서 인수로 그냥 계약서 데이터 넘겨줬음
무슨 데이터 넘기는지는 Blockchain 클래스 메서드 내랑 블록체인 컨트롤러에 적어놨음
그니까 프론트단에서 보낼 Object 구조(이름) 알아서 지정해서 그대로 Chaincode에서 받아서 쓰면 될듯?
// 해시화, 블록체인 네트워크, 체인코드 동작 시나리오
해시화가 필요한 상황에, 프론트에서 백엔드의 pdf hashing api로 pdf 인코딩된 데이터를 보낸다.
해당 api는 데이터에서 text만 추출해서 sha1 해시화하고 이를 다시 프론트로 보낸다.
프론트는 이 해시값을 받아서, 다시 해시값과 계약자, 계약 날짜 등 필요한 정보들을 Object화 시켜 다시 백엔드로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보냄.
백엔드는 이거 받아서 해당 데이터를 기반으로 올바른 체인코드를 호출함.
원래 블록체인 관련 api에 pdf 인코딩된 데이터랑, 계약자, 계약 날짜등을 한번에 Object화 하여 보내려 했으나, pdf 인코딩된 데이터가 파일 형식이라 같이 못보냄.
따라서, 해시화 api를 따로 분리시켜서 동작시켜야 할듯?
등록: 바로 해시값을 기반으로 등록 chaincode 호출함
검증: 해시값을 기반으로 검증 chaincode 호출함
파기: 이미 작성된 계약서에 대한 인코딩된 데이터를 받고, 이를 해시화 하여 다시 반환함 -> 첫번째 fetch과정 (해싱)
그러면 프론트에서 그 해시값을 파기 계약서에 포함하여 다시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보내줌 -> 두번째 fetch 과정 (해싱)
그거를 받아가지고 다시 Object화 시켜서 블록체인 api 호출 -> 세번째 fetch과정 (블록체인,체인코드)
일단 컨트롤러 -> 블록체인 api -> 체인코드 동작 확인함
거기 머냐 프론트에 파기 시나리오 주석달아놓음
// 해야할 것
체인코드 구현 -> 급선무
프론트에서 html -> pdf 변환 후 해시화 api 요청
이미 지갑이 생성되었으므로, 매번 체인코드 호출시 생성하지 말고, 로드만 하도록 -> 시간남으면
계약서 html 포맷 수정 -> 시간남으면
////////////////////////////////////////////////
체결 계약서 API 테스팅
< TO-DO >
- 하이퍼레저- EC2 올리기
< Result >
Due Date: 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