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1주차 운영체제 - 3.3 프로세스와 스레드 #38
ChanYoungHong
started this conversation in
📚 CS 스터디
Replies: 0 comments
Sign up for free
to join this conversation on GitHub.
Already have an account?
Sign in to comment
Uh oh!
There was an error while loading. Please reload this page.
Uh oh!
There was an error while loading. Please reload this page.
-
운영체제 - 3.3 프로세스와 스레드
<프로세스와 스레드>
<프로세스와 컴파일 과정>
인스턴스화란 → 클래스 내의 객체에 대해 특정한 변형을 정의하고, 이름을 붙이고, 물리적 어떤 장소에 위치 시키는 것
<정적 vs 동적 라이브러리>
<프로세스의 상태>
생성 상태
대기 상태
<프로세스의 메모리 구조>
PCB - Process Control Block → 프로세스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저장한 ‘데이터’를 말합니다.
<PCB의 구조> → 한 번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 ! !
<컨텍스트 스위칭>
정의 : PCB를 교환하는 과정을 뜻함, 실행되는 프로세스는 하나이지만 컨텍스트 스위칭이 아주 빠른 속도로 실행도기 때문에 여러 개가 동시에 쓰는 것처럼 보인다.
프로세스 A 실행하다 멈춤 → A의 PCB를 저장 → 프로세스 B를 로드하여 실행 → B의 PCB를 저장하고 프로세스 A의 PCB를 로드함
<비용: 캐시미스>
<스레드에서의 컨텍스트 스위칭>
<멀티프로세싱>
<웹 브라우저>
- 공유 메모리, 파일, 소켓, 익명 파이프, 명명 파이프, 메세지 큐
정의 : IPC는 프로세스끼리 데이터를 주고받고 공유 데이터를 관리하는 메커니즘을 뜻합니다.
<공유 메모리>
정의 : 여러 프로세스에 동일한 메모리 블록에 대한 접근 권한이 부여되어 프로세스가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공유
공유메모리 특징 : 불필요한 데이터 오버헤드가 발생하지 않는다, 빠르다, 프로세스가 공유하기 때문에 동기화가 필요하다.
<파일>
정의 : 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파일 서버에서 제공한 데이터를 말합니다. 이를 기반으로 프로세스 간 통신을 합니다.
<소켓>
정의 : 다른 프로세스나 네트워크의 다른 컴퓨터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하는 데이터를 의미
ex) TCP, UDP 등이 있다
<익명 파이프>
정의 : 프로세스 간에 FIFO 방식으로 읽히는 임시 공간인 파이프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음
단방향 방식의 읽기 전용, 쓰기 전용 파이프를 만들어서 작동하는 방식
<명명된 파이프>
정의 : 파이프 서버와 하나 이상의 파이프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을 위한 명명된 단방향 또는 양방향 파이프를 말합니다.
클라이언트/서버 통신을 위한 별도의 파이프를 제공하며, 여러 파이프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메세지 큐>
정의 : 메시지 큐 데이터 구조 형태로 관리
<스레드와 멀티스레딩>
<스레드>
정의 : 프로세스 실행 가능한 가장 작은 단위입니다, 프로세스는 여러 스레드를 가질 수 있습니다.
<멀티스레딩>
정의 : 프로세스 내의 작업을 여러 개의 스레드로 하는 것, 스레드끼리 서로 자원을 공유하기 때문에 효율성이 좋음
특징 :
<공유 자원과 임계 영역>
<공유 자원>
정의 : 프로세스, 스레드가 함께 접근할 수 있는 모니터, 프린터, 메모리, 파일 등의 자원이나 변수 등을 의미함
경쟁 상태(race condition) : 공유 자원을 두 개 이상의 프로세스가 동시에 읽거나 쓰는 상황
<임계 영역(critical section)>
정의 : 둘 이상의 프로세스, 스레드가 공유 자원에 접근할 때 순서 등의 이유로 결과가 달라지는 코드 영역을 말함
해결하는 방법 :
3가지 → 1.뮤텍스 2.세마포어 3.모니터 대신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함 (상호 배제, 한정 대기, 융통성)
상호 배체 : 한 프로세스가 임계 영역에 들어갔을 때 다른 프로세스는 못 들어감
한정 대기 : 특정 프로세스가 영원히 임계 영역에 들어가지 못하면 안 됨
융통성 : 한 프로세스가 다른 프로세스의 일을 방해하면 안 됨
1. 뮤텍스
정의 : 프로세스나 스레드가 공유 자원을 lock()을 통해 잠금 설정하고 사용한 후에 unlock()을 통해 잠금 해제하는 객체
2. 세마포어
정의 : 일반화된 뮤텍스, 간단한 정수 값과 두 가지 함수 wait()과 signal()로 공유 자원에 대한 접근을 함
프로세스나 스레드가 공유 자원을 해제하면 세마포어에서 signal()작업을 수행
3. 모니터
정의 : 둘 이상의 스레드나 프로세스가 공유 자원에 안전하게 접근 할 수 있도록 공유 자원을 숨기고 해당 접근에 대해 인터페이스만 제공
특징 : 모니터 - 상호 배제가 자동, 세마포어는 - 상호 배제를 명시적으로 구현 해야 함
<교착 상태>
정의 : 두 개 이상의 프로세스들이 서로가 가진 자원을 기다리며 중단된 상태
<교착 상태의 원인>
<교착 상태의 해결 방법>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All rea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