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lies: 2 comments 4 replies
-
1번을 통해 생기는 문제점이 뭐가 있는지도 같이 적어주면 좋을 것 같아요.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1 reply
-
저희 프로젝트에서 domain 로직은 Repository 인터페이스가 있는데 Domain Model도 따로 만드는게 저희 프로젝트에 도움이 될지는 확신이 안서서 이 부분에 대해서 얘기 나눠보면 좋을 것 같습니당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3 replies
Sign up for free
to join this conversation on GitHub.
Already have an account?
Sign in to comment
Uh oh!
There was an error while loading. Please reload this page.
Uh oh!
There was an error while loading. Please reload this page.
-
앞에서 너무 잘 적어주셔서 겹치지 않는 것만 적다보니까 내용이 적네요 ㅎㅎ,,, 🥹
-> 현재는 Data 계층에서 쓰이는 Model을 UI에서 그대로 쓰고 있는데, 이럴 경우 Data 계층과 UI 계층의 결합이 강해지는 문제가 발생함.
예를 들어 서버에서 내려주는 데이터 구조에 변화가 생기면 UI 계층에서도 수정이 발생하게 됨. 이를 막기 위해 각 계층에 맞는 Model을 두고 Mapping 해줌으로써 결합도를 낮출 수 있음
-> Data Layer에서 error code에 따라 서버/클라이언트/네트워크 에러 타입을 판단, 리턴해서 하위 레이어에서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함
에러 상황에 따른 적절한 에러 메시지를 띄워주거나 UI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음.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All rea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