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7일에 올라온 나무위키 운영사의 공지 사항에 대해 전면으로 반박합니다 #66
piquark6046
announced in
Announcements
Replies: 0 comments
Sign up for free
to join this conversation on GitHub.
Already have an account?
Sign in to comment
Uh oh!
There was an error while loading. Please reload this page.
-
오늘 (2024년 6월 7일)에 올라온 Umanle S.R.L., 나무위키 운영사, 가 올라온 게시글에 대해 웹 사이트의 편집자 및 방문자에게 진실이 살짝 첨부된 거짓말을 주장하고 있어, 이에 대해 전면으로 반박하는 글을 간단하게 업로드하고자 합니다.
해당 공지의 스크린샷
'특정 확장 프로그램의 제대로 된 테스트가 없는 무책임한 룰 적용으로 인해 일부 기능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제보가 많이 접수되고 있다'라고 올렸는데, 그렇게 오작동이나 잦은 애드블록 실패를 만들게 된거는 Umanle S.R.L.의 의도라고 생각됩니다.
당장 AdGuard와 uBO에서 사용되는 List-KR 필터 리스트가 나무위키 파워링크 광고를 직접적으로 차단하지 않고 NamuLink라는 유저스크립트로 처리하는 이유는 때때로 운영사에서 파워링크에 관련된 로직을 변경하는데, 이 때 오작동을 유발시키도록 유도하거나 애드블록을 회피하려고 시도를 합니다.
또한, 과거에는 지역 또는 사용하는 통신사에 따라 DOM 구조를 다르게 두어 차단하거나 숨기게 하기에 어려움을 주기도 합니디.
최근에는 JavaScript API를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직접 Javascript statement를 사용하면서 까지 개발자가 읽기 어렵게 난독화된 위키 문서 및 광고 데이터를 복구하여 비-애드블록 사용자에게도 성능 저하를 최소 눈치채지 못 할 정도로 유발시킵니다.
나무위키는 대중이 편집자가 되어 나무위키 콘텐츠를 수정할 수 있는 위키 사이트이며, 이러한 수정된 콘텐츠는 CC-BY-SA-NC 으로 라이선스됩니다.
그러나, 광고를 CC-BY-SA-NC 콘텐츠가 호스팅되고 있는 웹 사이트에 표시하고 애드블록 무력화를 시도하는 것 부터가 이러한 라이선스 위반이라고 강력히 주장이 나오게끔 합니다.
ChatGPT가 자세하게 설명해준 내용이 있으니, 더 알고 싶으시면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단적인 예로 Minecraft Wiki가 있는데, 이 사이트에 편집된 콘텐츠는 CC-BY-SA-NC입니다만, 나무위키와 달리 광고가 표시되지 않습니다.
만약, 나무위키 운영사에서 이러한 제보들을 해결하고 위 주장이 나오지 않게끔 하라면, 한국 법을 벗어나서 자유로운 정보 공유의 목적을 둔 위키답게 난독화를 그만하시고 애드블록 무력화 시도를 멈추시면 위 문제들이 해결되지 않을까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All reactions