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4주차 - TCP/IP 4계층 #76
ChanYoungHong
started this conversation in
📚 CS 스터디
Replies: 0 comments
Sign up for free
to join this conversation on GitHub.
Already have an account?
Sign in to comment
Uh oh!
There was an error while loading. Please reload this page.
-
<4계층 구조>
정의 : 인터넷에서 컴퓨터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 데 쓰이는 프로토콜의 집합
<계층 구조>
특징 : 특정 계층이 변경되었을 때, 다른 계층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설계 됨(유연한 설계)
<어플리케이션 계층>
<전송 계층>
<TCP 연결 성립 과정> - 3-way handshake 작업
개념 : TCP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
<TCP 연결 해제 과정>
<인터넷 계층>
개념 : IP 주소로 지정된 목적지로 데이터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계층
<링크 계층>
개념 : 네트워크 접근 계층이라고 함, 전선, 광섬유, 무선 등으로 실질적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며 장치 간 신호를 주고받는 계층
2가지로 나뉨
<유선 LAN(IEEE802.3)>
→ 1.전이중화 통신 2.CSMA/CD 3.유선 LAN을 이루는 케이블(1.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2. 광섬유 케이블)
<전이중화 통신>
개념 : 전이중화 통신은 양쪽 장치가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는 방식을 말함.
송신로와 수신로로 나눠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현대 고속 이더넷 방식임.
<CSMA/CD>
개념 : 유선 LAN에 반이중화 통신 중 하나인 CSMA/CD 방식을 사용 함
데이터를 보낸 이 후, 충돌이 발생한다면 일정 시간 이후에 재전송 되는 방식.
이유는, 수신로 송신로가 한 경로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보내기 때문이다
<유선 LAN을 이루는 케이블>
개념 : LAN을 이루는 케이블은 1.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2. 광섬유 케이블 존재
<무선 LAN(IEEE802.3)>
개념 : 무선 LAN 장치는 수신과 송신에 같은 채널을 사용
→ 1. 반이중화 통신 2.CSMA/CA
<반이중화 통신>
개념 : 양쪽 장치는 서로 통신할 수 있지만, 동시에 통신할 수 없고 한 방향으로만 통신할 수 있다
<CSMA/CA>
개념 : 데이터 보내기 전 캐리어 감지 등 사전에 가능한 한 충돌을 방지하는 방식을 사용
<와이파이>
개념 : 무선 LAN 신호에 연결할 수 있게 해줌, 유선 LAN에 흐르는 신호를 무선 LAN 신호로 바꿔 줌
무선 LAN을 사용한 기술은 → 지그비, 블루투스 등이 있음
개념 : 기본 서비스 집합을 의미한다, 동일 BSS 내에 있는 AP들과 장치들이 서로 통신이 가능한 구조를 말함
근거리 무선 통신을 제공 + 하나의 AP만을 기반으로 구축 되어 있어 사용자가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
개념 : 하나 이상의 연결된 BSS 그룹이라 함. 장거리 무선 통신을 제공하고 BSS보다 더 많은 가용성과 이동성을 지원한다.
장거리 무선 통신 + 사용자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며 중단 없이 네트워크 연결 가능
<이더넷 프레임>
개념 : 링크 계층은 이더넷 프레임을 통해 전달받은 데이터의 에러를 검출하고 캡슐화 함
<계층 간 데이터 송수신 과정>
<캡슐화 과정>
<비캡슐화 과정>
개념 : 하위 → 상위계층으로 헤더 부분을 제거하는 과정
프레임화 제거(프레임 헤더, 트레일러)→ 패킷화 제거(IP 헤더) → 데이터그램화 제거(TCP 헤더)
- Protocol Data Unit
개념 : 계층에서 → 계층으로 갈 때, 전달되는 한 덩어리를 PDU라 함
헤더 + 페이로드로 구성되어 있음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All rea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